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ECG)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심장의 구조
1) 심전도란?
2) 전극 붙이는 위치
3) 표준 12 유도
4) 파형(wave)
5) 파형의 정상치 및 임상적의의

본문내용

이나 동방전도에 장애가 있는 질환군으로 증상 이 없을 수도 있으며, 심박출량의 감소로 실신, 현기증, 운동시 호흡곤란, 심계항진, 전신쇠약감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음과 같은 부정맥들이 이에 속한다.
지속성 동서맥
동정지
동방차단
서맥빈맥 증후군
* 심방성 부정맥
① 심방조기박동 : 비정상 모양의 P\'파가 조기에 나타나며, QRS군 및 P파는 대부분 정상 이며 PR간격은 정상보다 길거나 같거나 짧을 수 있다.
② 심방빈맥 : 동성 P파의 모양과 다른 이소성 P\'파가 120-200회/분 정도로 나타나며, QRS군 및 T파는 대부분 정상이다.
③ 심방조동 : 이소성 P\'파는 220-350회/분 정도이며, 심실에는 방실전도 차단에 의해 2:1 내지 4:1 로 전달된다. (심박동수는 약 75-150회/분) P\'파는 등전위선이 없는 톱날모양의 F파로 II, III, aVF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④ 심방세동 : 이소성 P\'파는 350-600회/분 정도로서 매우 불규칙한 f파로 나타나며, QRS군도 100-160회/분 정도로 매우 불규칙하다.
⑤ 다소성 심방빈맥 : 최소 2개이상의 다른 모양의 이소성 P\'파가 100-250호/분 정도로 나타나는 것이다.
* 방실접합부성 부정맥
① 방실접합부 이탈박동
② 방실접합부 조기박동
③ 방실접합부 빈맥 : 방실접합부에서 발생되는 빈맥으로 P\'파가 150-220회/분 정도로 QRS군 앞, 중간, 또는 뒤에 나타나며, QRS군 모양은 정상이다. 임상적으로나 심전도로 심방빈맥과 방실접합부 빈맥을 구별하기가 어려워 이들을 합쳐 심실상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이라고 부른다. 시작과 종료가 돌연한 것을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이라고 한다. 발생기전은 심전기생리학 검사에 의해 정확히 진단되어지나 심전도에 의해 P파와 QRS군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PSVT의 발생기전을 진단할 수 있다.
*편위전도
편위전도된 QRS군 모양은 심실성 QRS군과 비슷하여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편위전도된 QRS군의 특징적인 심전도 소견은 다음과 같다.
① P\'파의 선행
② 우각차단 모양의 QRS군
③ 편위전도된 QRS군의 초기벡터는 정상전도된 QRS군의 초기벡터와 같다.
④ 편위전도된 QRS군의 연결간격은 불규칙하다.
⑤ 편위전도된 QRS군은 비대상성 휴지간격을 갖는다.
⑥ Ashman 현상

키워드

심전도,   심장 구조,   파형,   심장,   ECG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1.28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