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 - 송대 도자, 송대의 [도]자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사 - 송대 도자, 송대의 [도]자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여요 청자 수선화분

Ⅱ.본론
 1.여요
 2.오대 명요
 3.송대의 다른 주요 요지
  (1)관요
  (2)가요
  (3)균요
  (4)정요

Ⅲ.결론
 송대 도자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요, 경덕진요, 건요계가 있었다. 민간 가마의 생산이 크게 발전한 상태에서 조정에서는 먼저 일부 품질이 좋은 가마, 정요, 요주요 등을 지정하여 조정에 도자기를 바치도록 했다. 후에 다시 일부 도자 생산 지역에 관요(官窯)를 설치하여 전문적으로 궁정에서 사용할 자기를 생산하도록 했다.
이러한 가마로는 여요, 관요, 균요 등이 있다. 따라서 송대의 자기는 관, 민의 두 가지의 완전히 다른 예술적 스타일을 가지게 되었다. 조형면에서 관요 자기는 고대의 동기, 금은기나 옥기를 많이 모방했는데, 형체는 규범에 맞게하고 치수가 엄격하였으며, 고박(古朴) 전아(典雅)한 모습을 보인다. 민요는 조형이 융통성이 있고 변화가 많으며 실용성에 치중했다. 장식면에서는 관요는 유약의 질에서 앞섰고, 담박함을 숭상하여 은은한 아름다움을 추구한 반면, 민요 자기는 새기고, 긋고, 찍는 장식의 다양화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심미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했다.
Ⅳ. 참고문헌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홈페이지 http://www.npm.gov.tw/
중국도자사개설, 뤼청롱(呂成龍) (중국 북경고궁박물원 고기물부 도자과 과장)
동양미술사, 마츠바라 사부로, 1993, 예경

키워드

미술사,   송대 도자,   송대,   도자기,   자기,   ,   오대 명요,   여요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3.03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