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1.1 유지관리의 도입배경 및 필요성
1.2 현행 국내시설물 유지관리현황 및 문제점
1.3 시설물 유지관리의 개요
1.4 유지관리 방법
1.5 시설물 안전진단에 따른 관계법령 제정배경 및 주요내용
1.5.1 관계법령 제정배경
1.5.2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주요내용
1.5.3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
1.6 건설기술관리법의 주요내용
1.1 유지관리의 도입배경 및 필요성
1.2 현행 국내시설물 유지관리현황 및 문제점
1.3 시설물 유지관리의 개요
1.4 유지관리 방법
1.5 시설물 안전진단에 따른 관계법령 제정배경 및 주요내용
1.5.1 관계법령 제정배경
1.5.2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주요내용
1.5.3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
1.6 건설기술관리법의 주요내용
본문내용
급속히 요구될 것이다.
표 1.1 선진국 유지관리시장의 비중
주) 46th EUROCONSTRUCT Conference Berlin 1998/ifo Institute
일본 주택리폼센터, 2000
1995년도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등을 참조하여 리모델링 및 보수공사 포함 작성
1.2 현행 국내시설물 유지관리현황 및 문제점
시설물이 존재하게 되는 단계를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로 구분한다면 그 중 가장 마지막 단계인 유지관리단계는 정비(maintenance), 수선(repair), 교체(replacement) 행위를 포함한다. 이런한 유지관리를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장수명화, 성능유지 및 품질 확보 등의 기술적 기능과 시설물의 안전성 확보, 경제성 제고, 기본기능 충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관리 목적은 크게 사전 유해 요인 제거와 건설된 상태유지,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성 확보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현재 유지관리 절차는 유지관리계획에 따라 적용되며 일상점검, 정기점검,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등을 통해 이상이나 결함을 발견하여 보수 보강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유지관리기준 및 표준화 매뉴얼의 부재와 교육 및 전문화가 미흡하고,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체계와 유지관리 대상의 관리체계 또한 미흡하다. 아울러 유지관리 기술 및 정보 부족, 유지관리업의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1.3 시설물 유지관리의 개요
시설물이란 건설공사를 통하여 만들어진 구조물 및 부대시설로서 도로, 교량, 터널, 댐, 수리시설 및 건축물 등을 통틀어 지칭하는 것으로서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을 함께 칭하고 있다. 유지관리는 건설공사를 통해 준공된 시설물들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물 이용자들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행해지는 일련의 행위를 말하며, 시설물의 유지관리는 현행법상 토목 건축구조물을 함께 다루도록 규정되어 있다.
유지관리란 시설물 생애주기의 한 과정으로 준공 이후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 및 경제적 가치 향상을 위한 시설물의 안전성 및 경제성, 생산성 등을 보존하기 위해 기능과 성능의 효율적 확보와 효과적인 안전관리 및 최적의 비용에 의한 경제성 확보 등으로 운용, 조작, 정비, 수선하는 등의 행위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완공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물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을 일상적으로 점검 및 정비하고 손상된 부분을 원상복구하며 경과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량, 보수보강에 필요한 활동을 말하며(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2조 9항), 이와 관련된 공학적 학문을 유지관리공학이라 한다.
그림 1.1 유지관리개념도
구조물이 준공된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므로 설계 및 시공 당시부터 예지보전(銳智保全)을 통하여 구조물의 내구성과 사용성을 고려하고, 완공된 이후에는 구조물의 사용가치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예방보전(豫防保全)을 통하여 준공 당시의 기능을 가장 합리적인 비용으로 보존하고, 유지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일련의 관리활동을 유지관리라 할 수 있다. 즉 전체 생애주기비용은 설계비와 시공비를 포함한 초기투입비와 준공 후 구조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포함한다.
1.4 유지관리 방법
구조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으로 성능저하가 발생하여 구조물 원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성능저하가 발생된 구조물의 현재상태를 점검하고 평가하여 구조물의 잔존수명을 예측하는 등의 작업을 안전진단이라 한다. 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전진단은 해당 구조물의 구조적 성능의 유지 및 향상뿐만 아니라 구조물로서 완수해야 할 기능 및 역할의 유지, 향상, 변경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즉 구조물의 진단목적은 그림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그림 1.2 구조물의 진단목적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의 기능은 준공 직후부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열화 혹은 저하되기 시작한다. 유지보전(maintenance)은 이러한 구조물의 보유 기능을 점검 및 보수, 열화로 저하된 기능을 준공시 수준을 목표로 유지하려는 행위를 말하고, 개량보전(modernization)이라 함은 열화 및 저하된 기능을 내진개선 등의 대규모 구조개선이나 용도변경 등의 기능을 개선하고, 향상시켜 준공시의 수준 이상으로 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려는 행위이다.
