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7진 UP/DOWN COUNTER란?
◎ 진리표 작성
◎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 토의 및 결론
◎ 7진 UP/DOWN COUNTER란?
◎ 진리표 작성
◎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 토의 및 결론
본문내용
0
0
0
0
1
0
×
0
×
1
×
0
0
0
1
0
1
0
0
×
1
×
×
1
0
0
1
0
0
1
1
0
×
×
0
1
×
0
0
1
1
1
0
0
1
×
×
1
×
1
0
1
0
0
1
0
1
×
0
0
×
1
×
0
1
0
1
1
1
0
×
0
1
×
×
1
0
1
1
0
0
0
0
×
1
×
1
0
×
0
1
1
1
0
0
0
×
1
×
1
×
1
1
0
0
0
1
1
0
1
×
1
×
0
×
1
0
0
1
0
0
0
0
×
0
×
×
1
1
0
1
0
0
0
1
0
×
×
1
1
×
1
0
1
1
0
1
0
0
×
×
0
×
1
1
1
0
0
0
1
1
×
1
1
×
1
×
1
1
0
1
1
0
0
×
0
0
×
×
1
1
1
1
0
1
0
1
×
0
×
1
1
×
1
1
1
1
0
0
0
×
1
×
1
×
1
◎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a)JK - flip flop 특성 방정식을 이용한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 C* >
JC = X\'AB + XA\'B\' KC = AB + X\'B + XA\'B\'
< B* >
JB = X\'A + XA\' KB = C + X\'A + XA\'
< A* >
JA = X\'C\' + CB\' + XB KA = 1
(b)JK - flip flop 여기표를 이용한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 Jc > = XA\'B\' + X\'AB < Kc > = X\'B + AB + XA\'B\'
< JB > = X\'A + XA\' < KB > = C + X\'A + XA\'
< JA > = X\'C\' + CB\' + XB < KA > = 1
◎ 토의 및 결론
: 초기에 여기표와 특성방정식의 진리표 작성시 특성방정식에 의한 논리식과 여기표에 의한 논리 식이 다르게 나왔으나, 토의 결과 진리표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 후 논리식이 동일하게 나오는 것을 알았다. 토의 시간과 설계를 같이 하며 조원간의 단합심을 기를 수 있었다.
이 번 설계를 통해서 JK flip flop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고 진리표의 작성과 특성방정식,여기표 를 이용한 논리식을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Logic Works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동기식 카운터는 비동기식과 다르게 CLOCK이 모든 JK-flip flop에 동시에 들어감으로 Time delay가 발생하지 않다는 이론을 설계를 통해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0
0
0
1
0
×
0
×
1
×
0
0
0
1
0
1
0
0
×
1
×
×
1
0
0
1
0
0
1
1
0
×
×
0
1
×
0
0
1
1
1
0
0
1
×
×
1
×
1
0
1
0
0
1
0
1
×
0
0
×
1
×
0
1
0
1
1
1
0
×
0
1
×
×
1
0
1
1
0
0
0
0
×
1
×
1
0
×
0
1
1
1
0
0
0
×
1
×
1
×
1
1
0
0
0
1
1
0
1
×
1
×
0
×
1
0
0
1
0
0
0
0
×
0
×
×
1
1
0
1
0
0
0
1
0
×
×
1
1
×
1
0
1
1
0
1
0
0
×
×
0
×
1
1
1
0
0
0
1
1
×
1
1
×
1
×
1
1
0
1
1
0
0
×
0
0
×
×
1
1
1
1
0
1
0
1
×
0
×
1
1
×
1
1
1
1
0
0
0
×
1
×
1
×
1
◎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a)JK - flip flop 특성 방정식을 이용한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 C* >
JC = X\'AB + XA\'B\' KC = AB + X\'B + XA\'B\'
< B* >
JB = X\'A + XA\' KB = C + X\'A + XA\'
< A* >
JA = X\'C\' + CB\' + XB KA = 1
(b)JK - flip flop 여기표를 이용한 7진 UP/DOWN COUNTER의 논리식 유도
< Jc > = XA\'B\' + X\'AB < Kc > = X\'B + AB + XA\'B\'
< JB > = X\'A + XA\' < KB > = C + X\'A + XA\'
< JA > = X\'C\' + CB\' + XB < KA > = 1
◎ 토의 및 결론
: 초기에 여기표와 특성방정식의 진리표 작성시 특성방정식에 의한 논리식과 여기표에 의한 논리 식이 다르게 나왔으나, 토의 결과 진리표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 후 논리식이 동일하게 나오는 것을 알았다. 토의 시간과 설계를 같이 하며 조원간의 단합심을 기를 수 있었다.
이 번 설계를 통해서 JK flip flop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고 진리표의 작성과 특성방정식,여기표 를 이용한 논리식을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Logic Works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동기식 카운터는 비동기식과 다르게 CLOCK이 모든 JK-flip flop에 동시에 들어감으로 Time delay가 발생하지 않다는 이론을 설계를 통해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추천자료
항공사 침체 속에서 탄생한 돌파구
Group Assignments 세계인의 제스처
모자이크1 해석 챕터 2_3
고분자 콤파운딩
나이트 오디터
PACS의 관한 보고서
참여정부의 총액배분자율편성
[청능훈련][청능훈련프로그램][청능훈련기법][청능훈련시 유의점]청능훈련의 기능, 청능훈련...
[비즈니스리엔지니어링]비즈니스리엔지니어링의 개념, 비즈니스리엔지니어링의 필요성, 비즈...
보디빌딩(웨이트트레이닝, 헬스)의 정의, 보디빌딩(웨이트트레이닝, 헬스)의 역사, 보디빌딩(...
세계 해상풍력발전의 현황 및 전망
[배드민턴][배드민턴 용어]배드민턴의 용어, 배드민턴의 장비, 배드민턴의 썸업, 배드민턴의 ...
(솔루션)물리학의 기초(북스힐) Solution - giambattista/McCarthy Richardson/Richardson 원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