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2. 통합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3. 통합교육과정의 목표
4. 통합교육과정의 필요성
5.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기능
6.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법
7.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2. 통합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3. 통합교육과정의 목표
4. 통합교육과정의 필요성
5.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기능
6.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법
7.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본문내용
다. 물론 이것은 언어와 문학을 통한 통합을 선택할 때 특별히 더 타당한 이야기가 된다.
▷ 총체적 언어 교수 - 국어과에서 가르치는 기능의 통합을 강조한다. 읽기, 쓰기 , 말하기, 듣기 그리고 국어과에 속하는 하위 기능 (철자, 손으로 쓰기, 문법) 을 따로 따로 그리고 고립된 상태로 가르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들 을 통합시킨다.
(3) 주제 중심 통합 :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탐구와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통합한다. 탐구와 학습의 중심이 되는 핵심 주제를 사용하는 교과 통합 방식이다.
▷ Jacobs(1986)이 제안한 주제 연구 개발을 위한 4단계 계획
① 주제 선정
② 주제와 연관되는 토픽과 아이디어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③ 주제의 조사를 안내할 수 있는 질문 설정
④ 주제의 탐구에 도움을 주는 활동의 설계 및 실행
▷ Meinbach(1995)의 성공적인 주제 단원 설계를 위해 고려해야 할 5가지 영역
① 주제 선정
② 주제 조직
③ 자원과 자료 수집
④ 활동과 프로젝트 설계
⑤ 단원 실행
(4) 쟁점 중심 통합 : 사회적 쟁점과 문제의 조사를 통하여 통합을 하는 방식이다.
▷ Savoie(1994)가 제시한 쟁점 중심 접근 시 고려해야 할 절차
① 문제를 가지고 시작한다.
② 그 문제가 학생들의 세계와 연결되도록 한다.
③ 교재를 학문 분야가 아니라 문제를 중심으로 조직한다.
④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학습을 구성하고 주도할 수 있도록 책임을 부여한다.
⑤ 대부분의 학습을 위한 맥락으로서 소규모 팀을 이용한다.
⑥ 학생들이 학습한 것을 산출물이나 수행을 통하여 보여 주도록 요구한다.
7.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이론적 연구보다는 교과통합에 의한 교실수업의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과 통합에 있어서 학습자 참여 유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통합교과교육을 촉진하는 학습환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정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융통성과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들 간의 균형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합교과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참고문헌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이영만,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1.
강현석 외,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04.
김복영 외,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활용한 통합교육과정 모색」, 『교육과정연구』28권 1호, 2010.
▷ 총체적 언어 교수 - 국어과에서 가르치는 기능의 통합을 강조한다. 읽기, 쓰기 , 말하기, 듣기 그리고 국어과에 속하는 하위 기능 (철자, 손으로 쓰기, 문법) 을 따로 따로 그리고 고립된 상태로 가르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들 을 통합시킨다.
(3) 주제 중심 통합 :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탐구와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통합한다. 탐구와 학습의 중심이 되는 핵심 주제를 사용하는 교과 통합 방식이다.
▷ Jacobs(1986)이 제안한 주제 연구 개발을 위한 4단계 계획
① 주제 선정
② 주제와 연관되는 토픽과 아이디어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③ 주제의 조사를 안내할 수 있는 질문 설정
④ 주제의 탐구에 도움을 주는 활동의 설계 및 실행
▷ Meinbach(1995)의 성공적인 주제 단원 설계를 위해 고려해야 할 5가지 영역
① 주제 선정
② 주제 조직
③ 자원과 자료 수집
④ 활동과 프로젝트 설계
⑤ 단원 실행
(4) 쟁점 중심 통합 : 사회적 쟁점과 문제의 조사를 통하여 통합을 하는 방식이다.
▷ Savoie(1994)가 제시한 쟁점 중심 접근 시 고려해야 할 절차
① 문제를 가지고 시작한다.
② 그 문제가 학생들의 세계와 연결되도록 한다.
③ 교재를 학문 분야가 아니라 문제를 중심으로 조직한다.
④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학습을 구성하고 주도할 수 있도록 책임을 부여한다.
⑤ 대부분의 학습을 위한 맥락으로서 소규모 팀을 이용한다.
⑥ 학생들이 학습한 것을 산출물이나 수행을 통하여 보여 주도록 요구한다.
7.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이론적 연구보다는 교과통합에 의한 교실수업의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과 통합에 있어서 학습자 참여 유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통합교과교육을 촉진하는 학습환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정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융통성과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들 간의 균형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합교과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참고문헌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이영만,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1.
강현석 외,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04.
김복영 외,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활용한 통합교육과정 모색」, 『교육과정연구』28권 1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통합적 유아교육 과정의 구성
다문화 유아교육 / 다문화 가정을 위한 통합과정 운영 방안
[교육 사회학]문화와 교육적 기능과 관계, 문화과정으로서의 교육
통합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고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선정 이유와 주제에 따른 교...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성격,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원리와 과정,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WBI(웹기반학습,교육, 웹기반수업) 정의, 교육적기능, 특성, WBI(웹기반학습,교육, 웹기반수...
[판화][판화의 제작과정][판화의 기법][판화의 찍어내기방법]판화의 교육적 의미, 판화의 특...
아동문학 작품을 통해 유아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가
[유아미술교육] 미술 감상교육의 중요성, 미술 감상 교육 내용 및 방법, 통합적 미술교육, 통...
[언어지도] 전래동요의 정의, 전래동요의 의의, 전래동요의 유아교육적 가치, 한국 전래동요...
[동극활동] 동극활동의 교육적 가치, 동극활동의 과정 및 교수방법 (동극, 동극활동의 개념, ...
[보육학개론] 영아들에게 실천 가능한 요리활동계획안(요리 활동 프로그램의 통합 교육적 의...
[문학교육론] 청소년 문학의 소통 양상 - 중개자들의 기능과 전략, 청소년 문학 의사소통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