이처럼 안전진단은 시설물의 현 상태를 현장조사하여 초과하중에 대한 사용 제한 여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상태 및 내하력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손상에 대한 보수 보강방법 제시. 시설물의 상태와 노후화 정도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 작성, 보수 및 성능회복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시설물의 진단은 적절한 계획과 기법, 필요한 장비 확보, 그리고 점검자의 경험과 신뢰성에 의하여 좌우되며ㅡ 육안으로 보이는 결함 발견에만 국한하지 말고 발생 가능한 문제의 예측까지도 포함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진단은 정확해야 하고 다음의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점검 및 진단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각 시설물에 대한 특수한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 며 특별한 문제가 없는지 검토하여야 한다.
점검 및 진단 중에는 신기술과 실무 경험이 적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점검과 진단의 빈도 및 수준은 구조형식과 부위, 그리고 붕괴 유발 가능성에 따라 정
해야 한다.
이처럼 유지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시설물의 원래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구조물의 가치를 보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수시 또는 정기적인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 등의 과정을 통하여 시설물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종류의 결함 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그 발생원인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조속히 시행하여 시설물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반복하여야 한다. 율성을 극대활동은 유지관리의 취지성을지침을 정확히 인지하고 유지관리계획서에 따라 구조물의 변형, 결함예측 부위에 대한 예견과 점검, 그리고 평가 및 대책수립, 조치 등을 종합적으로 시행하고 이에 대한 발생원인과 진행 여부, 성능 결
표 1.1 선진국 유지관리시장의 비중
주) 46th EUROCONSTRUCT Conference Berlin 1998/ifo Institute
일본 주택리폼센터, 2000
1995년도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등을 참조하여 리모델링 및 보수공사 포함 작성
1.2 현행 국내시설물 유지관리현황 및 문제점
시설물이 존재하게 되는 단계를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로 구분한다면 그 중 가장 마지막 단계인 유지관리단계는 정비(maintenance), 수선(repair), 교체(replacement) 행위를 포함한다. 이런한 유지관리를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장수명화, 성능유지 및 품질 확보 등의 기술적 기능과 시설물의 안전성 확보, 경제성 제고, 기본기능 충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관리 목적은 크게 사전 유해 요인 제거와 건설된 상태유지,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성 확보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현재 유지관리 절차는 유지관리계획에 따라 적용되며 일상점검, 정기점검,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등을 통해 이상이나 결함을 발견하여 보수 보강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유지관리기준 및 표준화 매뉴얼의 부재와 교육 및 전문화가 미흡하고,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체계와 유지관리 대상의 관리체계 또한 미흡하다. 아울러 유지관리 기술 및 정보 부족, 유지관리업의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1.3 시설물 유지관리의 개요
시설물이란 건설공사를 통하여 만들어진 구조물 및 부대시설로서 도로, 교량, 터널, 댐, 수리시설 및 건축물 등을 통틀어 지칭하는 것으로서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을 함께 칭하고 있다. 유지관리는 건설공사를 통해 준공된 시설물들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물 이용자들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행해지는 일련의 행위를 말하며, 시설물의 유지관리는 현행법상 토목 건축구조물을 함께 다루도록 규정되어 있다.
유지관리란 시설물 생애주기의 한 과정으로 준공 이후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 및 경제적 가치 향상을 위한 시설물의 안전성 및 경제성, 생산성 등을 보존하기 위해 기능과 성능의 효율적 확보와 효과적인 안전관리 및 최적의 비용에 의한 경제성 확보 등으로 운용, 조작, 정비, 수선하는 등의 행위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완공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물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을 일상적으로 점검 및 정비하고 손상된 부분을 원상복구하며 경과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량, 보수보강에 필요한 활동을 말하며(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2조 9항), 이와 관련된 공학적 학문을 유지관리공학이라 한다.
