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전도 모니터
<목적>
<적응>
<정상 파형>
<정상 심전도의 의미>
<비정상 심전도의 예>
<흉부 유도 위치>
<12-lead 심전도의 기본적인 파형>
<주요 부정맥 >
<심전도 모니터 & 12-lead 심전도 비교>
<심방세동>
<심실세동>
<목적>
<적응>
<정상 파형>
<정상 심전도의 의미>
<비정상 심전도의 예>
<흉부 유도 위치>
<12-lead 심전도의 기본적인 파형>
<주요 부정맥 >
<심전도 모니터 & 12-lead 심전도 비교>
<심방세동>
<심실세동>
본문내용
) lead Ⅰ: 좌측 팔목(LA)과 우측팔목(RA) 사이의 전위차
2) lead Ⅱ: 우측 팔목(RA)과 좌측 다리(LL) 사이의 전위차
3) lead Ⅲ: 좌측 팔목(LA)과 좌측 다리(LL) 사이의 전위차
** 단극유도(aVR, aVL, aVF)
- 각각 팔, 다리의 전기적 힘을 측정한 값으로 전극을 부착시킨 부위의 전위 변화를 그대로 기록
-한 시점에서 심장을 바라봄.
◈ a⇒ 증폭된, V⇒ 전압, R⇒ 오른손, L⇒ 왼손, F⇒ 왼발
1)aVR : 우측 팔
2)aVL : 좌측 팔
3)aVF : 좌측 다리(발)
* 흉부유도
- 횡단면에 있는 각 부위의 전기적인 힘을 기록하는 단극 유도법
- 흉부에 전극을 붙여 측정, 심전도를 심장의 횡단면에서 보고 있음
- 앞쪽 흉벽을 가로지르면서 1번부터 6번까지 순서대로 정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기록
<흉부 유도 위치>
1) V1 : 우측 흉골 경계연의 4번째 늑간
2) V2 : 좌측 흉골 경계연의 4번째 늑간
3) V3 : V2 와 V4 사이의 중간 지점
4) V4 : 좌측 쇄골 중앙선상의 5번째 늑간
5) V5 : 좌측 전액와선상의 5번째 늑간
6) V6 : 좌측 액와 중앙선상의 5번째 늑간
◈ 각 유도는 다른 각도에서 심근의 전기적 활동 상태를 보여줌
① 유도Ⅰ, aVL, V5, V6 : 좌심실 측면
Ex) 유도Ⅰ, aVL, V5, V6 파형 이상 ⇒ 좌심실 측면의 손상을 의미
② 유도Ⅱ,Ⅲ, aVF : 좌심실 하부
③ 유도 V1, V2 : 심실 중격 부분
④ 유도 V3, V4 : 우심실과 좌심실 전면
◈ 12-lead 심전도는 검사하는 동안의 심장리듬을 기록하므로 심장리듬의 불규칙성을 진단하기 위해 계속적인 측정이 필요한 경우는 어느 한 유도를 통해 모니터를 계속적으로 관찰해야 함 ⇒ leadⅡ에서 QRS파가 가장 높게 나타나므로 이를 길게 기록하여 판독
<12-lead 심전도의 기본적인 파형>
1) lead Ⅰ: P파 상향, P파 다소 보기 힘듦
2) lead Ⅱ: R파 상향, P파 보기 쉬움, 부정맥 쉽게 알 수 있음
3) lead Ⅲ: R파 상향, P파 쉽게 볼 수 있음
4) aVR : P파, QRS파, T파 모두 하향
5) aVL : 파형 전체가 다소 작음, R파가 음성이 되기도 함
6) aVF : P파 보기 쉬움
7) V1 : 파형전체가 커서 보기 쉬움, 부정맥 쉽게 알 수 있음, T파 하향, S파 깊음
8) V2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P파 보기 어려움, S파 깊음
9) V3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10) V4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R파와 S파 이상성
11) V5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ST변화 쉽게 알수 있음
12) V6 : R파 상향으로 큼
<주요 부정맥 >
심방세동(AF)은 심방의 여러 흥분 중추에서의 흥분으로 인하여 유발
<특징>
1)P파의 소실
2)불규칙한 작은 진동(f파)
3)RR간격 불규칙
심실세동(VF)은 다수의 심실 이소성 중추에 의해 유발되며 심실에 경련을 유발
<특징>
1)P파, QRS파, T파가 없는, 불규칙한 파형의 연속
2)심장이 멈춰있는 것과 같은 상태, 긴급처치 필요
<심전도 모니터 & 12-lead 심전도 비교>
심전도 모니터
12-lead 심전도
사용포인트
장시간 관찰
진단
장점
1. 장시간 관찰 가능
2. 숨은 부정맥 발견
3. 이상상태 시 알람으로 알려줌
4. 동시에 복수 모니터 가능
1. 심장의 정보를 여러 방향에서 기록
2. 심장의 전체 상태 파악
3. 부정맥 뿐 아니라 허혈성심질환이나 심근증 등 형태의 이상을 진단
4. 전해질 이상 등의 추측 가능
단점
하나의 유도만 기록
기록 시간이 짧음
<심방세동>
<심실세동>
2) lead Ⅱ: 우측 팔목(RA)과 좌측 다리(LL) 사이의 전위차
3) lead Ⅲ: 좌측 팔목(LA)과 좌측 다리(LL) 사이의 전위차
** 단극유도(aVR, aVL, aVF)
- 각각 팔, 다리의 전기적 힘을 측정한 값으로 전극을 부착시킨 부위의 전위 변화를 그대로 기록
-한 시점에서 심장을 바라봄.
