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운동을 발현시키는 기능 ………2p
1-1 근육의 구성과 작용
1-2 골격근의 수축
1-3 골격근의 힘과 운동
1-4 골격근 균형의 발육·발달
1-5 운동을 발현시키는 기능의 장애
2. 운동을 지속시키는 기능(Ⅰ) -근지구력- ………9p
2-1 근지구력의 종류
2-2 근지구력의 생리학적 배경
2-3 피로와 지구력
2-4 근지구력의 발달
3. 운동을 지속시키는 기능(Ⅱ) -호흡의 생리- ………12
3-1 호흡기관의 구조
3-2 호흡운동
3-3 폐의 용적과 용량
3-4 폐활량
3-5 폐포에서의 Gas 교환
3-6 혈액 Gas의 운반
3-7 호흡운동의 조절
3-8 운동과 호흡
3-9 운동의 지속과 산소
3-10 최대산소섭취량의 판정기준
3-11 유산소적 운동과 무산소적 운동
리포트를 마치며…….
1-1 근육의 구성과 작용
1-2 골격근의 수축
1-3 골격근의 힘과 운동
1-4 골격근 균형의 발육·발달
1-5 운동을 발현시키는 기능의 장애
2. 운동을 지속시키는 기능(Ⅰ) -근지구력- ………9p
2-1 근지구력의 종류
2-2 근지구력의 생리학적 배경
2-3 피로와 지구력
2-4 근지구력의 발달
3. 운동을 지속시키는 기능(Ⅱ) -호흡의 생리- ………12
3-1 호흡기관의 구조
3-2 호흡운동
3-3 폐의 용적과 용량
3-4 폐활량
3-5 폐포에서의 Gas 교환
3-6 혈액 Gas의 운반
3-7 호흡운동의 조절
3-8 운동과 호흡
3-9 운동의 지속과 산소
3-10 최대산소섭취량의 판정기준
3-11 유산소적 운동과 무산소적 운동
리포트를 마치며…….
본문내용
체온의 상승
⑤홀몬(Hormone)의 작용
⑥상위중추
⑦근 · 건에서의 반사
3-9 운동의 지속과 산소
필요한 O₂를 조절한다는 것은 인체의 운동에 대해서 결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1) 산소의 역할
조직세포의 대사에 쓰이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한다.
에너지원의 재합성에는 산소과정을 갖지않으면 안된다.
∵무산소적인 근수축에는 한도가 있고, 그 양상도 운동시에 수분에 불과하다.
2) 산소섭취량과 산소부채량
산소섭취량은 운동의 강도에 따라서 증가한다.
운동후의 회복기에 높은 사소 소비가 일어나는 것은 체내에 축적되어진 유산을 산화 하기 위해서 필요한 산소이며, 이 산소를 ‘산소부채’라고 한다.
3)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산소부채량
최대산소섭취량 : 운동중 산소섭취량의 최대 값
최대산소부채량 : 신체가 견딜 수 있는 산소부채의 최대한계 값
4) 운동의 강도에 따른 산소공급의 비교
단시간의 종목에서 운동직후 1분간 섭취하는 산소의 양이 운동중의 산소섭취량보다 큰 경우가 많이 생기지만, 그 산소의 양은 그 사람의 최대산소섭취량에 도달하는 경우 는 없다.
1500M 달리기에서는 중행 끝 무렵에 그 사람의 최대산소섭취량이 나타난다.
런닝과 같은 최대한의 운동을 요구하는 운동에서 어느정도까지 운동을 계속할 수 있 을까는 운동을 하고있는 사람의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산소부채량이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5) Second Wind
정의 : 오랜시간 운동을 할 때 괴로운 시기를 견디고 숨쉬기가 편하게 된 상태.
세컨드 윈드에 들어가면 호흡의 깊이가 늘고 폐의 탄산가스 농도가 낮게 되고 맥박도 규칙적으로 된다. 또한 땀이나는 현상이 수반된다.
세컨드 윈드의 발현을 요약 4개지
①근활동에 혈류가 충분하게 되어 근수축의 화학반응이 원활하게 행하도록한다.
②사전에서 나타나는 호흡곤란은 혈액의 산 · 염기평형의 실조와 활동근에서늬 반사 적인 호흡 증강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는데, 이것도 혈류의 원활한 조정에 의해서 원활해진다.
③발한의 촉진에 의해 체열발산도 원활해진다.
④사지근의 리드미컬한 수축에 의해, 환류정맥혈의 증가에 따르는 Bainbridge반사 등에 따라 혈류구출량의 조정이 개선되어진다.
▶M E M O◀
사점이 생기는 이유.
①운동에 의해 내장혈관이 수축하여 혈관의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②축적된 유산 때문에, 혈액이 산성화되어 호흡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3-10 최대산소섭취량의 판정기준
최대산소섭취량의 판정기준으로는 산소섭취량의 levelling off, 혈중유산농도, 심박수, 호 흡상 이 있다.
3-11 유산소적 운동과 무산소적 운동
유산소적 운동 : 운동에 필요한 산소의 대부분을 운동중에 섭취한다는 것은 활동근의 energy가 산소공급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을 의미함.
무산소적 운동 : 산소부채의 비율이 크다는 것은 산소부족의 상태에서 활동근의 energy 가 생산되는 것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운동을 실시할 능력을 각각 유산소적 작업능력, 무산소적 작업능력이라는 용어로 나타내고 있다.
