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세계 사람의 음성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음성의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리의세계 사람의 음성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음성의 종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다. 이 경우 성대는 진동하고 있으며, 모음은 기본 주파수 외에 각각 특징이 있는 성도형태에 기인하는 공명주파수(포르만트)를 2개 이상 가지고 있다.
1. 음성은 음역에 의한 분류, 성대의 기능에 의한 분류, 소리의 성질에 의한 분류된다.
2. 음성은 음질, 음량, 음폭에 의해서 분류된다.
① 음역에 의한 분류
- 사람의 목소리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개 저음역, 중음역, 고음역, 가성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여성의 소프라노 이상의 음정들을 가성이라고 표현하는데 이견을 보이고 있으나, 두성의 성격을 띤 이 음역의 소리도 “뒤집는 목”과 함께 가성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그러므로 여성에게는 가성이 없다고 단정하는 것은 성악식의 접근일 뿐, 대중가요에서의 음성론에는 올바른 의견이라고 말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남성들이 고음역 이상의 소리를 낼 때 “뒤집는 목”이나 가성대를 활용하듯이, 여성도 “뒤집는 목”이 형성될 수 있고 가성처리도 가능하다는 것이 임상적으로 증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② 음성의 성질에 의한 분류
- 음성은 우리 인체의 어떤 부위를 이용해 발성하느냐에 따라 흉성(胸聲) . 후성(喉聲) . 비성(鼻聲) . 복성(腹聲) . 단전성(丹田聲)등으로 분류된다.
- 흉성은 올바른 발성을 구사하는 사람이 일반 남성의 목소리톤이나 그보다 더 굵은 톤의 소리를 낼 때 가슴을 울리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붙여진 추상적인 개념이다. 가슴이 울리지 않아도 위의 현상이 나타나면 흉성이라고 한다. 비성은 청자의 카타르시스 혹은 절정 부분에서 색다른 느낌을 주기 위해 일부러 콧소리를 내는 것이다. 단전이란 배꼽 아래의 하복부 부위를 일컬어 하는 말입니다. 단전성이란, 문자 그대로 단전의 힘을 이용하여 내는 발성음을 내는 것이다.
③ 성대의 기능에 의한 분류
- 목소리의 색깔 즉, 음색을 말한다.
성대의 기능에 의한 음성의 분류법이란 이와 같은 음색을 기준으로 음성의 성질을 나누는 방법입니다. 육성 과 허성, 또는 육성 과 가성으로 분류하거나, 혹은 자연성 과 비자연성등으로 나누는 방법이 성대의 기능에 의한 분류입니다.
⑴ 음질에 의한 분류
음질이란 목소리를 색으로 표현했을 때 맑고 깨끗한가 그렇지 않으면 맑지 못하고 답답한 느낌을 주느냐로 구분한다. 흔히 곱고 듣기 좋은 목소리를 음질이 깨끗하다고 하고, 좀 탁하고 답답한 목소리를 들으면 음질이 좋지 않다고 표현을 한다.
⑵ 음량에 의한 분류
음량이란 체격(몸)에서 울려나오는 목소리가 얼마만큼 크느냐 작느냐로 구분할 때 사용된다. 체격은 적어도 목소리는 우렁차게 크다는 말을 종종 들을 수 있다. 목소리가 크다는 것은 음량이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⑶ 음폭에 의한 분류
음량과 음폭은 자칫 혼동하기 쉬운 단어입니다. 음량은 목소리의 크고 적음을 뜻하지만 음폭은 소리의 높고 낮음을 가리킨다. 음악에서 여자의 소프라노음이나 남자의 테너음을 말한다.. 이처럼 음이 높이 올라가는 사람은 음폭이 높다, 또는 넓다라고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2.0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