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 시장경제의 특성>
<중국의 대외무역교류현황>
< 중국의 대외무역 >
<對중국 무역규제>
<한·중 교역>
<중국의 대외무역교류현황>
< 중국의 대외무역 >
<對중국 무역규제>
<한·중 교역>
본문내용
1992년 수교 당시 63억 8000만 달러 ☞ 2010년 1965억 달러 (약 30배 증가)
▶ 대 중국 수출 비중 : 3.5%(1992년) ☞ 25.1%(2010년)
대 중국 수입 비중 : 4.6%(1992년) ☞ 16.7%(2010년)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 중국 무역 규모는 1992년 수교 당시 63억 8000만 달러에서 2010년 1965억 달러로 양국 간 교역량이 18년 만에 약 30배 증가하였다. 수출의 경우 계속되는 수직상승세를 보이며 1992년 수교 당시 대 중국 수출 비중이 3.5%에서 2010년 25.1%로 크게 뛰었다. 수입도 큰 폭의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데 1992년 4.6%였던 수입비중은 2010년 16.7%로 약 4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대 중국 무역수지는 1992년 51억 적자에서 2010년 377억 흑자로 돌아섰다.
우리나라의 대 중국 수출 품목도 변화양상이 뚜렷하다. 1992년 수출 1위 품목은 철강판, 2위 자동차, 3위 합성수지였고, 이 외에 가죽, 인조섬유 등이 주요 품목에 포함됐었다. 하지만 2010년 평판 디스플레이(LCD) 및 센서, 반도체, 합성수지가 1~3위를 차지했고, 무선통신기기 5위, 컴퓨터 9위, 광학기기 10위 등이 주력품목으로 부상했다.
대중 수입 품목은 1992년 1위 식물성물질, 2위 인조단섬유물질, 3위 석탄, 4위 원유, 5위 곡식류 등 식품위주였다. 하지만 2010년의 경우 1차 식품이 사라지고, 반도체, 컴퓨터, 철강판, 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 의류, 무선통신기기 등 고기술 제품이 1~6위를 차지했다.
▶ 대 중국 수출 비중 : 3.5%(1992년) ☞ 25.1%(2010년)
대 중국 수입 비중 : 4.6%(1992년) ☞ 16.7%(2010년)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 중국 무역 규모는 1992년 수교 당시 63억 8000만 달러에서 2010년 1965억 달러로 양국 간 교역량이 18년 만에 약 30배 증가하였다. 수출의 경우 계속되는 수직상승세를 보이며 1992년 수교 당시 대 중국 수출 비중이 3.5%에서 2010년 25.1%로 크게 뛰었다. 수입도 큰 폭의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데 1992년 4.6%였던 수입비중은 2010년 16.7%로 약 4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대 중국 무역수지는 1992년 51억 적자에서 2010년 377억 흑자로 돌아섰다.
우리나라의 대 중국 수출 품목도 변화양상이 뚜렷하다. 1992년 수출 1위 품목은 철강판, 2위 자동차, 3위 합성수지였고, 이 외에 가죽, 인조섬유 등이 주요 품목에 포함됐었다. 하지만 2010년 평판 디스플레이(LCD) 및 센서, 반도체, 합성수지가 1~3위를 차지했고, 무선통신기기 5위, 컴퓨터 9위, 광학기기 10위 등이 주력품목으로 부상했다.
대중 수입 품목은 1992년 1위 식물성물질, 2위 인조단섬유물질, 3위 석탄, 4위 원유, 5위 곡식류 등 식품위주였다. 하지만 2010년의 경우 1차 식품이 사라지고, 반도체, 컴퓨터, 철강판, 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 의류, 무선통신기기 등 고기술 제품이 1~6위를 차지했다.
추천자료
(한국 무역사) 수출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 무역론]국제무역환경 변화 남북경제협력 무역정책 수행 다자가 무역체제 뉴라운드 출범
데이비드 리카르도 자유무역론을 통해 본 한미 FTA(죽은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이야기)
[국제무역론]베이징올림픽 이후의 중국경제 전망 및 시사점 (A+리포트)
[관세][무역][수입][수출][수출입][관세 분류][관세 기능][관세 경제적 효과][관세 성격][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개황. 경제, 지표, 무역, 투자환경 및 동향, 한국기업의 진출성공사례
세계화 금융화 자유무역 등으로 인한 국제적 불균형 경제적 문제점 (불경한 삼위일체)
스페인의 경제, 산업, 무역구조 및 한국과의 관계
북한의 대외무역 현황 및 북한 대외경제협력 및 외자유치 현황
한·미 FTA (한미FTA,자유무역협정,한미동맹,글로벌경제).PPT자료
무역정책의 시대적 변화(자유무역주의, 보호무역주의, 미드의 신개입주의, 전략적 무역정책, ...
[국제무역환경] 국제무역환경의 특성과 종류(GATT,UR과 WTO,신보호무역주의와 지역경제통합,...
[NAFTA] NAFTA(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북미자유무역협정)의 탄생배경과 주요내...
[서평] 이기찬, 무역왕 김찬호,중앙 경제 평론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