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생기는 것이 보통
T/R I- 시작반응
이것이 너무 클 때에는 심적 기능의 저하 또는 방위적, 경제적 태도,
성서적 억제상태라고 할 수 있다.
(R/Ri 는 보통 30 이하)
T/R- 평균 반응 시간 수
어떤 카드에 대한 T/R이 특히 길 때에는 피험자가 그 카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었거나 또는 어떤 이유에서든 반응이 곤란 했었다는 사실임을
의미한다.
7장
[3절] 유아학습 준비도 검사
한국교육개발원 박혜정, 강혜원, 장명림이 개발한 것이다.
취학 전 유아들의 학습 결손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 유아가 초등학교 입학하여 초기 학습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예견
- 정규 학교 교육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유아를 선별하는 기능
- 교정 또는 보상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얻는 데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
- 학습준비도 영역의 명세화 과정을 통해 측정 내용 및 요소를 추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항을 제작, 선정한 것.
유아학습준비도의 목적- (검사 대상은 취학 전 유아로 하고 있다)
대부분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하므로 읽기와 쓰기가 어렵다는 점과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서 학습한다는 발달 특성을 충분히 감안하여 구두 응답,
그림 지적, 그림 카드배열, 자료 조작, 그리고 직접적인 신체 행위를 요하는 다양한 측정
방법으로 되어있다.
(확실하게 파악하기 위해 각 유아별로 실시하는 개인 검사로 되어있음)
- 검사의 구성과 내용
운동 협응력
신체를 자유로이 조정, 조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소근육 운동 및 협응
대근육 운동 및 협응을 포함
변별력
여러 자극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능력
기억력
앞에 제시된 자료들을 회상하는 능력으로 시각 기억, 청각 기억을 포함
개념 형성
여러 사물의 추상적인 특성이나 어떤 사실의 원리 및 규칙을 파악하는 능력
이해력
어떤 물체나 표상, 행위 및 다양한 상황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
8장
[3절] 지각- 운동발달 진단검사
지각- 운동발달진단검사는 유아기에 있어서 읽기, 쓰기 등의 지도와 관련되어 있다.
지적학습에 있어서 어린이가 최초로 학습하는 단계는 감각- 운동단계이다.
제1단계에서는 주로 균형, 조작, 이동에 관한 학습이 행해지고 그 결과 운동능력, 신체에
대한 의식, 피부감각, 근육운동감각, 평형감각 등이 발달한다.
제2단계는 지각의 단계이다. 학습, 위치에 대한 학습, 방향에 대한 학습, 공간관계에 대한 학습 등이 행해지고 형태지각, 위치지각, 방향 지각등이 발달한다.
제2단계는 인지 또는 개념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주로 추상화의 학습, 심벌형성의 학습,
언어화의 학습 등이 이루어진다.
- 검사의 구성과 내용
① 지각검사(p) 입문기의 문자 읽기, 쓰기 등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간단한 도형이나
기호의 변별, 그림-배경의 지각 등 시지각의 발달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하위 검사이다.
② 운동검사(M) 이것은 연필을 사용하여 선을 긋거나 문자를 쓰기 위해 필요한 상지의
운동능력 발달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된 하위 검사이다.
이 하위 검사는 총 3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4절] 한국판 덴버 발육선별검사
덴버발육선별검사(DDST)는 발육지연을 발견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1960년도에 미국 덴버의 콜로라도 의과대학에서 프랑켄버그외 2인에 의해 개발된 것을 이은이 이 검사를 바탕으로 한국판 덴버 발육선별검사를 표준화 하였다.
DDST는 간단한 검사도구 , 검사용지, 검사 설명서로 되어있다.
DDST목적은 유아 또는 의견상 이상이 없어 보이는 유아에게 실시하여 발달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유아를 선별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의료기관 뿐 아니라 유치원이나
유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도 발육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 검사의 구성과 내용
DDST는 출생에서 6세 사이의 유아가 할 수 있는 104개의 검사항목으로 구성
개인성 * 사회성
유아가 다른 사람과 관계를 유지하고 자기자신을 돌볼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한다.
미세운동, 적응성
유아가 손을 이용하여 물건을 집거나 그림그리기 등의 능력을 검사한다.
언 어
유아가 명령을 듣고, 수행하고, 또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한다.
전 체 운 동
유아가 앉고, 걷고, 뛰는 능력을 검사한다.
- 검사설명서 (총 28중 몇 가지만 요약)
→ 아기에게 웃거나 얘기해서 아이가 웃도록 한다.
→ 손에 장난감을 갖고 놀 때 뺏어본다, 저항하면 합격
→ 딸랑이가 손가락 끝이나 손가락 등 쪽에 닿았을 때 손으로 잡으면 합격.
→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건포도를 잡으면 합격
→ 엄지와 인지 끝으로 정확히 건포도를 잡으면 합격
→ 원을 그릴 경우 닫혀진 원은 합격, 둥근선을 반복해서 그리면 불합격
→ □을 보고 그리게 한 후 못하면 시범을 보이고 나서 그리게 한다.
