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원예학총론 제1장~4장 요약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소원예학총론 제1장~4장 요약정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채소
제2장 채소의 경영형태, 작형 및 품종육성
제3장 채소의 생장과 발육
제4장 채소의 영양생리

본문내용

nge) : 식물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하는 것
경정부의 생장점에서 가장 먼저 발생
- 대개 일단 꽃눈이 분화되면 초생윤부에서 계속적으로 나오던 잎과 곁눈의 분화가 중단된다
- 시금치, 잎상추 : 극히 짧은 단축경 위에 잎이 밀생하다 꽃눈이 분화되어 화경이 신장 (추대)
3. 화아분화와 추대의 생리
(1) 온도의 영향
① 온도감응성
- 온도감응성 식물 :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
- 종자감응형(종자춘화형, seed vernalization)
·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여 배가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그 뒤 아무 때나 저온에 감응할 수 있는 종
· 무, 배추 및 양배추의 일부
- 녹식물감응형(green plant vernalization)
· 식물체가 일정한 크기에 도달해야만 저온에 감응
· 양배추, 양파, 파, 당근, 셀러리, 백합과 및 미나리과 채소
② 춘화처리의 적온과 일수
- 대개 5℃ 가 가장 효과적이고 10℃ 이상에서는 효과가 감소하고 15℃ 이상 되면 효과가 미미
- 6.5±1℃가 가장 적합
- 이춘화현상(역춘화현상, devernalization) : 저온감응을 받아 춘화처리가 된 것을 다시 25~30℃ 의 고온에 3~4주 정도 노출시키면 이미 받은 저온감응을 다시 상쇄
(2) 광의 영향
① 일장효과에 따른 식물분류
- 단일성 식물(short day plant) : 하루 중 일광이 비치는 시간이 한계일장보다 짧아야 화아분화 및 개화하는 식물
- 장일성 식물(long day plant) : 한계일장보다 일광이 비치는 시간이 길어야 개화 용이
- 중성식물(day neutral plant) : 어떤 일장조건에도 개화가 용이
② 암기의 광중단
- 단일성식물 : 장야식물(長夜植物), 장일성식물 : 단야식물(短夜植物)
- 광중단(light break) : 암기의 중간에 광선을 조명, 광질의 영향을 결정적으로 받는다
- 일장반응에도 피토크롬계가 관여하고 있다
③ 감광부위 및 관여물질
- 식물체에 따라서는 잎 1매에만 일장처리를 해도 그 효과가 처리 받은 잎 가까운 곳에서부터 꽃 눈이 분화되기 시작해 전체식물에 퍼지게 된다
4. 추대
- 무나 배추는 꽃눈이 분화되지 않으면 계속 총생(rosette)으로 생장을 계속하나 일단 경정에 꽃눈 이 분화되면 마디사이가 신장하여 추대(bolting)한다
5. 채소작물별 화아분화의 추대 요인
(1) 무와 배추
- 사철무(時無大根)는 저온감응성이 낮아 화아분화를 위해 장기간 저온처리가 요구된다
- 일반적으로 봄무가 가을무에 비해 저온감응 정도가 낮아야만 불시추대현상이 나타남
- 배추도 무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나 결구배추의 경우 저온요구도 가을무보다 크고 장일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2) 당근과 우엉
- 녹식물감응형으로 일정 정도 크기 이상에 도달해야 저온에 감응하여 꽃눈이 분화되고 이후 저온 장일 조건에 의해 추대와 개화가 촉진된다
- 파종기에 따라 신중한 품종선택이 중요
(3) 양배추와 꽃양배추
- 양배추는 일반적으로 저온에 감응하는 정도는 품종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본엽 10~20매의 묘라면 10℃ 이하의 저온에서 30일 이상 감응해야 꽃눈 분화
- 꽃양배추는 녹식물감응형이지만 감응받는 저온한계가 매우 높아 15~23℃에서 감응
(4) 파와 양파
- 양파는 묘를 정식할 때 일정 크기 이상의 대묘를 정식하면 월동기간중 저온에 감응해 이듬해 봄 에 구를 형성하지 않고 추대
(5) 상추
- 전형적으로 고온에 반응해야 꽃눈이 분화
- 일정기간의 고온보다 적산온도(매일매일 평균기온의 누적)에 따라 추대와 개화
- 결구상추 : 적산온도 1400~1700℃에서 꽃눈 분화
- 결구가 강할 경우 외관상 조기 식별이 어렵다
(6) 시금치
- 대표적 장일식물로 5~7월에 파종하면 바로 추대와 개화 실시
(7) 딸기
- 저온과 단일의 상호작용이 발생
- 보통 8월 하순~11월 중순에 걸쳐 꽃눈 분화(저온단일조건)
- 사철딸기는 일반딸기에 비해 저온요구도가 낮아 꽃눈분화가 쉽고 대신에 러너(runner)를 발생시 키지 않는다 →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
(8) 토마토
- 중성식물로 일정 크기에 도달하면 규칙적으로 화방이 달려나감
- 주간에 강한 일조와 야간에 저온으로 관리할 때 제 1화방의 착생시기가 단축되어 외관상 착생위 치가 낮아지고 화방당 착화수 증가
(9) 박과채소류
- 저온단일 조건에서 첫째 암꽃의 착생위치가 낮아지고 포기 전체에 착생하는 암꽃의 수도 현저히 증가한다
§4. 착과 및 과실의 발육
◎ 꽃과 과실의 발달
(1) 꽃의 구조의 명칭
- 고추 : 자웅 양성기관을 갖춘 양성화(bisexual flower, 완전화)
- 박과채소 : 대개 자웅이화이고 한 주에 동시에 착생하기는 하나 타가수정을 한다
- but, 멜론이나 참외는 양성화와 단성화의 수꽃이 동일 주에 착생
- 씨방하위구조
- 딸기 : 암술은 보통 200~400개, 수술은 보통 30~40개가 한 꽃받침 위에 착생
(2) 수분 및 수정
- 가지과채소는 일반적으로 자가수분을 하지만 박과채소는 자웅이화인 관계로 충매(蟲媒)에 의해 타가수분
- 콩과식물은 전형적 자가수분작물이고 딸기는 구조상 자가수분도 용이하나 충매에 의한 타가수분
(3) 과실의 비대
- 꽃가루가 발아하여 암술대를 뚫고 자라기 시작하면 이층발달이 억제되고 씨방의 비대가 시작
- 단위결과(parthenocarpy)에 의해 과실이 발달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과실의 비대에 는 종자가 필요하다
- 과채류는 종자수가 많을수록 과실이 커지고 과형도 정상으로 된다(딸기나 토마토)
- 일단 과실이 비대해지기 시작하면 식물체내에서 양분과 수분의 재분배가 왕성히 이루어진다 → 식물체의 영양생장 억제, 과실 상호간 경쟁적인 작용으로 낙과(落果)의 원인
(4) 착과제의 종류
- 단위결과(單爲結果) : 수정에 의해 종자가 형성되지 않아도 생장조절물질 또는 합성호르몬의 처 리시 과실이 비대
- 토마토 : 토마토톤, 토마토란
(5) 인공교배와 매개곤충
- 박과채소 : 수꽃을 따서 암술머리에 바름
- 토마토 : (시설내) 진동기로 흔들어 꽃가루가 약에서 쏟아져 나와 암술머리에 부착되도록 유도
- 매개곤충 : 꿀벌, 꽃등에, 파리,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1.11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