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자본주의의 맹아
가.상업적 농업의 확대
나.교환경제
3.제국주의 자본
가.제국주의 자본과 중국의 자본주의 발전
나.초기 제국주의 자본
다.제국주의 자본의 확장
라.제국주의 자본의 출처
마.제국주의의 민족자본 억압
4.민족저항운동
가.의화단운동
나.미국상품불매운동
5.결론
2.자본주의의 맹아
가.상업적 농업의 확대
나.교환경제
3.제국주의 자본
가.제국주의 자본과 중국의 자본주의 발전
나.초기 제국주의 자본
다.제국주의 자본의 확장
라.제국주의 자본의 출처
마.제국주의의 민족자본 억압
4.민족저항운동
가.의화단운동
나.미국상품불매운동
5.결론
본문내용
단 말이냐?”
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민중을 하나로 묶던 민족주의는 ‘배외주의’, ‘애국주의’ 등의 민중의 이념을 반제국주의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또 하나 특징을 찾는다면 운동의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의화단운동에서는 외국과 관련된 모든 것을 철처히 파괴하는 방법을 택했지만, 미국상품불매운동에 있어서는 다른 열강은 공격의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단지 미국만을 공격의 대상으로 삼았지만 공격의 방법에서도 폭력이 아닌 평화적인 방법이 선택되었다. 당시 한 부녀의 전단을 통해서 그들이 왜 상품불매운동이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미국인이 우리를 학대한다면 우리는 그들이 한 행위에 비추어 중국에 있는 미국인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이것을 以毒攻毒이라 부르며, 정당한 방법이다. 이 방법이 아니면 육군과 해군을 파견하여 그들과 전쟁을 벌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 동포는 노예와 같아 무슨 권리가 있고, (싸울)사람이 누가 있느냐? 따라서 이 방법은 애석하게도 행할 수가 없다. 현재 중국은 곧 망할 나라라 병력도, 장군도 없으며, 군비도 무기도 없이, 전족을 달고 아편을 먹는데 무엇을 가지고 그들과 싸울 것인가? 따라서 두 번째 방법도 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모든 사람들이 평화로운 방법을 쓸 필요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미국상품을 조사하는 것이며, 불매에 참가하는 일이다. 김희교, 전게서, pp.164~165.
불매운동의 근원을 중국해관원으로 근무하고 있었던 로버츠(W. K. Roberts)는 “중국이 외국과 체결한 조약에 대한 모든 불만은 모두 외국 세력이 중국을 간섭하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으로부터 나왔다” 라고 하였으며, 주중공사를 지낸 덴지(C. Denby)는 국회 청문회상에서 “중국이 외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고자 하는 정신”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김희교, 전게서, p.165.
즉, 상품불매 운동은 미국인들조차 동감할 수 있는 민족적 저항운동이었던 것이다.
불매운동은 민중사회 건설이라는 또 하나의 근대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로인해 자율적 언론의 발전, 자율적 공공장소의 확대, 주체적 조직과 행동이라는 새로운 행동양식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여기서는 민중사회의 발전보다는 반제국주의운동에 더 초점을 맞춰보았다.
결론
이상으로 중국 근대화의 실패를 외인론적 접근방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국의 근대화는 서양 세력의 도전, 침략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서구화, 서양화, 산업화된 것이 근대화의 표본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학계에서 주류적이었다. 물론 서양의 침략이 중국 역사의 변화에 있어서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중국 근대화에 있어서 서양의 역할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중국 나름의 근대화를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간과하고, 근대화된 중국이란 마치 서구화된 중국을 의미하는 것처럼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아편전쟁 이전에 중국역사에 있어서 근대적인 흐름을 무시한 채 서양의 힘으로 여기까지 왔다는 식의 논리는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본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중국 봉건사회 내에서의 상품경제의 발전은 이미 자본주의의 맹아를 잉태하고 있었고, 서양 자본주의의 침략이 없었어도 중국이 자본주의 사회로 발전했을 가능성은 충분했다. 중국을 상품시장과 원료공급기지로 만들려는 주국주의의 의도 속에서 중국 자본주의의 독립, 발전이란 불가능했다. 자본주의는 무엇보다 경쟁이라는 원리가 뒷받침 되어야하는데 예속적 관계에서 경쟁이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개국 이래 열강은 중국으로부터 넓은 땅과 많은 이권을 빼앗아갔고, 1919년경 중국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은 열강의 존재와 중국에 관한 외국 자본의 이해관계였다. 이것을 손문은 “중국을 반식민지 상태로 몰아넣는 정치적, 경제적, 윤리적 억압”이라고 하였고 초기마르크스주의자들은 레닌을 모방하여 “제국주의의 식민지와 반식민지의 확장”이라고 표현했으나 현실은 동일한 것이었다. 중국사연구회, 『중국혁명의 전개과정』, 거름, 1985.