→ 그림을 가리키며 이름을 물어본다.
→ 엎친 자세에서 팔이나손으로 버티고 가슴까지 든다.
→ 20cm 폭의 종이를 두발로 붙이고 건너 뛰어야 한다.
→ 90cm 떨어져서 유아에게 공을 튕겨 보내면 팔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잡아야 한다.
3번 시도에 2번 성공해야 합격.
- 검사의 실시 및 채점
검사는 각각의 영역에서 유아가 쉽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항목부터 시작한다.
그렇게 하면 좀더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고 부모도 안심하게 된다
만일 유아가 어떤 항목에서 합격하지 못했다하더라도 그 노력에 대하여는 칭찬을 해주며 새로운 검사를 하기 전에 이미 사용한 검사 도구는 전부 치우도록 한다.
각 검사항목에서는 3회의 시도를 해보고 나서 불합격 판정을 내린다.
그보다 더 많은 시도를 하게 하면 유아는 검사자의 반복된 설명에서 배워서 합격할 수도 있다. 어떤 검사항목은 시도의 횟수를 제한하고 있. 그러한 검사항목은 아래와 같이
검사막대에 표시되어 있다.
[검사 시도 횟수]
27 튀어오르는 공을 잡는다 2/3
↑검사시도 횟수
각 검사 항목의 채점은 막대 중간 50%의 짧은 수직선 위에 써 넣는다.
합격하면 P(pass). 불합격에는 F(failure), 검사 거부에는 R(refusal) 기회가 없으면
N.O라고 적는다. (한국판 덴버발육선별검사)
T/R I- 시작반응
이것이 너무 클 때에는 심적 기능의 저하 또는 방위적, 경제적 태도,
성서적 억제상태라고 할 수 있다.
(R/Ri 는 보통 30 이하)
T/R- 평균 반응 시간 수
어떤 카드에 대한 T/R이 특히 길 때에는 피험자가 그 카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었거나 또는 어떤 이유에서든 반응이 곤란 했었다는 사실임을
의미한다.
7장
[3절] 유아학습 준비도 검사
한국교육개발원 박혜정, 강혜원, 장명림이 개발한 것이다.
취학 전 유아들의 학습 결손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 유아가 초등학교 입학하여 초기 학습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예견
- 정규 학교 교육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유아를 선별하는 기능
- 교정 또는 보상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얻는 데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
- 학습준비도 영역의 명세화 과정을 통해 측정 내용 및 요소를 추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항을 제작, 선정한 것.
유아학습준비도의 목적- (검사 대상은 취학 전 유아로 하고 있다)
대부분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하므로 읽기와 쓰기가 어렵다는 점과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서 학습한다는 발달 특성을 충분히 감안하여 구두 응답,
그림 지적, 그림 카드배열, 자료 조작, 그리고 직접적인 신체 행위를 요하는 다양한 측정
방법으로 되어있다.
(확실하게 파악하기 위해 각 유아별로 실시하는 개인 검사로 되어있음)
- 검사의 구성과 내용
운동 협응력
신체를 자유로이 조정, 조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소근육 운동 및 협응
대근육 운동 및 협응을 포함
변별력
여러 자극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능력
기억력
앞에 제시된 자료들을 회상하는 능력으로 시각 기억, 청각 기억을 포함
개념 형성
여러 사물의 추상적인 특성이나 어떤 사실의 원리 및 규칙을 파악하는 능력
이해력
어떤 물체나 표상, 행위 및 다양한 상황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
8장
[3절] 지각- 운동발달 진단검사
지각- 운동발달진단검사는 유아기에 있어서 읽기, 쓰기 등의 지도와 관련되어 있다.
지적학습에 있어서 어린이가 최초로 학습하는 단계는 감각- 운동단계이다.
제1단계에서는 주로 균형, 조작, 이동에 관한 학습이 행해지고 그 결과 운동능력, 신체에
대한 의식, 피부감각, 근육운동감각, 평형감각 등이 발달한다.
제2단계는 지각의 단계이다. 학습, 위치에 대한 학습, 방향에 대한 학습, 공간관계에 대한 학습 등이 행해지고 형태지각, 위치지각, 방향 지각등이 발달한다.
제2단계는 인지 또는 개념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주로 추상화의 학습, 심벌형성의 학습,
언어화의 학습 등이 이루어진다.
- 검사의 구성과 내용
① 지각검사(p) 입문기의 문자 읽기, 쓰기 등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간단한 도형이나
기호의 변별, 그림-배경의 지각 등 시지각의 발달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하위 검사이다.
② 운동검사(M) 이것은 연필을 사용하여 선을 긋거나 문자를 쓰기 위해 필요한 상지의
운동능력 발달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된 하위 검사이다.
이 하위 검사는 총 3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4절] 한국판 덴버 발육선별검사
덴버발육선별검사(DDST)는 발육지연을 발견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1960년도에 미국 덴버의 콜로라도 의과대학에서 프랑켄버그외 2인에 의해 개발된 것을 이은이 이 검사를 바탕으로 한국판 덴버 발육선별검사를 표준화 하였다.
