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도 있었다. 그리고 고무관과 피펫의 연결부위에 테이프를 붙여놔 정확한 눈금을 읽기 어려웠고 플라스크와 고무관 , 고무관과 피펫의 연결부위로 이산화탄소가 새어나갔을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마개를 막기전 날라가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최소화하기위해 시료를 시료종이에 넣은상태로
플라스크에 넣었는데 이로인해 염산과 탄산염이 충분히 반응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눈금이 내려가다 최저점을 찍고 약간 올라가는데 육안으로 측정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었다.
처음뿐만이 아닌 발생 후 눈금을 읽을 때에도 수위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에 맞춰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
그리고 HCl에 녹는 의 양을 보정하지 않은것도 오차의 한 원인이라고 볼수 있겠다.
생각해 볼 문제
1)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보정하지 않았다. 이는 실험에서 얻은 탄산염의 분자량에 몇%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정확한 실험을 더 진행하지 않아 알기 힘들다.
2)이산화탄소 손실을 최소한 하는 방법.
Y자 유리관 한쪽에 탄산염 시료를 넣고 반대쪽에 HCl을 넣은후 마개를 닫고 반응시킨다.
8.참고문헌
①chemistry - thomson ②표준일반화학실험 -대한화학회 ③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마개를 막기전 날라가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최소화하기위해 시료를 시료종이에 넣은상태로
플라스크에 넣었는데 이로인해 염산과 탄산염이 충분히 반응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눈금이 내려가다 최저점을 찍고 약간 올라가는데 육안으로 측정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었다.
처음뿐만이 아닌 발생 후 눈금을 읽을 때에도 수위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에 맞춰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
그리고 HCl에 녹는 의 양을 보정하지 않은것도 오차의 한 원인이라고 볼수 있겠다.
생각해 볼 문제
1)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보정하지 않았다. 이는 실험에서 얻은 탄산염의 분자량에 몇%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정확한 실험을 더 진행하지 않아 알기 힘들다.
2)이산화탄소 손실을 최소한 하는 방법.
Y자 유리관 한쪽에 탄산염 시료를 넣고 반대쪽에 HCl을 넣은후 마개를 닫고 반응시킨다.
8.참고문헌
①chemistry - thomson ②표준일반화학실험 -대한화학회 ③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