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요약문 ---------------------------------------- p.2
Ⅰ. 서 론
⇒ 1. 선정 동기 ---------------------------------- p.3
2. 기업 소개 및 현황 ---------------------------- p.3
Ⅱ. 본 론
⇒ 아이코닉스의 마케팅 믹스 전략 -------------------- p.5
아이코닉스의 성공요인 분석 -------------------- p.13
Ⅲ. 결 론
⇒ 새로운 전략 제시 --------------------- p.15
※ 부 록
1.감상문 ---------------------------------------- p.17
. 참고 문헌 ------------------------------------ p.18
Ⅰ. 서 론
⇒ 1. 선정 동기 ---------------------------------- p.3
2. 기업 소개 및 현황 ---------------------------- p.3
Ⅱ. 본 론
⇒ 아이코닉스의 마케팅 믹스 전략 -------------------- p.5
아이코닉스의 성공요인 분석 -------------------- p.13
Ⅲ. 결 론
⇒ 새로운 전략 제시 --------------------- p.15
※ 부 록
1.감상문 ---------------------------------------- p.17
. 참고 문헌 ------------------------------------ p.18
본문내용
있다. 그리고 세계 110개국에 어린이들의 로망 ‘뽀로로’를 수출한 데 이어 최근 중국 베이징에 지사까지 냈다. 조만간 법인 등록도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산업통상진흥원에서 추산한 뽀로로 브랜드 가치는 3893억원이고, 관련제품 시장은 5000억원에 육박한다. 올해 자국 애니메이션 보호 정책이 강한 중국시장을 뚫은 건 의미가 크다고 한다. 최대한 한국적 특성을 배제하고 세계각국 유아들이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뽀로로 애니메이션은 프랑스 TF1 방송에서는 최고 시청점유율 57%를 기록할 정도로 외국에서도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정국시장에서도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한다. 뽀로로 캐릭터는 50개국에 라이선스 방식으로 수출됐다.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출판, 비디오, 전시회, 공연 등 국내 애니메이션의 신규 영역 개척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아이코닉스 사업 전략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캐릭터를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판권 배급과 캐릭터 부대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궁극적으로 전천후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프로바이더를 향해 가고 있다.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이를 콘텐츠의 기획에서부터 사업에 이르는 수직 계열화된 개발-비즈니스 시스템 구축과 국내 및 해외를 포괄하는 강력한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웍 구축을 바탕으로 실현시켜 나갈 것이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 각 부문별 선도 회사들의 참여와 사업적 연계를 통해 콘텐츠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One Source Multi Channel / Multi Use 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안정화된 Total Entertainment Contents 산업의 이상적인 모델을 정착시켜 나갈 것이다.
-아이코닉스 현황 및 재산
(주)아이코닉스의 뽀로로는 웬만한 기업을 능가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뽀로로 캐릭터 상품은 일반 완구부터 ‘뽀로로와 친구들 초코케익’(뚜레주르), ‘뽀로로 통장’(국민은행), ‘뽀로로 잉글리쉬’(대교)에 이르기까지 숱하게 많다. 라이선스 사업은 총 600여 가지나 된다. 상품의 누적 매출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무려 8297억 원(소매 가격 기준), 2010년 매출이이 전년 대비 약 5배(491.8%)로 폭증한 2004년을 제외하더라도,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뽀로로 제품 매출의 연평균 성장률은 54.0%(2010년)에 이른다.
이런 인기를 입증하듯 뽀로로 전시체험전과 뽀로로가 등장하는 뮤지컬에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모두 160만 명이 몰려든 것으로 추산된다. 심지어 국내에서 영상물 불법 복제 건수는 1위는 수많은 ‘미드(미국 드라마)’ 등을 제치고 ‘뽀롱뽀롱 뽀로로’가 차지했을 정도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뽀로로와 둘리, 딸기, 마시마로, 뿌까 등 국산 5개 캐릭터와 키티, 푸우 등 2개 외국 캐릭터의 브랜드 가치를 분석한 결과 뽀로로(8519억 원)가 푸우(8019억 원)를 제치고 키티(9010억 원)에 이어 2위에 올랐다. 푸우가 84세(1926년 탄생), 비티가 36세(1974년)인 반면 뽀로로가 8세에 그친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고무적인 성과다.
Ⅱ. 본 론
아이코닉스의 마케팅 믹스 전략
1. 아이코닉스의 제품 전략
1) 제작과정
①친근감 돋는 펭귄. 그러나 펭귄을 대상으로 한 캐릭터가 많지 않았다
먼저 뽀로로가 펭귄이 된 이유는 경쟁 캐릭터가 적었기 때문이다. 고양이, 강아지, 곰 등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친근감을 갖고 있는 동물 중에서 캐릭터화가 가장 적게 된 것이 펭귄이었으며, 당시 ‘핑구’ 외에는 펭귄 캐릭터에 대한 경쟁 캐릭터가 없었다.
②사업성 분석: 헬멧과 고글을 추가하더라도 경쟁력 있는 가격이 가능하다.