DDST는 간단한 검사도구 , 검사용지, 검사 설명서로 되어있다.
DDST목적은 유아 또는 의견상 이상이 없어 보이는 유아에게 실시하여 발달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유아를 선별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의료기관 뿐 아니라 유치원이나
유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도 발육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 검사의 구성과 내용
DDST는 출생에서 6세 사이의 유아가 할 수 있는 104개의 검사항목으로 구성
개인성 * 사회성
유아가 다른 사람과 관계를 유지하고 자기자신을 돌볼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한다.
미세운동, 적응성
유아가 손을 이용하여 물건을 집거나 그림그리기 등의 능력을 검사한다.
언 어
유아가 명령을 듣고, 수행하고, 또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한다.
전 체 운 동
유아가 앉고, 걷고, 뛰는 능력을 검사한다.
- 검사설명서 (총 28중 몇 가지만 요약)
→ 아기에게 웃거나 얘기해서 아이가 웃도록 한다.
→ 손에 장난감을 갖고 놀 때 뺏어본다, 저항하면 합격
→ 딸랑이가 손가락 끝이나 손가락 등 쪽에 닿았을 때 손으로 잡으면 합격.
→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건포도를 잡으면 합격
→ 엄지와 인지 끝으로 정확히 건포도를 잡으면 합격
→ 원을 그릴 경우 닫혀진 원은 합격, 둥근선을 반복해서 그리면 불합격
→ □을 보고 그리게 한 후 못하면 시범을 보이고 나서 그리게 한다.
→ 그림을 가리키며 이름을 물어본다.
→ 엎친 자세에서 팔이나손으로 버티고 가슴까지 든다.
→ 20cm 폭의 종이를 두발로 붙이고 건너 뛰어야 한다.
→ 90cm 떨어져서 유아에게 공을 튕겨 보내면 팔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잡아야 한다.
3번 시도에 2번 성공해야 합격.
- 검사의 실시 및 채점
검사는 각각의 영역에서 유아가 쉽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항목부터 시작한다.
그렇게 하면 좀더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고 부모도 안심하게 된다
만일 유아가 어떤 항목에서 합격하지 못했다하더라도 그 노력에 대하여는 칭찬을 해주며 새로운 검사를 하기 전에 이미 사용한 검사 도구는 전부 치우도록 한다.
각 검사항목에서는 3회의 시도를 해보고 나서 불합격 판정을 내린다.
그보다 더 많은 시도를 하게 하면 유아는 검사자의 반복된 설명에서 배워서 합격할 수도 있다. 어떤 검사항목은 시도의 횟수를 제한하고 있. 그러한 검사항목은 아래와 같이
검사막대에 표시되어 있다.
[검사 시도 횟수]
27 튀어오르는 공을 잡는다 2/3
↑검사시도 횟수
각 검사 항목의 채점은 막대 중간 50%의 짧은 수직선 위에 써 넣는다.
합격하면 P(pass). 불합격에는 F(failure), 검사 거부에는 R(refusal) 기회가 없으면
N.O라고 적는다. (한국판 덴버발육선별검사)
추천자료
[지능검사]지능의 정의, 비네(Binet)의 지능검사, 고대 비네(Binet) 검사, 웩슬러(Wechsler) ...
[비파괴검사][NDT][비파괴검사(NDT) 현장][비파괴검사(NDT) 전망]비파괴검사(NDT)의 정의, 비...
[표준화검사][표준화검사 유형][표준화검사 제작과정][표준화검사 활용방안]표준화검사의 의...
[심리검사][이상행동][심리검사의 목적][심리검사의 종류][이상행동의 진단기준][이상행동의 ...
[심리검사][심리치료][심리학][진단검사][심리검사의 역사][다양한 심리검사][이상행동의 유...
[심리검사 신뢰도][신뢰성][심리검사][신뢰도]신뢰성의 정의 고찰 및 심리검사 신뢰도와 신뢰...
[심리검사][신뢰도][타당도][측정도구][심리]심리검사 신뢰도의 의미, 심리검사 신뢰도의 유...
검사도구와 PLS검사(취학전 아동의수용-표현 언어검사), 검사도구와 TOLD-P검사(초기언어발달...
[언어검사][그림자음검사][PLS검사][초기언어발달검사]언어검사와 그림자음검사, 언어검사와 ...
[신체검사][아동신체검사][학교신체검사][흉곽신체검사][외국신체검사][신체][검사][아동][학...
인적성검사(인성적성검사)의 도입배경, 기능, 채용선발, 인적성검사(인성적성검사)와 SK인적...
[적성검사][일반종합적성검사][통합직업적성검사][SK종합적성검사][직무적성검사]적성검사와 ...
웩슬러 지능검사(K-WAIS)의 내용과 구성요소, 웩슬러 지능검사(K-WAIS)의 특징, 웩슬러 지능...
[보육교사] 지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쓰고 지능검사의 결과를 활용할 때 유의점을 서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