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비행이론 (일반이론과 발전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비행이론 (일반이론과 발전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청소년비행이론(일반이론과 발전이론)

Ⅰ. 일반이론

Ⅱ. 발전이론

1. 손베리의 상호작용이론
2. 샘슨과 라웁의 이론
3. 모피트의 이론

Ⅲ. 경험연구

Ⅳ. 비행대책

본문내용

.
모피트는 더욱이 비행청소년집단을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설명했던 점이 갓프레드슨과 허쉬의 논의와는 달랐다. 그 하나는 어려서부터 문제성향과 문제행동을 보인 소위 '초기진입자들(early-starters)'로 그들은 생애지속범죄자가 될 가능성이 높고 폭력 등 심각한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는데, 이들은 비행청소년들 중 소수를 차지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행청소년들이 포함되는 다른 부류는 어려서 문제성향을 보이지는 않은 '후기진입자들(late-starters)'로 이들은 청소년기에 부모의 감독미비나 비행친구에 노출됨으로써 모방 등을 통해 비행을 저지르는 한시적인 비행청소년들이라고 했다. 이러한 논의는 패터슨(Patterson)의 논의에서도 주장되었던 것으로, 즉 어려서 문제행동을 보인 초기진입자와 달리 비행을 늦게 시작한 대부분의 비행청소년들은 어려서의 자기통제력과 같은 성향과 관계없이도 비행을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갓프레드슨과 허쉬의 논의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3. 경험연구
최근까지의 연구에서는 갓프레드슨과 허쉬의 주장과는 달리 발전이론가들의 주장대로 자기통제력 등의 내적 성향과는 독립적으로 청소년성장기의 사회유대와 비행친구와의 접촉 등 생활의 변화가 비행을 지속, 혹은 중단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경험연구가 상대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두 입장을 모두 지지하는 결과를 제시했는데, 즉 청소년후기 혹은 성인초기의 비행과 범죄는 안정된 성향으로서 자기통제력 이외에 사회유대나 비행친구와의 접촉 모두가 중요한 설명요인이 됨을 제시했다.
4. 비행대책
일반이론에서는 어려서의 부모의 양육형태가 비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부모에 의해 어려서 형성된 자기통제력이 안정적 성향이 된다고 봄으로써 청소년기의 어띠한 대책과 조치도 불필요한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교정기관의 노력도 불필요한 것이며 청소년비행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만이, 그것도 어려서 조기 예방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렇지만 발전이론에서는 물론 어려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했지만 성장하면서 학교생활이나 비행친구의 역할도 강조했다. 즉 비행친구와 사귀게 됨으로써 심각한 비행청소년으로 발전될 가능성도 언급했기 때문에 청소년기에 이에 대한 대처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일반이론이나 발전이론 모두 청소년기 이전에 어려서의 조기적인 대책과 관심을 강조한 데서는 의견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2.28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