목차
Ⅰ. 아스퍼거 장애의 정의와 개념
1.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란
2. 아스퍼거 장애의 정의
3. 아스퍼거 장애의 개념
Ⅱ. 아스퍼거 장애의 특성 및 관련성
1. 아스퍼거 장애의 특성
2. 아스퍼거 장애와 자폐증과의 관련성
Ⅲ. 아스퍼거 장애의 진단 및 진단 특성
1. 아스퍼거 진단 기준
2. 아스퍼거 장애의 감별 진단
3. 아스퍼거 장애의 진단적 특징
Ⅳ. 아스퍼거 장애의 치료 및 ICD-10, DSM-Ⅳ의 정의
1. 아스퍼거 장애의 치료법
2. ICD-10 및 DSM-Ⅳ의 정의
참고자료
1.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란
2. 아스퍼거 장애의 정의
3. 아스퍼거 장애의 개념
Ⅱ. 아스퍼거 장애의 특성 및 관련성
1. 아스퍼거 장애의 특성
2. 아스퍼거 장애와 자폐증과의 관련성
Ⅲ. 아스퍼거 장애의 진단 및 진단 특성
1. 아스퍼거 진단 기준
2. 아스퍼거 장애의 감별 진단
3. 아스퍼거 장애의 진단적 특징
Ⅳ. 아스퍼거 장애의 치료 및 ICD-10, DSM-Ⅳ의 정의
1. 아스퍼거 장애의 치료법
2. ICD-10 및 DSM-Ⅳ의 정의
참고자료
본문내용
켜야 합니다. 자해적인 행동이 있을 때에는 행동수정 요법이 시행됩니다.
2. ICD-10 및 DSM-Ⅳ의 정의
ICD-10(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질병분류, 1992) 및 DSM-Ⅳ(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1994) 란?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질병분류(IDC-10, 1992)와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Ⅳ, 1994)은 다음과 같다.
(1) WHO의 ‘ICD-10(국제 질병분류 제 10판, 1992)’
1948년 ‘국제질병분류(ICD)' 제 6판인 ICD-6가 처음으로 등장, 거듭 개정되어 1992년에 제10판인 ICD-10이 발행되었다. ICD-10의 다축 체계는 세 축으로 구성되어 다른 국제적 다축 체계에 비해서 간단하고 정신의학 이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2) 미국의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 DSM-Ⅳ, 1994)’
1952년 ICD-6에 대한 대안으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1판인 DSM-Ⅰ발행되었고, 1994년에 DSM-Ⅳ이 출간되었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원인에 대해서 어떤 한 학파의 이론에 따르지 않았음.
- 정신장애에 대한 특정 진단기준을 마련하였음.
- 각 장애를 부수적 양상과 관련해서 체계적으로 기술함.
- 정보가 불충분하거나 환자의 임상 양상과 병력이 전형적 범주의 진단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할 때 적용하는 명백한 규칙을 마련 하였다.
참고자료
이근후외 14명(1995).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4판, 하나의학사
2. ICD-10 및 DSM-Ⅳ의 정의
ICD-10(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질병분류, 1992) 및 DSM-Ⅳ(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1994) 란?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질병분류(IDC-10, 1992)와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Ⅳ, 1994)은 다음과 같다.
(1) WHO의 ‘ICD-10(국제 질병분류 제 10판, 1992)’
1948년 ‘국제질병분류(ICD)' 제 6판인 ICD-6가 처음으로 등장, 거듭 개정되어 1992년에 제10판인 ICD-10이 발행되었다. ICD-10의 다축 체계는 세 축으로 구성되어 다른 국제적 다축 체계에 비해서 간단하고 정신의학 이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2) 미국의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 DSM-Ⅳ, 1994)’
1952년 ICD-6에 대한 대안으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1판인 DSM-Ⅰ발행되었고, 1994년에 DSM-Ⅳ이 출간되었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원인에 대해서 어떤 한 학파의 이론에 따르지 않았음.
- 정신장애에 대한 특정 진단기준을 마련하였음.
- 각 장애를 부수적 양상과 관련해서 체계적으로 기술함.
- 정보가 불충분하거나 환자의 임상 양상과 병력이 전형적 범주의 진단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할 때 적용하는 명백한 규칙을 마련 하였다.
참고자료
이근후외 14명(1995).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4판, 하나의학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