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의 정서적 특징을 논하고 두가지 정서에 대해 예를 들어보세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기의 정서적 특징을 논하고 두가지 정서에 대해 예를 들어보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서의 발달
1) 정서표현의 발달
(1) 일차정서
① 기쁨② 분노③ 공포
(2) 이차정서
3) 정서의 이해능력
4) 정서의 규제능력

2. 기질의 발달

3. 애착의 발달
1) 애착형성의 단계(볼비)
2) 애착의 유형(에인스워드)
3) 애착반응
① 낯가림
② 분리불안
4) 애착과 영향요인

본문내용

65%. 주위를 탐색하기 위해 어머니로부터 쉽게 떨어진다. 어머니와 분리되었을 때 능동적으로 위안찬고, 다시 탐색과정 들어간다. 어머니 돌아오면 반갑게 맞이하고, 편안함을 느낀다.
② 회피애착: 20%. 어머니에게 반응을 별로 보이지 않는다. 낯선 사람과 어머니에게 비슷하게 행동한다.
③ 저항애착: 10-15%. 어머니가 방을 떠나기 전부터 불안해하고, 어머니 옆에 붙어서 탐색을 별로 하지 않는다. 어머니가 방을 떠나면 심한 분리불안 보인다. 돌아와도 분노하고 소리를 지른다. 양면성을 보인다.
④ 혼란애착: 불안정애착의 가장 심한 형태로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이 결합된 것. 어머니와 재결합했을 때, 얼어붙은 표정으로 어머니가 안아줘도 먼 곳 쳐다본다.
3) 애착반응
① 낯가림
영아가 특정인과 애착 형성하면, 낯가림 반응 보인다. 영아가 익숙해 있는 얼굴과 낯선 얼굴의 불일치에 대해 보이는 반응이다. 6-8개월경에 나타나기 시작해서 첫돌전후에 최고조에 달했다가 서서히 감소한다. 기질적으로 순한 영아가 까다로운 영아보다 낯가림을 덜 하는 편. 심한 낯가림은 영아의 탐색행동 방해하고 낯가림을 전혀 하지 않는 것도 애착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② 분리불안
분리불안은 영아가 부모나 애착을 느끼는 대상과 분리될 때 느끼는 불안. 분리불안은 낯가림보다 조금 늦은 생후 9개월경에 나타나서 14-18개월경에 절정 도달하고 점차 감소. 완전히 사라지는 것 아니고, 아동, 청소년들도 부모와 분리되면 향수 젖고 슬픔 빠짐
4) 애착과 영향요인
모성박탈, 영아의 기질, 영아와 부모의 특성, 양육의 질의 영향을 받는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0.03.11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7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