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살인의추억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토리텔링-살인의추억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①구성단계
②캐릭터 분석
- 주요인물
- 주변인물
③갈등의 종류와 해결 방식에 대한 분석

3. 결론

본문내용

윤은 박현규가 반드시 범인일거라 믿고 있었으나 증거가 충분하지 않으니 결국에는 박두만식의 수사방법을 찾게 된 것이다.
서태윤은 박현규를 미행하다가 놓친 그 날 여중생이 또 살해된 것을 보고 완전히 이성을 잃어버린다. 자기가 미행을 하다가 놓쳐 죄책감을 드는 것도 있지만 박현규를 범인이라 굳게 믿고 있기에 그를 검거하여 체포하지 못하는 답답함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고 믿었던 서류가 박현규가 범인이 아니라 하자 서류까지 외면하며 가려는 박현규에게 총을 쏜다. 이때 서태윤은 처음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침착하고 냉철함을 잃어버리고 스스로 자신이 비웃던 사람이 되어 버린다.
베일에 싸인 범인 : 영화에 등장하지 않으며, 수많은 용의자를 지목되게 하는 원인.
범행이 한 지역에서 일어난 점, 현장에 대한 지리가 밝은 점, 성도착 증세와 대담하고 치밀한 성격의 소유자일 것이라는 점 등으로 미루어 대강 어떤 사람일 것 같다고 짐작을 하게 한다.
범인을 잡고자하는 주역인 이 두 형사는 이야기 초반부에는 서로 상반된 캐릭터로 내면적 갈등에 부딪히지만 점차 진행되어가며 서로가 서로에게 동화되며 전형화된 캐릭터로 고정되지 않고 서로의 영역을 교차한다는 점에서 여느 형사 영화와는 조금 다른 특징을 보인다.
봉준호 감독은 실제사건이라는 점을 떠나, 실제 형사들의 인간으로서의 희로애락을 보여준다는 것이 다른 형사 영화들과 제일 차별되는 점이라고 말한다. 액션을 위해 멋진 형사가 등장하는 것도 아니고, 미녀 피의자와 멜로를 하기 위한 영화도 아니고. 젊잖은 형사들이 나와 고도의 두뇌게임을 하는 지적 스릴러도 아니다. 형사는 무엇인가, 범인을 잡는 사람이 아닌가! 무엇보다 범인을 잡고 싶어했던 형사들, 너무나 잡고 싶었는데 결국 실패한 형사들의 강렬하고 사실적인 희로애락을 보여주는 것에 초점을 맞춰 캐릭터의 성격에도 그 영향이 미쳐졌다.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범인은 끝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사건 속의 잔인성, 범죄 유형과 영화 속 범인이 실제 현실 속에 존재하는 인물임을 상기하여 보이지 않는 캐릭터를 유추할 수 있다. 이로 영화를 보는 내내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공포감에 몸이 오싹하였다.
주변인물 :
1. 첫 번째 용의자 백광호 :
범죄 해결을 위해 특수 전담반이 편성되고 그 첫번째 용의자로 백광호가 지목된다. 흉한 외모, 어눌한 말투와 행동 등에서 거부감이 든다.
살해당한 향숙을 이쁘다며 평소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2.04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