이처럼 제국주의는 물론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그만큼 중국 내부의 상황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중국 근대화가 실패로 돌아간 것에 대해 명확히 이렇다 할 결론을 내리기란 사실상 힘들다. 학자마다 보는 시각이 틀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중국 근대화 실패에 대한 사안을 두고 외부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룸으로써 당시 모습을 규명해 보는데 그 의의를 둔다.
부록: 화폐환산률 吳承明, 『舊中國안의 帝國主義투자』, 김지환(역), 고려대학교출판부, 1992, p.226.
(1894 - 1948년)(각종 화폐의 매단위를 미달러로 환산)
화 폐 별
1894-
1902년
1911-
1914년
1925년
1930년
1936년
1941년
1948년
영국 파운드
4.9
5.0
5.0
4.86
4.97
4.03
4.03
프랑스 프랑
0.2
0.2
0.07
0.039
0.06
0.02
0.003
일본 엔
0.51
0.53
0.50
0.50
0.29
0.23
0.003
독일 마르크
0.24
0.24
0.24
0.24
0.40
0.40
0.30
제정러시아 루블
0.51
0.51
네덜란드 굴덴
0.4
0.4
0.25
0.4
0.64
0.53
0.38
인도 루피
0.35
0.35
0.35
0.36
0.38
0.30
0.30
카나다 원
1.00
1.00
0.91
1.00
은원 및 위법폐
0.51
0.50
0.50
0.30
0.30
0.30
0.30
관평량
0.77
0.75
0.75
0.45
0.45
0.45
0.45
고평량
0.75
0.74
0.74
0.44
0.44
0.44
0.44
공겁량
0.71
0.70
0.70
0.42
0.42
0.42
0.42
행화량
0.74
0.73
0.73
0.44
0.44
0.44
0.44
규원량
0.70
0.69
0.69
0.41
0.41
0.41
0.41
양폐량
0.72
0.71
0.71
0.42
0.42
0.42
0.42
※프랑스 프랑: 1933년 - 0.0288 1939년 - 0.025
영국 파운드: 1939년 - 4.44
벨기에 프랑: 1936년 - 0.0334
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민중을 하나로 묶던 민족주의는 ‘배외주의’, ‘애국주의’ 등의 민중의 이념을 반제국주의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또 하나 특징을 찾는다면 운동의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의화단운동에서는 외국과 관련된 모든 것을 철처히 파괴하는 방법을 택했지만, 미국상품불매운동에 있어서는 다른 열강은 공격의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단지 미국만을 공격의 대상으로 삼았지만 공격의 방법에서도 폭력이 아닌 평화적인 방법이 선택되었다. 당시 한 부녀의 전단을 통해서 그들이 왜 상품불매운동이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미국인이 우리를 학대한다면 우리는 그들이 한 행위에 비추어 중국에 있는 미국인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이것을 以毒攻毒이라 부르며, 정당한 방법이다. 이 방법이 아니면 육군과 해군을 파견하여 그들과 전쟁을 벌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 동포는 노예와 같아 무슨 권리가 있고, (싸울)사람이 누가 있느냐? 따라서 이 방법은 애석하게도 행할 수가 없다. 현재 중국은 곧 망할 나라라 병력도, 장군도 없으며, 군비도 무기도 없이, 전족을 달고 아편을 먹는데 무엇을 가지고 그들과 싸울 것인가? 따라서 두 번째 방법도 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모든 사람들이 평화로운 방법을 쓸 필요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미국상품을 조사하는 것이며, 불매에 참가하는 일이다. 김희교, 전게서, pp.164~165.
불매운동의 근원을 중국해관원으로 근무하고 있었던 로버츠(W. K. Roberts)는 “중국이 외국과 체결한 조약에 대한 모든 불만은 모두 외국 세력이 중국을 간섭하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으로부터 나왔다” 라고 하였으며, 주중공사를 지낸 덴지(C. Denby)는 국회 청문회상에서 “중국이 외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고자 하는 정신”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김희교, 전게서, p.165.
즉, 상품불매 운동은 미국인들조차 동감할 수 있는 민족적 저항운동이었던 것이다.
불매운동은 민중사회 건설이라는 또 하나의 근대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로인해 자율적 언론의 발전, 자율적 공공장소의 확대, 주체적 조직과 행동이라는 새로운 행동양식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여기서는 민중사회의 발전보다는 반제국주의운동에 더 초점을 맞춰보았다.
