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 집합건물법 소개
2. 집합건물의 소유 / 권리관계
3. 관리 조직
4. 재건축 및 복구
5. 문제점 및 해결방안
1. 집합건물법 소개
2. 집합건물의 소유 / 권리관계
3. 관리 조직
4. 재건축 및 복구
5.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문내용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집합건물법 소개
╋━━━━━━━━━━─────────
[제정 배경 & 목적]
1960년대 후반 이후의 경제발전과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하여 서울 등 대도시에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증가하여 구분소유와 공동이용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에 반하여 이
러한 새로운 생활관계를 규율 할 민법 및 부동산등기법 등 제 규정은 불비하여 공동주택소유자
간 분쟁증가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 해결을 위한 단일법 제정이 필요하게 되었음.
아파트,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의 증가로 집합건물 내에서의 공동생활을 합리적으로 규율하고
권리관계를 명확히 해서 구분소유자를 보호하고 구분 공동생활의 이해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정
(1984. 4. 10)
집합건물법 소개
╋━━━━━━━━━━─────────
[구 성 내 용]
제1장 건물의 구분소유
제1절 총칙
제2절 공용부분
제3절 대지사용권
제4절 관리단 및 관리인
제5절 규약 및 집회
제6절 의무위반자에 대한 조치
제7절 재건축 및 복구
제2장 단지
제3장 구분건물의 건축물대장
제4장 벌칙
[연 혁]
1. [시행2010.3.31] [법률 제10204호, 2010.3.31, 일부개정]
2. [시행2009.12.10] [법률 제9774호, 2009.6.9, 타법개정]
3. [시행2009.5.8] [법률 제9647호, 2009.5.8, 일부개정]
4. [시행2008.12.26] [법률 제9172호, 2008.12.26, 일부개정]
5. [시행2005.5.26] [법률 제7502호, 2005.5.26, 일부개정]
6. [시행2004.1.19] [법률 제6925호, 2003.7.18, 일부개정]
7. [시행1998.12.28] [법률 제5592호, 1998.12.28, 타법개정]
8. [시행1986.5.12] [법률 제3826호, 1986.5.12, 일부개정]
9. [시행1985.4.11] [법률 제3725호, 1984.4.10, 제정]
집합건물법 소개
╋━━━━━━━━━━─────────
[용어정리]
"구분소유권"이란 공용부분을 제외한 구분건물의 전유부분에 대한 소유권
을 말한다.
"구분소유자"란 구분소유권을 가지는 자를 말한다.
"전유부분"이란 구분소유권의 목적인 건물부분을 말한다.
"공용부분"이란 전유부분 외의 건물부분, 전유부분에 속하지 아니하는 건물
의 부속물 및 제3조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공용부분으로 된 부속
의 건물을 말한다.
"건물의 대지"란 전유부분이 속하는 1동의 건물이 있는 토지 및 제4조에 따
라 건물의 대지로 된 토지를 말한다.
"대지사용권"이란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
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말한다.
집합건물법 소개
╋━━━━━━━━━━─────────
[제정 배경 & 목적]
1960년대 후반 이후의 경제발전과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하여 서울 등 대도시에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증가하여 구분소유와 공동이용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에 반하여 이
러한 새로운 생활관계를 규율 할 민법 및 부동산등기법 등 제 규정은 불비하여 공동주택소유자
간 분쟁증가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 해결을 위한 단일법 제정이 필요하게 되었음.
아파트,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의 증가로 집합건물 내에서의 공동생활을 합리적으로 규율하고
권리관계를 명확히 해서 구분소유자를 보호하고 구분 공동생활의 이해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정
(1984. 4. 10)
집합건물법 소개
╋━━━━━━━━━━─────────
[구 성 내 용]
제1장 건물의 구분소유
제1절 총칙
제2절 공용부분
제3절 대지사용권
제4절 관리단 및 관리인
제5절 규약 및 집회
제6절 의무위반자에 대한 조치
제7절 재건축 및 복구
제2장 단지
제3장 구분건물의 건축물대장
제4장 벌칙
[연 혁]
1. [시행2010.3.31] [법률 제10204호, 2010.3.31, 일부개정]
2. [시행2009.12.10] [법률 제9774호, 2009.6.9, 타법개정]
3. [시행2009.5.8] [법률 제9647호, 2009.5.8, 일부개정]
4. [시행2008.12.26] [법률 제9172호, 2008.12.26, 일부개정]
5. [시행2005.5.26] [법률 제7502호, 2005.5.26, 일부개정]
6. [시행2004.1.19] [법률 제6925호, 2003.7.18, 일부개정]
7. [시행1998.12.28] [법률 제5592호, 1998.12.28, 타법개정]
8. [시행1986.5.12] [법률 제3826호, 1986.5.12, 일부개정]
9. [시행1985.4.11] [법률 제3725호, 1984.4.10, 제정]
집합건물법 소개
╋━━━━━━━━━━─────────
[용어정리]
"구분소유권"이란 공용부분을 제외한 구분건물의 전유부분에 대한 소유권
을 말한다.
"구분소유자"란 구분소유권을 가지는 자를 말한다.
"전유부분"이란 구분소유권의 목적인 건물부분을 말한다.
"공용부분"이란 전유부분 외의 건물부분, 전유부분에 속하지 아니하는 건물
의 부속물 및 제3조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공용부분으로 된 부속
의 건물을 말한다.
"건물의 대지"란 전유부분이 속하는 1동의 건물이 있는 토지 및 제4조에 따
라 건물의 대지로 된 토지를 말한다.
"대지사용권"이란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
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말한다.
추천자료
[마케팅] 화장품 아모레퍼시픽(태평양) 롤리카 렘피카 - 해외진출성공사례
[대안학교][대안교육]대안학교와 대안교육의 개념 이해, 대안학교(대안교육)의 해외사례 및 ...
한식 세계화를 위한 전략,한식세계화 현상황,문제점,한식해외진출성공사례,한식SWOT분석,앞으...
SSM(기업형슈퍼마켓)규제논란 찬성,반대입장분석및 해외사례분석
실업급여제도,고용보험,구직급여,사회복지,해외다른나라사회복지사례
일자리확충을 위한 정부의 일자리 정책 분석, 일자리 확충 해외사례, 나의 의견
[국내 도매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도매업의 발전방향 - 국내 도매업을 중심으로 (국내 도매업...
[ 독거노인 문제점과 해결방안 ] 독거노인의 개념,원인,관련정책분석과 독거노인 해외사례분...
안락사 개념,유형,찬성반대입장 분석및 안락사 해외사례와 국내판례분석과 안락사에 대한 나...
[비정규직 발표 PPT] 비정규직 개념,원인분석과 국내,해외사례분석및 비정규직 찬반논의와 해...
외국인노동자(이주노동자) 개념,분류,영향과 외국인노동자 국내 정책분석및 해외정책사례와 ...
[안락사 연구] 안락사 정의,종류와 찬반의견정리및 안락사 국내,해외사례연구와 안락사 대안...
[평생교육 활성화방안] 평생교육 정의,발전과정,필요성연구및 평생교육 주요내용과 정책분석...
저출산 개념,원인,문제점분석/ 저출산 국내,해외정책사례분석/ 저출산문제 해결방안제언과 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