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의 장류문화
1. 서론
2. 본론
1) 장류의 역사
2) 장에 관한 신앙
3) 장에 관한 민속
4) 된장, 고추장, 간장, 청국장 소개
▶ 된장
▶ 고추장
▶ 간장
▶ 청국장
3.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2. 본론
1) 장류의 역사
2) 장에 관한 신앙
3) 장에 관한 민속
4) 된장, 고추장, 간장, 청국장 소개
▶ 된장
▶ 고추장
▶ 간장
▶ 청국장
3.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이상하게 높아지는 병이며 병이 진행하면 실명하거나 요독증 따위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당뇨병에는 비타민B2의 보급이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비타민B2는 콩에도 함류되어있지만 청국장에 함유되어 있는 양이 더 많다. 이는 발효균에 의해 많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청국장에 풍부하게 있는 레시틴도 인슐린의 분비를 왕성하게 해주고, 동시에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혈액증의 지방분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혈전용해 효소
청국장에 있는 레시틴은 혈관에 달라붙은 클레스테롤을 씻어내어 혈액순환을 부드럽게 하여 심장병이나 뇌졸중의 원인이 되는 혈전을 녹여주는 기능을 한다.
-변비예방
청국장에 들어 있는 균 수를 젖산균음료와 비교해보면 1g의 청국장에는 10억개 이상의 균이 있는 반면, 유산균 음료1g중에는 100만개의 균이 있다. 특히 장내 생존률을 비교해도 청국장 균의 생존률이 70%에 달한다. 청국장균이 장내에 들어가면 장내의 젖산균의 작용을 도와 여러 가지 이로운 물질을 생성하게 하여 위장내의 유용 미생물의 균형을 이루게 하고 설사나 장염 등을 예방하며 변비도 막는다.
-빈혈예방
철분섭취가 부족할 시 헤모글로빈의 양이 정상치보다 낮게 측정된다. 이는 빈혈을 가져오는 주원인이다. 청국장은 단백질이나 비타민, 미네랄의 섭취 뿐 아니라 철분을 공급함으로서 빈혈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준다.
-항암효과
콩의 사포닌은 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사포닌과 같은 식이섬유에는 유해성분이 장점막과 접촉하는 시간을 줄이고 유해성분을 흡착해서 독성을 약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청국장은 끈끈한 실의 주된 구성성분인 polyglutamic acid가 항암물질의 운반에 관여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도 항암능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결론
장은 우리 음식 맛의 바탕이요, 우리 맛의 근원이다. 예부터 우리 민족은 장을 이용하여 음식의 간과 맛을 맞추어왔고 시대가 바뀌고 생활양식이 변해도 우리네 살림살이에서 1년중 가장 중요한 행사 두 가지는 '장 담그기'와 '김장 담그기'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음식에 장이 들어가지 않는 곳이 없다. 이렇듯 장류는 우리민족의 생활 속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기본적인 조미식품으로 우리국민의 식성이나 체질이 변하지 않는 한 계속 애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장류의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어 현대인에게 가장 중요시 되고있는 건강을 지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장류의 우수성과 기능성을 널리 홍보하는 것이 장류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하고 여러 가지 효능을 갖추고 있는 전통적인 장에 새로운 아이템을 더한다면 좋은 문화산업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러한 예로 언젠가 TV에서 순창고추장 마을이 관광단지로 만들고 마을 사람들이 외국인 손님을 위해 다같이 영어를 배우는 등의 노력을 보이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는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 이렇듯 우리 전통의 것을 잃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개발을 통해 우리의 것을 다른 나라에도 알릴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우리나라를 알리는 길이 되며 우리의 장 문화를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http://jeonnam.rda.go.kr/~muansoy/sub3.htm#sub3_02
http://myhome.shinbiro.com/~deanjang/index.html
http://www.jangryu.or.kr/
제대로 아는 양념 이야기, 다섯 번째 - 간장과 된장, 신영미 , 샘이 깊은 물, 2000
장류 소비성향과 그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이원애, 梨花女子大學校, 1984
-혈전용해 효소
청국장에 있는 레시틴은 혈관에 달라붙은 클레스테롤을 씻어내어 혈액순환을 부드럽게 하여 심장병이나 뇌졸중의 원인이 되는 혈전을 녹여주는 기능을 한다.
-변비예방
청국장에 들어 있는 균 수를 젖산균음료와 비교해보면 1g의 청국장에는 10억개 이상의 균이 있는 반면, 유산균 음료1g중에는 100만개의 균이 있다. 특히 장내 생존률을 비교해도 청국장 균의 생존률이 70%에 달한다. 청국장균이 장내에 들어가면 장내의 젖산균의 작용을 도와 여러 가지 이로운 물질을 생성하게 하여 위장내의 유용 미생물의 균형을 이루게 하고 설사나 장염 등을 예방하며 변비도 막는다.
-빈혈예방
철분섭취가 부족할 시 헤모글로빈의 양이 정상치보다 낮게 측정된다. 이는 빈혈을 가져오는 주원인이다. 청국장은 단백질이나 비타민, 미네랄의 섭취 뿐 아니라 철분을 공급함으로서 빈혈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준다.
-항암효과
콩의 사포닌은 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사포닌과 같은 식이섬유에는 유해성분이 장점막과 접촉하는 시간을 줄이고 유해성분을 흡착해서 독성을 약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청국장은 끈끈한 실의 주된 구성성분인 polyglutamic acid가 항암물질의 운반에 관여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도 항암능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결론
장은 우리 음식 맛의 바탕이요, 우리 맛의 근원이다. 예부터 우리 민족은 장을 이용하여 음식의 간과 맛을 맞추어왔고 시대가 바뀌고 생활양식이 변해도 우리네 살림살이에서 1년중 가장 중요한 행사 두 가지는 '장 담그기'와 '김장 담그기'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음식에 장이 들어가지 않는 곳이 없다. 이렇듯 장류는 우리민족의 생활 속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기본적인 조미식품으로 우리국민의 식성이나 체질이 변하지 않는 한 계속 애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장류의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어 현대인에게 가장 중요시 되고있는 건강을 지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장류의 우수성과 기능성을 널리 홍보하는 것이 장류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하고 여러 가지 효능을 갖추고 있는 전통적인 장에 새로운 아이템을 더한다면 좋은 문화산업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러한 예로 언젠가 TV에서 순창고추장 마을이 관광단지로 만들고 마을 사람들이 외국인 손님을 위해 다같이 영어를 배우는 등의 노력을 보이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는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 이렇듯 우리 전통의 것을 잃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개발을 통해 우리의 것을 다른 나라에도 알릴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우리나라를 알리는 길이 되며 우리의 장 문화를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http://jeonnam.rda.go.kr/~muansoy/sub3.htm#sub3_02
http://myhome.shinbiro.com/~deanjang/index.html
http://www.jangryu.or.kr/
제대로 아는 양념 이야기, 다섯 번째 - 간장과 된장, 신영미 , 샘이 깊은 물, 2000
장류 소비성향과 그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이원애, 梨花女子大學校, 19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