결론
이상으로 중국 근대화의 실패를 외인론적 접근방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국의 근대화는 서양 세력의 도전, 침략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서구화, 서양화, 산업화된 것이 근대화의 표본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학계에서 주류적이었다. 물론 서양의 침략이 중국 역사의 변화에 있어서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중국 근대화에 있어서 서양의 역할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중국 나름의 근대화를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간과하고, 근대화된 중국이란 마치 서구화된 중국을 의미하는 것처럼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아편전쟁 이전에 중국역사에 있어서 근대적인 흐름을 무시한 채 서양의 힘으로 여기까지 왔다는 식의 논리는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본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중국 봉건사회 내에서의 상품경제의 발전은 이미 자본주의의 맹아를 잉태하고 있었고, 서양 자본주의의 침략이 없었어도 중국이 자본주의 사회로 발전했을 가능성은 충분했다. 중국을 상품시장과 원료공급기지로 만들려는 주국주의의 의도 속에서 중국 자본주의의 독립, 발전이란 불가능했다. 자본주의는 무엇보다 경쟁이라는 원리가 뒷받침 되어야하는데 예속적 관계에서 경쟁이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개국 이래 열강은 중국으로부터 넓은 땅과 많은 이권을 빼앗아갔고, 1919년경 중국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은 열강의 존재와 중국에 관한 외국 자본의 이해관계였다. 이것을 손문은 “중국을 반식민지 상태로 몰아넣는 정치적, 경제적, 윤리적 억압”이라고 하였고 초기마르크스주의자들은 레닌을 모방하여 “제국주의의 식민지와 반식민지의 확장”이라고 표현했으나 현실은 동일한 것이었다. 중국사연구회, 『중국혁명의 전개과정』, 거름, 1985.
이처럼 제국주의는 물론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그만큼 중국 내부의 상황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중국 근대화가 실패로 돌아간 것에 대해 명확히 이렇다 할 결론을 내리기란 사실상 힘들다. 학자마다 보는 시각이 틀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중국 근대화 실패에 대한 사안을 두고 외부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룸으로써 당시 모습을 규명해 보는데 그 의의를 둔다.
부록: 화폐환산률 吳承明, 『舊中國안의 帝國主義투자』, 김지환(역), 고려대학교출판부, 1992, p.226.
(1894 - 1948년)(각종 화폐의 매단위를 미달러로 환산)
화 폐 별
1894-
1902년
1911-
1914년
1925년
1930년
1936년
1941년
1948년
영국 파운드
4.9
5.0
5.0
4.86
4.97
4.03
4.03
프랑스 프랑
0.2
0.2
0.07
0.039
0.06
0.02
0.003
일본 엔
0.51
0.53
0.50
0.50
0.29
0.23
0.003
독일 마르크
0.24
0.24
0.24
0.24
0.40
0.40
0.30
제정러시아 루블
0.51
0.51
네덜란드 굴덴
0.4
0.4
0.25
0.4
0.64
0.53
0.38
인도 루피
0.35
0.35
0.35
0.36
0.38
0.30
0.30
카나다 원
1.00
1.00
0.91
1.00
은원 및 위법폐
0.51
0.50
0.50
0.30
0.30
0.30
0.30
관평량
0.77
0.75
0.75
0.45
0.45
0.45
0.45
고평량
0.75
0.74
0.74
0.44
0.44
0.44
0.44
공겁량
0.71
0.70
0.70
0.42
0.42
0.42
0.42
행화량
0.74
0.73
0.73
0.44
0.44
0.44
0.44
규원량
0.70
0.69
0.69
0.41
0.41
0.41
0.41
양폐량
0.72
0.71
0.71
0.42
0.42
0.42
0.42
※프랑스 프랑: 1933년 - 0.0288 1939년 - 0.025
영국 파운드: 1939년 - 4.44
벨기에 프랑: 1936년 - 0.0334
추천자료
천안문 이후의 중국과 중국의 민주화 전망
[중국고대사] 중국고대사 A+ 정리
서구 열강의 중국 경제침략 및 중국의 대응
[홍콩]홍콩의 기본정보, 홍콩의 경제, 홍콩의 공공주거, 홍콩의 대중국투자, 홍콩의 영화산업...
[정치외교A+] 천안문사태 이후의 중국과 중국의 민주화 전망
[현대중국의 이해] 현대중국에 대한 질문을 자유롭게 제시하고, 그러한 질문을 가지게 된 연...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로 바라본 중국경제의 발전과 중국식 모델의 실존 여부...
[근대의식][일본문학][중국문학][1980년대][영화문화][사회운동][실학사상]근대의식과 일본문...
[IT, 정보기술, 미국, 스웨덴, 중국, 한국, 북한, 싱가포르]미국의 IT(정보기술), 스웨덴의 I...
[중소기업][기업][중국 중소기업][한국 중소기업][일본 중소기업][대만 중소기업][이탈리아 ...
[동아시아경제][한국정책][일본 정책][중국 정책][러시아 정책]동아시아경제의 한국 정책, 동...
[국어국문학과 B형] 2014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비교행정론 E형) 중국의 행정체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중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