◈ a⇒ 증폭된, V⇒ 전압, R⇒ 오른손, L⇒ 왼손, F⇒ 왼발
1)aVR : 우측 팔
2)aVL : 좌측 팔
3)aVF : 좌측 다리(발)
* 흉부유도
- 횡단면에 있는 각 부위의 전기적인 힘을 기록하는 단극 유도법
- 흉부에 전극을 붙여 측정, 심전도를 심장의 횡단면에서 보고 있음
- 앞쪽 흉벽을 가로지르면서 1번부터 6번까지 순서대로 정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기록
<흉부 유도 위치>
1) V1 : 우측 흉골 경계연의 4번째 늑간
2) V2 : 좌측 흉골 경계연의 4번째 늑간
3) V3 : V2 와 V4 사이의 중간 지점
4) V4 : 좌측 쇄골 중앙선상의 5번째 늑간
5) V5 : 좌측 전액와선상의 5번째 늑간
6) V6 : 좌측 액와 중앙선상의 5번째 늑간
◈ 각 유도는 다른 각도에서 심근의 전기적 활동 상태를 보여줌
① 유도Ⅰ, aVL, V5, V6 : 좌심실 측면
Ex) 유도Ⅰ, aVL, V5, V6 파형 이상 ⇒ 좌심실 측면의 손상을 의미
② 유도Ⅱ,Ⅲ, aVF : 좌심실 하부
③ 유도 V1, V2 : 심실 중격 부분
④ 유도 V3, V4 : 우심실과 좌심실 전면
◈ 12-lead 심전도는 검사하는 동안의 심장리듬을 기록하므로 심장리듬의 불규칙성을 진단하기 위해 계속적인 측정이 필요한 경우는 어느 한 유도를 통해 모니터를 계속적으로 관찰해야 함 ⇒ leadⅡ에서 QRS파가 가장 높게 나타나므로 이를 길게 기록하여 판독
<12-lead 심전도의 기본적인 파형>
1) lead Ⅰ: P파 상향, P파 다소 보기 힘듦
2) lead Ⅱ: R파 상향, P파 보기 쉬움, 부정맥 쉽게 알 수 있음
3) lead Ⅲ: R파 상향, P파 쉽게 볼 수 있음
4) aVR : P파, QRS파, T파 모두 하향
5) aVL : 파형 전체가 다소 작음, R파가 음성이 되기도 함
6) aVF : P파 보기 쉬움
7) V1 : 파형전체가 커서 보기 쉬움, 부정맥 쉽게 알 수 있음, T파 하향, S파 깊음
8) V2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P파 보기 어려움, S파 깊음
9) V3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10) V4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R파와 S파 이상성
11) V5 : QRS파가 커서 보기 쉬움, ST변화 쉽게 알수 있음
12) V6 : R파 상향으로 큼
<주요 부정맥 >
심방세동(AF)은 심방의 여러 흥분 중추에서의 흥분으로 인하여 유발
<특징>
1)P파의 소실
2)불규칙한 작은 진동(f파)
3)RR간격 불규칙
심실세동(VF)은 다수의 심실 이소성 중추에 의해 유발되며 심실에 경련을 유발
<특징>
1)P파, QRS파, T파가 없는, 불규칙한 파형의 연속
2)심장이 멈춰있는 것과 같은 상태, 긴급처치 필요
<심전도 모니터 & 12-lead 심전도 비교>
심전도 모니터
12-lead 심전도
사용포인트
장시간 관찰
진단
장점
1. 장시간 관찰 가능
2. 숨은 부정맥 발견
3. 이상상태 시 알람으로 알려줌
4. 동시에 복수 모니터 가능
1. 심장의 정보를 여러 방향에서 기록
2. 심장의 전체 상태 파악
3. 부정맥 뿐 아니라 허혈성심질환이나 심근증 등 형태의 이상을 진단
4. 전해질 이상 등의 추측 가능
단점
하나의 유도만 기록
기록 시간이 짧음
<심방세동>
<심실세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