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뢰벨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2. 프뢰벨 프로그램의 내용물
1) 놀이
2) 놀이와 자기활동
3) 놀이와 은물
4) 은물교육의 목표
5) 교구의 구성
6) 효과
3. 프뢰벨의 교육사적 의의
4.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2. 프뢰벨 프로그램의 내용물
1) 놀이
2) 놀이와 자기활동
3) 놀이와 은물
4) 은물교육의 목표
5) 교구의 구성
6) 효과
3. 프뢰벨의 교육사적 의의
4.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발달을 촉진하는 교육방법에 관한 그의 생각은 그가 발달을 개성의 잠재적 원리의 자연적 발현으로 생각했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갔다는 것이다. 프뢰벨은 성장은 성장이요, 발달은 발달이라는 점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했고, 올바른 의미에서의 발달 대신에,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임의적이고 외부적인 강요에 의한 통제식 교육이 자리잡게 되었다는 것이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수용한 사람과 듀이가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파악하고 있는 관점의 차이는 상징이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상징을 도외시한 사람들은 본성과 양육을 사실적 관계로 파악하였다고 볼 수 있다. 상징을 부각시킨 듀이는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양육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수용한 사람들은 과연 양육과 본성의 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하였는가, 듀이는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비판하였는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이 점에 비추어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양육과 본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관점에 의해서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재해석 해 볼 필요가 있다. 프뢰벨에게 있어서 인간교육의 목표는 신적인 본직을 함양하고 그것을 인간의 삶 속에서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프뢰벨은 인간의 본성은 신의 활동의 외적 표현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프뢰벨은 그의 교육이론에서 양육적인 측면과 본성적인 측면을 다 같이 강조하고 있다. 즉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양육과 본성의 관계는 어디까지나 보편적인 인간의 형성이라고 하는 거시적인 양육의 관점 아래서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곽노의 외, 프뢰벨의 유아교육이론 연구, 학민사, 1990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수용한 사람과 듀이가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파악하고 있는 관점의 차이는 상징이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상징을 도외시한 사람들은 본성과 양육을 사실적 관계로 파악하였다고 볼 수 있다. 상징을 부각시킨 듀이는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양육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수용한 사람들은 과연 양육과 본성의 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하였는가, 듀이는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비판하였는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이 점에 비추어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양육과 본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관점에 의해서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재해석 해 볼 필요가 있다. 프뢰벨에게 있어서 인간교육의 목표는 신적인 본직을 함양하고 그것을 인간의 삶 속에서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프뢰벨은 인간의 본성은 신의 활동의 외적 표현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프뢰벨은 그의 교육이론에서 양육적인 측면과 본성적인 측면을 다 같이 강조하고 있다. 즉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양육과 본성의 관계는 어디까지나 보편적인 인간의 형성이라고 하는 거시적인 양육의 관점 아래서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곽노의 외, 프뢰벨의 유아교육이론 연구, 학민사, 1990
추천자료
페스탈로치와 프뢰벨과 비고스키
19세기 서양의 교육사상(교육사조)과 사상가들
프뢰벨과페스탈로찌의 유아교육과 가정교육에 관한 교육 사상의 비교 연구
[교육학]프뢰벨
프뢰벨의 근본사상 및 교육목적
페스탈로치와 프뢰벨에 대해
프뢰벨의 10가지 은물(미리보기 및 목차확인요^^)
페스탈로찌 & 프뢰벨의교육철학과 생애
프뢰벨의 교육원리와 은물(1-10은물)의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보세요
프뢰벨의 교육
프뢰벨과 몬테소리 프로그램의공통점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등 자연주의학자들이 주장하는 부모교육의 필요성
프뢰벨의 은물
[보육학개론] 보육의 사상에 영향을 미친 인물 중 현대의 대표적 사상가에 대해 2인 이상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