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검사 소개
1. 검사도구
2. 검사지
3. 연령계산과 연령선 그리기
(1) 일반적 방법
(2) 조산아인 경우
(3) 연령선 긋기
4. 검사시행 방법
(1) 일반적 방법
(2) 신뢰관계 형성
(3) 검사시작
(4) 검사순서
(5) 검사항목 수
(6) 검사 시 행동양상 평가
(7) 결과 표시
5. 각 항목의 해석
(1) ‘월등한’ 항목
(2) ‘정상’항목
(3) ‘주의’ 항목
(4) ‘지연’ 항목
(5) ‘기회 없음’ 항목
6. 검사 해석과 추후검사 요구
(1) 정상발달:
(2) 의심스런 발달:
(3) 검사 불능:
(4) 의뢰 기준:
1. 검사도구
2. 검사지
3. 연령계산과 연령선 그리기
(1) 일반적 방법
(2) 조산아인 경우
(3) 연령선 긋기
4. 검사시행 방법
(1) 일반적 방법
(2) 신뢰관계 형성
(3) 검사시작
(4) 검사순서
(5) 검사항목 수
(6) 검사 시 행동양상 평가
(7) 결과 표시
5. 각 항목의 해석
(1) ‘월등한’ 항목
(2) ‘정상’항목
(3) ‘주의’ 항목
(4) ‘지연’ 항목
(5) ‘기회 없음’ 항목
6. 검사 해석과 추후검사 요구
(1) 정상발달:
(2) 의심스런 발달:
(3) 검사 불능:
(4) 의뢰 기준:
본문내용
목표가 아동의 발달 지연을 알기위한 것인지 상대적인 아동의 발달적 강점을 알기 위한 것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a. 아동이 발달적 위기에 있는지 결정하려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한다.
·1단계 : 각 영역에서 연령선이 지나는 각각의 항목을 시행하며 적어도 연령선의 왼쪽에서 가장 가까운 세 개의 항목은 전부 시행한다.
·2단계 : 아동이 1단계에서 어떤 항목을 실행하지 못하면(실패, 거부, 기회없음), 세 항목을 아동이 통과할 때까지 해당 역역의 왼쪽으로 항목을 추가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b. 아동의 상대적인 최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의 검사를 시행한다.
·1단계 :각 영역에서 연령선이 지나는 각각의 항목을 시행하며 적어도 연령선의 왼쪽에서 거장 가까운 세 개의 항목은 전부 시행한다.
·2단계 : 각 항목에서 통과하면 세 개의 실패항목이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오른쪽 항목을 시행한다.
각 항목 수행 시 실패로 결정하기 전에 적절하다면 3번의 기회를 준다.
(6) 검사 시 행동양상 평가
검사행동(test behavior)평가는 검사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한다. 아동의 행동과 능력이 일상 때와 같았는지 부모에게 항상 물어서 확인한다. 아동의 신체적 상황과 정서적인 문제는 실제 수행능력을 발휘하기 어렵게 하므로 아동이 협조를 잘 할 수 있는 다른 때에 다시 검사를 시행한다.
(7) 결과 표시
각 항목의 결과는 50%의 눈금이 있는 위치에 표시한다.
·통과(pass) : "P"
·실패(fail) : "F"
·기회없음(no opportunity) : "NO"
·거부(refusal) : "R"·
5. 각 항목의 해석
연령선
(1) ‘월등한’ 항목
p
아동이 연령선의 오른쪽에 있는 항목을
완벽하게 통과한 경우
(2) ‘정상’항목
연령선
아동의 연령선보다 오른쪽에 있는 항목에 대하여 실패나 거부한 경우
연령선
R
F
연령선
연령선
아동의 연령선이 항목의 25%와75%사이에 있을 경우의 통과, 실패, 또는 거부 할때
연령선
p
F
R
(3) ‘주의’ 항목
연령선
연령선
연령선
연령선
전체적인 검사를 해석할 때 각 항목에서 ‘주의’는 고려된다. 아동이 연령선에 지나는 항목이나 또는 연령선이 75%와 90%사이에 있는 항목에서 실패나 거부 했을 경우
‘주의’는 막대의 오른쪽에 ‘C'라고 표시
F
c
R
c
R
F
c
c
(4) ‘지연’ 항목
R
각 항목에서 ‘주의’, ‘지연’은 전체 검사해석 시 고려된다. 연령선에서 완전히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패하거나 거부했을 때
연령선
연령선
‘지연’은 막대의 오른쪽 끝에 색칠을 하여 표시
F
(5) ‘기회 없음’ 항목
연령선
연령선
보고에 의한 항목으로 아동이 시도할 기회가 없었다고 부모가 말한 경우 ‘N.O'로 표시 이 항목은 전체 검사해석 시 고려되지 않는다.
NO
NO
6. 검사 해석과 추후검사 요구
(1) 정상발달:
ㆍ지연항목이 없고 주의 항목이 최대 1개
ㆍ다음 정규방문시 검사를 시행
(2) 의심스런 발달:
ㆍ1개의 지연항목이나 2개나 그 이상의 주의 항목
ㆍ공포, 질병, 피곤함 같은 일시적인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 1~2주내에 재검사실시.
