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전통건축의 환경친화성의 분석
● 입지조건
● 건물의 배치
● 공간의 형태 및 구성
● 재료
● 각 부 요소
● 재생, 재활용 재료 사용
● 결론
● 입지조건
● 건물의 배치
● 공간의 형태 및 구성
● 재료
● 각 부 요소
● 재생, 재활용 재료 사용
● 결론
본문내용
온 여름철을 위한 시설로 차단으로 인해 상온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마루밑의 기류가 마루의 틈새로 나와 더위를 식혀주는 구실을 하는 여름철 냉방계획으로 볼 수 있다. 온돌과 조화를 유지하고 있다. 따뜻하게 불을 지필 수 있는 온돌방은 폐쇄공간이며 반대로 마루는 시원하게 트인 개방공간이다.
고구려시대의 온돌과 같은 원리에 입각하여 습기를 막기에 편리한 나무로 만든 시설인 평상을 붙여놓아 여름을 지냈던 사실을 알소 있다. 사랑방의 전면 툇마루는 사용계절에 따라 창호를 개폐하여, 여름철에 처마에 의한 차양효과와 겨울철 열적 완충공간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어 자연형 디자인 원리에 입각한 통풍조절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 온돌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방바닥 밑의 구들장을 데워 그 열이 인체에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실내의 공기를 데우는 장치로서, 열의 전도, 복사, 대류를 이용한 한국 고유의 난방방식으로 아침, 저녁에 아궁이에 불을 지펴 구들을 데워두고 그 축열에 의해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들장 및 구들은 또한 습도를 조절하기도 하는데 구들의 진흙은 겨울에는 습기를 방출하고 여름에는 습기를 취한다. 또한 구들은 겨울에는 지열을, 여름에는 지중의 냉기를 얻게 되어 좌식 생활에 쾌적한 환경을 만든다. 특히 여름 장마철에는 군불을 넣어 지나친 습기를 옥외로 방출시킬 수 있다. 부엌의 바닥을 낮추는 것은 아궁이에 땐 불길을 방고래로 빨아들이도록 되어 있는 온돌 구조 때문이다.
- 화장실
자연발효식 화장실을 채택하여 분뇨를 발효시켜 이것을 농토의 퇴비로써 이용하였다.
이상 살펴 본 전통주거의 친환경요소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전통주거의 친환경요소와 환경친화 건축의 목적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각각의 요소별로 각 목적과의 상관관계의 정도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 재생, 재활용 재료 사용
재생, 재활용 재료 사용에 있어서는 흙과 목재 종이류와 같은 재생이 가능한 재료들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과 폐기물이 감소하였으며, 쓰레기처리 방법으로는 가옥내에서 나오는 TM레기는 자연분해가 가능한 쓰레기일 경우 분해를 통한 자가 처리를 하고 있다.
● 결론
이처럼 한국 전통건축은 건축을 자연과의 충돌이나 대비가 아닌 자연의 질서체계 속의 한 유기적 구성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전통주거의 배치에서부터 창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전통주거공간의 각각의 요소들에서 자연형 환경조절의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패러다임이 되고 있는 친환경 건축의 개념을 한국전통주거공간을 통해 재확인 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친환경건축계획에 있어 전통 주거 공간의 이러한 요소들이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은 친환경요소의 도입은 현재 당면한 환경과 에너지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쾌적한 인간의 생활 환경을 창출해 낸다는 의미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전통주거의 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이러한 요소들의 현대적 재해석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도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구려시대의 온돌과 같은 원리에 입각하여 습기를 막기에 편리한 나무로 만든 시설인 평상을 붙여놓아 여름을 지냈던 사실을 알소 있다. 사랑방의 전면 툇마루는 사용계절에 따라 창호를 개폐하여, 여름철에 처마에 의한 차양효과와 겨울철 열적 완충공간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어 자연형 디자인 원리에 입각한 통풍조절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 온돌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방바닥 밑의 구들장을 데워 그 열이 인체에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실내의 공기를 데우는 장치로서, 열의 전도, 복사, 대류를 이용한 한국 고유의 난방방식으로 아침, 저녁에 아궁이에 불을 지펴 구들을 데워두고 그 축열에 의해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들장 및 구들은 또한 습도를 조절하기도 하는데 구들의 진흙은 겨울에는 습기를 방출하고 여름에는 습기를 취한다. 또한 구들은 겨울에는 지열을, 여름에는 지중의 냉기를 얻게 되어 좌식 생활에 쾌적한 환경을 만든다. 특히 여름 장마철에는 군불을 넣어 지나친 습기를 옥외로 방출시킬 수 있다. 부엌의 바닥을 낮추는 것은 아궁이에 땐 불길을 방고래로 빨아들이도록 되어 있는 온돌 구조 때문이다.
- 화장실
자연발효식 화장실을 채택하여 분뇨를 발효시켜 이것을 농토의 퇴비로써 이용하였다.
이상 살펴 본 전통주거의 친환경요소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전통주거의 친환경요소와 환경친화 건축의 목적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각각의 요소별로 각 목적과의 상관관계의 정도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 재생, 재활용 재료 사용
재생, 재활용 재료 사용에 있어서는 흙과 목재 종이류와 같은 재생이 가능한 재료들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과 폐기물이 감소하였으며, 쓰레기처리 방법으로는 가옥내에서 나오는 TM레기는 자연분해가 가능한 쓰레기일 경우 분해를 통한 자가 처리를 하고 있다.
● 결론
이처럼 한국 전통건축은 건축을 자연과의 충돌이나 대비가 아닌 자연의 질서체계 속의 한 유기적 구성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전통주거의 배치에서부터 창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전통주거공간의 각각의 요소들에서 자연형 환경조절의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패러다임이 되고 있는 친환경 건축의 개념을 한국전통주거공간을 통해 재확인 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친환경건축계획에 있어 전통 주거 공간의 이러한 요소들이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은 친환경요소의 도입은 현재 당면한 환경과 에너지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쾌적한 인간의 생활 환경을 창출해 낸다는 의미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전통주거의 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이러한 요소들의 현대적 재해석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도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건축사 서설
한국 건축사
대학생 식생활 변화에 따른 전통 한국 음식점 활성화 방안
한국건축에서의 근대성과 지역성
환경파괴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환경친화적 건축의 사례
건축가 없는 건축 & 친환경건축
한국 전통주거의 주동배치에 관한 연구
한국 전통 악기
친환경건축재료 및 시공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여라
[한국불교, 건축사, 사찰관리, 기독교신앙, 삼국시대, 원효대사, 화엄사상]한국불교와 건축사...
한국, 중국, 일본, 영국의 문화와 건축양식 비교 -세계의 건축과 문화(주택과 사회) 시험 대...
「한국 전통사회의 가족과 여성」 내용 요약집 {가족 정의와 형태,삼국·고려·조선시대 혼인,...
우리고유의 음식문화가 우리 일상생활에서 점차 사라지는 이유 (한국 전통음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