일단 대략적인 캐릭터 기획이 확정 되고 나면 캐릭터 이미지로 제품화를 했을 때 문제가 없는지도 철저히 평가를 하게 된다.
그냥 펭귄이 아니라 고글과 헬멧을 쓰고 있는 펭귄을 봉제 인형으로 만들 수 있는지, 만들었을 때 기존 제품, 시장과의 괴리감은 없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냥 펭귄인형은 만오천 원인데, 고글과 헬멧을 씌우면 만팔천 원이 된다고 하면 그 캐릭터는 사업적으로 힘들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꼼꼼하게 사전조사를 하는 것이다.
사전조사는 아이들에게 미리 보여주는 평가도 당연히 필요하지만 뽀로로의 경우 상품화 사업, 제조 사업을 하시는 분들에게도 보여주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한지도 알아봐야했다. 또한 뽀로로는 처음부터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진 콘텐츠였기 때문에 국내외를 아우르는 시장조사와 기획, 캐릭터의 이름, 애니메이션과 책의 활자, 영어번역 등도 준비하게 되었다.
2) 유아들에게 친근한 2등신 캐릭터
캐릭터들의 머리도 일부러 크게 했다. 뽀로로는 \'1.9등신\'이다. 뽀로로는 머리가 크고 몸이 작은 가분수 형태로 유아들 자신과 흡사하다. 유아들의 눈에는 뽀로로가 더 친숙하다.
뽀로로 친구들도 마찬가지다. 포비(곰)은 2.5등신,루피(비버)는 2.5등신, 버디(아기공룡)은 1.9등신이고, 가장 머리의 비율이 작은 에디(여우)가 2.7등신이다.
또캐릭터들이 유아들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게 만들었다. 또 2인자는 없다. 주인공은 뽀로로지만 각회별로 때에 따라서는 다른 캐릭터가 사실상의 주인공이 되기도 한다.
3) 영어 사용해 내수 시장선 부모들의 needs 충족, 해외 시장선 비용 절감가능
①글자 사용은 영어로
글을 못 읽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글자 사용을 최대한 자제했지만, 부득이하게 필요할 때에는 한들이 아닌 영어를 썼다. 예를 들어 뽀로로가 읽는 책의 글자와 제목은 모두 영어이다. 해외로 나가면서 그림을 수정할 때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글로벌 분위기를 느낌을 주면서도 해외에 술출할 때 별도의 수정 적업을 거치지 않도록 했다.
글로벌화 된 콘텐츠라는 점은 다른 부수적인 효과도 가져왔다.
②조기 영어 교육에 발맞춰 학부모들은 뽀로로 영어버전 구입
유아용 콘텐츠는 사용자와 구매자가 다른 전형적인 사례다. 다시말해 구매하는 부모와 해당 상품을 이용할 유아의 입맛을 모두
서울산업통상진흥원에서 추산한 뽀로로 브랜드 가치는 3893억원이고, 관련제품 시장은 5000억원에 육박한다. 올해 자국 애니메이션 보호 정책이 강한 중국시장을 뚫은 건 의미가 크다고 한다. 최대한 한국적 특성을 배제하고 세계각국 유아들이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뽀로로 애니메이션은 프랑스 TF1 방송에서는 최고 시청점유율 57%를 기록할 정도로 외국에서도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정국시장에서도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한다. 뽀로로 캐릭터는 50개국에 라이선스 방식으로 수출됐다.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출판, 비디오, 전시회, 공연 등 국내 애니메이션의 신규 영역 개척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아이코닉스 사업 전략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캐릭터를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판권 배급과 캐릭터 부대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궁극적으로 전천후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프로바이더를 향해 가고 있다. (주)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는 이를 콘텐츠의 기획에서부터 사업에 이르는 수직 계열화된 개발-비즈니스 시스템 구축과 국내 및 해외를 포괄하는 강력한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웍 구축을 바탕으로 실현시켜 나갈 것이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 각 부문별 선도 회사들의 참여와 사업적 연계를 통해 콘텐츠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One Source Multi Channel / Multi Use 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안정화된 Total Entertainment Contents 산업의 이상적인 모델을 정착시켜 나갈 것이다.
-아이코닉스 현황 및 재산
(주)아이코닉스의 뽀로로는 웬만한 기업을 능가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뽀로로 캐릭터 상품은 일반 완구부터 ‘뽀로로와 친구들 초코케익’(뚜레주르), ‘뽀로로 통장’(국민은행), ‘뽀로로 잉글리쉬’(대교)에 이르기까지 숱하게 많다. 라이선스 사업은 총 600여 가지나 된다. 상품의 누적 매출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무려 8297억 원(소매 가격 기준), 2010년 매출이이 전년 대비 약 5배(491.8%)로 폭증한 2004년을 제외하더라도,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뽀로로 제품 매출의 연평균 성장률은 54.0%(2010년)에 이른다.