그림 1.1 유지관리개념도
구조물이 준공된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므로 설계 및 시공 당시부터 예지보전(銳智保全)을 통하여 구조물의 내구성과 사용성을 고려하고, 완공된 이후에는 구조물의 사용가치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예방보전(豫防保全)을 통하여 준공 당시의 기능을 가장 합리적인 비용으로 보존하고, 유지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일련의 관리활동을 유지관리라 할 수 있다. 즉 전체 생애주기비용은 설계비와 시공비를 포함한 초기투입비와 준공 후 구조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포함한다.
1.4 유지관리 방법
구조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으로 성능저하가 발생하여 구조물 원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성능저하가 발생된 구조물의 현재상태를 점검하고 평가하여 구조물의 잔존수명을 예측하는 등의 작업을 안전진단이라 한다. 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전진단은 해당 구조물의 구조적 성능의 유지 및 향상뿐만 아니라 구조물로서 완수해야 할 기능 및 역할의 유지, 향상, 변경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즉 구조물의 진단목적은 그림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그림 1.2 구조물의 진단목적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의 기능은 준공 직후부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열화 혹은 저하되기 시작한다. 유지보전(maintenance)은 이러한 구조물의 보유 기능을 점검 및 보수, 열화로 저하된 기능을 준공시 수준을 목표로 유지하려는 행위를 말하고, 개량보전(modernization)이라 함은 열화 및 저하된 기능을 내진개선 등의 대규모 구조개선이나 용도변경 등의 기능을 개선하고, 향상시켜 준공시의 수준 이상으로 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려는 행위이다.
이처럼 안전진단은 시설물의 현 상태를 현장조사하여 초과하중에 대한 사용 제한 여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상태 및 내하력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손상에 대한 보수 보강방법 제시. 시설물의 상태와 노후화 정도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 작성, 보수 및 성능회복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시설물의 진단은 적절한 계획과 기법, 필요한 장비 확보, 그리고 점검자의 경험과 신뢰성에 의하여 좌우되며ㅡ 육안으로 보이는 결함 발견에만 국한하지 말고 발생 가능한 문제의 예측까지도 포함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진단은 정확해야 하고 다음의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점검 및 진단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각 시설물에 대한 특수한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 며 특별한 문제가 없는지 검토하여야 한다.
점검 및 진단 중에는 신기술과 실무 경험이 적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점검과 진단의 빈도 및 수준은 구조형식과 부위, 그리고 붕괴 유발 가능성에 따라 정
해야 한다.
이처럼 유지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시설물의 원래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구조물의 가치를 보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수시 또는 정기적인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 등의 과정을 통하여 시설물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종류의 결함 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그 발생원인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조속히 시행하여 시설물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반복하여야 한다. 율성을 극대활동은 유지관리의 취지성을지침을 정확히 인지하고 유지관리계획서에 따라 구조물의 변형, 결함예측 부위에 대한 예견과 점검, 그리고 평가 및 대책수립, 조치 등을 종합적으로 시행하고 이에 대한 발생원인과 진행 여부, 성능 결
추천자료
주부자원봉사자들의 중도탈락 방지를위한 자원봉사기관의 관리
보수주의의 의미와 원리
보수와 연금
[사회과학] 보수와 진보
[보수주의][신보수주의][독일 보수주의][일본 보수주의][미국 신보수주의]보수주의의 개념, ...
[교육][보육교사 보수교육][초등학교교사 보수교육]교육 의미, 교육 형성요소, 교육 기능, 보...
[일본보수세력, 일본보수세력 군사력필요성, 일본보수세력 국가론, 일본보수세력 동아시아인...
[일본, 평생교육정책, 장애인고용정책]일본의 평생교육정책, 일본의 장애인고용정책, 일본의 ...
보수 & 진보 이념의 시작,한국의 특수성,한국의 진보(우파),한국의 보수(좌파).PPT자료
보수 진보 이념,진보(우파),보수(좌파),이념과 사상 ppt
[공무원 보수제도 公務員 報酬體系] 공무원의 보수체계 - 기본급(봉급)의 종류, 부가급(수당)...
[공무원 보수제도] 공무원 보수의 의의(개념,정의)과 특성(특징), 공무원의 보수결정(요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