필요에 의해 의심스런 발달의 기준을 조정가능
(3) 검사 불능:
ㆍ완전히 연령선 왼쪽의 항목에서 1개 이상의 거부나 75%~90%사이에 연령선이 지나는 항목에 2개 이상의 ‘R' 점수가 있는 경우
ㆍ1~2주내에 재검사를 실시
(4) 의뢰 기준:
재검사에서 결과가 다시 의심이나 검사 불능으로 나오는 경우 전문가에게 외뢰할 것인지 여부는 다음 사항에 근거한 판단에 의해 결정
ㆍ검사결과 검토
ㆍ주의와 지연 항목수
ㆍ이전의 발달 정도
ㆍ다른 임상적 자료(과거력, 임상검사 결과 등)
a. 아동이 발달적 위기에 있는지 결정하려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한다.
·1단계 : 각 영역에서 연령선이 지나는 각각의 항목을 시행하며 적어도 연령선의 왼쪽에서 가장 가까운 세 개의 항목은 전부 시행한다.
·2단계 : 아동이 1단계에서 어떤 항목을 실행하지 못하면(실패, 거부, 기회없음), 세 항목을 아동이 통과할 때까지 해당 역역의 왼쪽으로 항목을 추가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b. 아동의 상대적인 최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의 검사를 시행한다.
·1단계 :각 영역에서 연령선이 지나는 각각의 항목을 시행하며 적어도 연령선의 왼쪽에서 거장 가까운 세 개의 항목은 전부 시행한다.
·2단계 : 각 항목에서 통과하면 세 개의 실패항목이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오른쪽 항목을 시행한다.
각 항목 수행 시 실패로 결정하기 전에 적절하다면 3번의 기회를 준다.
(6) 검사 시 행동양상 평가
검사행동(test behavior)평가는 검사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한다. 아동의 행동과 능력이 일상 때와 같았는지 부모에게 항상 물어서 확인한다. 아동의 신체적 상황과 정서적인 문제는 실제 수행능력을 발휘하기 어렵게 하므로 아동이 협조를 잘 할 수 있는 다른 때에 다시 검사를 시행한다.
(7) 결과 표시
각 항목의 결과는 50%의 눈금이 있는 위치에 표시한다.
·통과(pass) : "P"
·실패(fail) : "F"
·기회없음(no opportunity) : "NO"
·거부(refusal) : "R"·
5. 각 항목의 해석
연령선
(1) ‘월등한’ 항목
p
아동이 연령선의 오른쪽에 있는 항목을
완벽하게 통과한 경우
(2) ‘정상’항목
연령선
아동의 연령선보다 오른쪽에 있는 항목에 대하여 실패나 거부한 경우
연령선
R
F
연령선
연령선
아동의 연령선이 항목의 25%와75%사이에 있을 경우의 통과, 실패, 또는 거부 할때
연령선
p
F
R
(3) ‘주의’ 항목
연령선
연령선
연령선
연령선
전체적인 검사를 해석할 때 각 항목에서 ‘주의’는 고려된다. 아동이 연령선에 지나는 항목이나 또는 연령선이 75%와 90%사이에 있는 항목에서 실패나 거부 했을 경우
‘주의’는 막대의 오른쪽에 ‘C'라고 표시
F
c
R
c
R
F
c
c
(4) ‘지연’ 항목
R
각 항목에서 ‘주의’, ‘지연’은 전체 검사해석 시 고려된다. 연령선에서 완전히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패하거나 거부했을 때
연령선
연령선
‘지연’은 막대의 오른쪽 끝에 색칠을 하여 표시
F
(5) ‘기회 없음’ 항목
연령선
연령선
보고에 의한 항목으로 아동이 시도할 기회가 없었다고 부모가 말한 경우 ‘N.O'로 표시 이 항목은 전체 검사해석 시 고려되지 않는다.
NO
NO
6. 검사 해석과 추후검사 요구
(1) 정상발달:
ㆍ지연항목이 없고 주의 항목이 최대 1개
ㆍ다음 정규방문시 검사를 시행
(2) 의심스런 발달:
ㆍ1개의 지연항목이나 2개나 그 이상의 주의 항목
ㆍ공포, 질병, 피곤함 같은 일시적인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 1~2주내에 재검사실시.
필요에 의해 의심스런 발달의 기준을 조정가능
(3) 검사 불능:
ㆍ완전히 연령선 왼쪽의 항목에서 1개 이상의 거부나 75%~90%사이에 연령선이 지나는 항목에 2개 이상의 ‘R' 점수가 있는 경우
ㆍ1~2주내에 재검사를 실시
(4) 의뢰 기준:
재검사에서 결과가 다시 의심이나 검사 불능으로 나오는 경우 전문가에게 외뢰할 것인지 여부는 다음 사항에 근거한 판단에 의해 결정
ㆍ검사결과 검토
ㆍ주의와 지연 항목수
ㆍ이전의 발달 정도
ㆍ다른 임상적 자료(과거력, 임상검사 결과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