이런 인기를 입증하듯 뽀로로 전시체험전과 뽀로로가 등장하는 뮤지컬에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모두 160만 명이 몰려든 것으로 추산된다. 심지어 국내에서 영상물 불법 복제 건수는 1위는 수많은 ‘미드(미국 드라마)’ 등을 제치고 ‘뽀롱뽀롱 뽀로로’가 차지했을 정도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뽀로로와 둘리, 딸기, 마시마로, 뿌까 등 국산 5개 캐릭터와 키티, 푸우 등 2개 외국 캐릭터의 브랜드 가치를 분석한 결과 뽀로로(8519억 원)가 푸우(8019억 원)를 제치고 키티(9010억 원)에 이어 2위에 올랐다. 푸우가 84세(1926년 탄생), 비티가 36세(1974년)인 반면 뽀로로가 8세에 그친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고무적인 성과다.
Ⅱ. 본 론
아이코닉스의 마케팅 믹스 전략
1. 아이코닉스의 제품 전략
1) 제작과정
①친근감 돋는 펭귄. 그러나 펭귄을 대상으로 한 캐릭터가 많지 않았다
먼저 뽀로로가 펭귄이 된 이유는 경쟁 캐릭터가 적었기 때문이다. 고양이, 강아지, 곰 등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친근감을 갖고 있는 동물 중에서 캐릭터화가 가장 적게 된 것이 펭귄이었으며, 당시 ‘핑구’ 외에는 펭귄 캐릭터에 대한 경쟁 캐릭터가 없었다.
②사업성 분석: 헬멧과 고글을 추가하더라도 경쟁력 있는 가격이 가능하다.
일단 대략적인 캐릭터 기획이 확정 되고 나면 캐릭터 이미지로 제품화를 했을 때 문제가 없는지도 철저히 평가를 하게 된다.
그냥 펭귄이 아니라 고글과 헬멧을 쓰고 있는 펭귄을 봉제 인형으로 만들 수 있는지, 만들었을 때 기존 제품, 시장과의 괴리감은 없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냥 펭귄인형은 만오천 원인데, 고글과 헬멧을 씌우면 만팔천 원이 된다고 하면 그 캐릭터는 사업적으로 힘들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꼼꼼하게 사전조사를 하는 것이다.
사전조사는 아이들에게 미리 보여주는 평가도 당연히 필요하지만 뽀로로의 경우 상품화 사업, 제조 사업을 하시는 분들에게도 보여주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한지도 알아봐야했다. 또한 뽀로로는 처음부터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진 콘텐츠였기 때문에 국내외를 아우르는 시장조사와 기획, 캐릭터의 이름, 애니메이션과 책의 활자, 영어번역 등도 준비하게 되었다.
2) 유아들에게 친근한 2등신 캐릭터
캐릭터들의 머리도 일부러 크게 했다. 뽀로로는 \'1.9등신\'이다. 뽀로로는 머리가 크고 몸이 작은 가분수 형태로 유아들 자신과 흡사하다. 유아들의 눈에는 뽀로로가 더 친숙하다.
뽀로로 친구들도 마찬가지다. 포비(곰)은 2.5등신,루피(비버)는 2.5등신, 버디(아기공룡)은 1.9등신이고, 가장 머리의 비율이 작은 에디(여우)가 2.7등신이다.
또캐릭터들이 유아들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게 만들었다. 또 2인자는 없다. 주인공은 뽀로로지만 각회별로 때에 따라서는 다른 캐릭터가 사실상의 주인공이 되기도 한다.
3) 영어 사용해 내수 시장선 부모들의 needs 충족, 해외 시장선 비용 절감가능
①글자 사용은 영어로
글을 못 읽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글자 사용을 최대한 자제했지만, 부득이하게 필요할 때에는 한들이 아닌 영어를 썼다. 예를 들어 뽀로로가 읽는 책의 글자와 제목은 모두 영어이다. 해외로 나가면서 그림을 수정할 때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글로벌 분위기를 느낌을 주면서도 해외에 술출할 때 별도의 수정 적업을 거치지 않도록 했다.
글로벌화 된 콘텐츠라는 점은 다른 부수적인 효과도 가져왔다.
②조기 영어 교육에 발맞춰 학부모들은 뽀로로 영어버전 구입
유아용 콘텐츠는 사용자와 구매자가 다른 전형적인 사례다. 다시말해 구매하는 부모와 해당 상품을 이용할 유아의 입맛을 모두
추천자료
캐릭터와 캐릭터산업과의 관계를 통한 캐릭터의 올바른 정의 정립
캐릭터산업에 대한 마케팅전략 연구
[캐릭터산업][캐릭터 성공 사례]캐릭터 산업의 현황과 세계화 방안 및 성공전략 분석(다양한 ...
[캐릭터산업][캐릭터상품]국내외 캐릭터 산업의 현황과 전망 및 캐릭터상품의 향후 경쟁력 제...
문화산업, 멀티미디어산업과 캐릭터, 캐릭터와 캐릭터산업, 캐릭터 유형,종류, 캐릭터 효용성...
[캐릭터][캐릭터산업][캐릭터상품]캐릭터산업의 정의, 캐릭터의 분류, 캐릭터의 기능, 캐릭터...
캐릭터산업
[유통 전략, 경로 설계] 뽀로로(아이코닉스) 캐릭터 시장, 캐릭터 문구 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