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기구 및 재료
3. 이론 및 실험절차
(1) 이론
(2)실험절차
4.실험결과 및 계산
1) 위어 수위에 따른 시간과 수조 물 높이의 측정값
2) 이론식에 따른 위어 유량과 실측값을 바탕으로 한 누적유량
3) 위어유량과 누적유량의 비교 그래프
5. 결론 및 고찰
2. 기구 및 재료
3. 이론 및 실험절차
(1) 이론
(2)실험절차
4.실험결과 및 계산
1) 위어 수위에 따른 시간과 수조 물 높이의 측정값
2) 이론식에 따른 위어 유량과 실측값을 바탕으로 한 누적유량
3) 위어유량과 누적유량의 비교 그래프
5.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장치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채, 물을 쏟아냈기 때문에 물을 막던 장치 전, 후위로 수위차가 생겼고, 1cm에서 0cm 이후 물이 완전히 배출되는 구간에 도달해서야 장치 뒤에 남아있던 물이 모두 빠져나왔기 때문에 1~0cm 구간에서 수량이 증가했다고 생각했다.
둘째로, 수조높이 관측의 오류를 생각해 보았다. 물이 떨어지고 있을 때는 낙차에 의한 파동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측정하기 어려웠다. 그렇기 때문에 측정값의 오차가 상당히 클 우려가 있는 반면, 물이 모두 떨어진 상태에서 수조 내 물의 진동이 안정된 상태의 측정값은 비교적 정확한 측정값을 낼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했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0cm에 도달한 이후에 수리실험대 진동에 의한 월류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했다. 시험 중에는 다들 수리실험대를 붙잡고 관측하다가 0cm에 도달하는 순간, 손을 뗀다거나 하는 실험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물이 0cm 상태에서 위어를 더 넘어갔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험자들이 여러 가지 변수를 미리 생각해보고, 그러한 변수를 최대한 소거한 후 실험에 임하여 보다 정교한 실험을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둘째로, 수조높이 관측의 오류를 생각해 보았다. 물이 떨어지고 있을 때는 낙차에 의한 파동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측정하기 어려웠다. 그렇기 때문에 측정값의 오차가 상당히 클 우려가 있는 반면, 물이 모두 떨어진 상태에서 수조 내 물의 진동이 안정된 상태의 측정값은 비교적 정확한 측정값을 낼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했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0cm에 도달한 이후에 수리실험대 진동에 의한 월류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했다. 시험 중에는 다들 수리실험대를 붙잡고 관측하다가 0cm에 도달하는 순간, 손을 뗀다거나 하는 실험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물이 0cm 상태에서 위어를 더 넘어갔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험자들이 여러 가지 변수를 미리 생각해보고, 그러한 변수를 최대한 소거한 후 실험에 임하여 보다 정교한 실험을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