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을 바르게 입는 법을 살피고 제시하는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복을 바르게 입는 법을 살피고 제시하는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우리 옷의 특징에 대해 기술하시오.
2.남성과 여성의 한복 입는 법을 기술하시오.
3.우리고유의 의복인 한복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기술하시오.
4.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s-a-porter)에 참가하면서 한복을 널리 알리는 전기가 마련됐다. 한복에 대한 인식이 없었기에 1993년 이영희의 패션쇼를 다룬 프랑스 일간지들은 한복을 일본 문화의 복식으로 오해하여 "기모노 코레앙"으로 표기했고 프랑스의 패션 전문가들조차 한국에 대한 낮은 인식 때문에 한복을 으레 기모노로 칭했다. 이후 한-불 수교 120주년을 앞두고 2005년 4월 초 장 피에르 모쇼 대표이사가 서울을 방문한 자리에서 프레타 포르테 설립 50주년과 더불어 박람회 100회 기념행사로 한복전시회를 열겠다고 발표하면서 한복을 원용으로 삼은 여러 디자이너들의 전시회가 열려 한국 복식에 대한 이해를 드높이는 전환점을 맞게 된다. 실제로 한복전시회를 본 뒤 2010년 세계적인 디자이너 미우치아 프라다는 서울에 위치한 이영희 한복 매장을 직접 방문한 바 있다.
한복 패션쇼는 세계 각국에서 열리고 있으며 런던 주재 대한민국문화원은 "우리옷-배자"라는 제목으로 한복 전시회를 기획해 호평을 받았다. 한복 패션쇼는 민관 합작의 형태로 세계 여러 도시에서 열리고 있으며 디자이너 이상봉은 파리에서 1985년부터 태극기 이미지와 모시 소재를 선보였고 한복연구가 이영희는 싱가포르, 미국 맨해튼, 파리 등에서 한복을 주제로 한 무대를 꾸리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러 한복 디자이너들의 합동 무대 또한 홍콩, 런던 모스크바, 상하이,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의 수도인 부에노스 아이레스[ 등지에서 열린 적이 있으며 뉴욕에서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유명 디자이너 카롤리나 에레라가 메르세데스 벤츠 패션위크 2011 봄/여름 컬렉션에서 한국의 저고리와 치마를 표현하여 갓을 하나의 소재로 소개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한스타일의 일원으로 한복과 한글, 한옥 등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해놓고 있다.
4. 결론
한복은 우리나라 옷이다. 짧은 저고리와 긴치마의 여자옷, 저고리와 넓은 바지의 남자옷을 말한다. 한복은 쭉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룬 우리 나라의 전통 의상이다. 여성은 짧은 저고리와 넉넉한 치마로 우아한 멋을 풍겼으며, 남성은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조끼와 마고자로 멋을 냈다. 백의민족답게 기본색은 흰색이었으며, 계절에 따라 신분에 따라 입는 예법이나 소재, 색상이 모두 달랐다. 결혼과 같은 특별한 예식에는 평민들도 귀족이 입는 화려한 빛깔의 옷과 장신구로 한껏 멋을 냈으며, 최근 국내에는 한복의 장점에 실용성을 가미한 개량 한복이 자리잡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원전부터 저고리와 바지를 착용하여 왔는데 여기에 중국의 영향으로 지배계급은 겉옷으로 중국의 관복을 받아들여 통일 신라 이후 조선시대까지 이중 구조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그 기본 구조는 우리나라 고유의 본성을 벗어난 것이 아니어서 동아시아 민족중에 독특하게도 우리가 2000여년 동안 변동없이 바지, 저고리 형태를 입어왔다. 이것으로 우리 민족의 전통에 대한 특별한 사랑을 알 수 있다. 99
참고문헌
김은정, 〈남자 한복 바지의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호(2005), 910-911쪽

키워드

한복,   한복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1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