1) 무산소적 운동의 생리적 반응
무산소적 운동은 2가지 반응으로 분류할 수 있다.
ⅰ. 크레아틴인산의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크레아틴인산의 분해를 촉진하 여 인산을 아데노신2인산에 공급하여 아데노신3인산을 재합성시키는 것이다.
ⅱ. 해당작용 : 효소의 활동에 의하여 탄수화물을 젖산으로 분해하는 작용.
①비유산성운동 : 수초간 지속의 전력운동.
·비유산성 운동으로는 50m 전력질주와 같은 단시간의 폭발적인 운동을 말한다.
②유산성운동 : 수 10초간 지속의 전력운동
·유산성의 운동으로는 150m에서 400m의 거리를 전력으로 달릴경우와 같이 수십 초간의 운동의 지속을 말한다.
③산소부채량의 측정
·생리학적으로 최대산소 부채량의 크기가 지표로서 사용된다.
·안정시 산소섭취량은 산소부채량 산출의 기초가 된다.
산출방법.
⒜운동전의 측정치
⒝회복기의 종말의 측정치
⒞이미 나온 성, 연령별 기초대사량의 표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2) 유산소적 운동의 생리적 반응
유산소적 운동은 외호흡계, 혈액순환계, 혈액조성, 조직호흡 등 모든 활동의 조정능력 에 의하여 결정된다.
①산소운반계의 Mechanism
·유산을 분해하는데 O₂가 필요하기 때문에 근수축을 장시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O₂의 공급이 있어야 한다.
·O₂운반계와 소비계의 종합된 기능은 산소섭취능력이며, 그 최고의 섭취능력이 최대산소섭취 능력이다.
·폐가 외기를 들어마시고, 폐포에서 확산에 의해 혈액에 O₂가 섭취되고, 그 혈액 은 심장과 혈관의 활동에 의하여 조직에 운반되고, 조직에서는 확산에 의해 O₂ 의 섭취가 이루어진다.
②단시간 지구성 운동
·환기량과 산소섭취량은 주행초기의 증가와 그 이후에는 외관상으로는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주행 10분 이내의 최대의 지속적인 달리기에서 나타나는 호흡, 순 환계의 일반적인 반응이다.
③장시간의 지구성 운동
·장시간의 지구운동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은 나타나지 않으며 그 이하의 산소 섭취 량으로 운동이 유지된다.
④유산소적 작업능력과 무산소적 작업능력
·호흡기능은 무산소적 작업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기초이며 유산성 반응은 비유산 성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초이다.
·무산소적 작업능력을 육성하고 싶은 선수는 먼저 유산소적 작업능력의 트레이닝에 들어가야한다.
리포트를 마치며…….
정말 긴 대장정이었습니다. 너무 힘들기도 하였고 가끔 지칠 때도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요약을 하기 위해서 한번 다 읽어 보아야만 한다는 생각에 앞이 막막하기도 했습니다. 또 저는 머리가 그다지 똑똑한 편이 아니라 몇 번씩 읽어야 하는 고충도 있었지만 오히려 시험공부와 운동생리학에 대해서 알아 가는데 더욱더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서 마음 한쪽이 후련합니다.
리포트를 써가면서 하나씩 궁금했던 것들이 풀린 것도 있었고 오히려 책을 요약하려고 자세하게 읽다보니 궁금한 점도 많이 생긴 것 같습니다. 요즘들 어서 생리학 쪽에 관심이 많이 가지게 되었는데 이 책을 요약을 하면서 정말 어려운 과목이란 것을 한 번 더 느끼는 계기가 됨과 동시에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과목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⑤홀몬(Hormone)의 작용
⑥상위중추
⑦근 · 건에서의 반사
3-9 운동의 지속과 산소
필요한 O₂를 조절한다는 것은 인체의 운동에 대해서 결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1) 산소의 역할
조직세포의 대사에 쓰이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한다.
에너지원의 재합성에는 산소과정을 갖지않으면 안된다.
∵무산소적인 근수축에는 한도가 있고, 그 양상도 운동시에 수분에 불과하다.
2) 산소섭취량과 산소부채량
산소섭취량은 운동의 강도에 따라서 증가한다.
운동후의 회복기에 높은 사소 소비가 일어나는 것은 체내에 축적되어진 유산을 산화 하기 위해서 필요한 산소이며, 이 산소를 ‘산소부채’라고 한다.
3)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산소부채량
최대산소섭취량 : 운동중 산소섭취량의 최대 값
최대산소부채량 : 신체가 견딜 수 있는 산소부채의 최대한계 값
4) 운동의 강도에 따른 산소공급의 비교
단시간의 종목에서 운동직후 1분간 섭취하는 산소의 양이 운동중의 산소섭취량보다 큰 경우가 많이 생기지만, 그 산소의 양은 그 사람의 최대산소섭취량에 도달하는 경우 는 없다.
1500M 달리기에서는 중행 끝 무렵에 그 사람의 최대산소섭취량이 나타난다.
런닝과 같은 최대한의 운동을 요구하는 운동에서 어느정도까지 운동을 계속할 수 있 을까는 운동을 하고있는 사람의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산소부채량이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5) Second Wind
정의 : 오랜시간 운동을 할 때 괴로운 시기를 견디고 숨쉬기가 편하게 된 상태.
세컨드 윈드에 들어가면 호흡의 깊이가 늘고 폐의 탄산가스 농도가 낮게 되고 맥박도 규칙적으로 된다. 또한 땀이나는 현상이 수반된다.
세컨드 윈드의 발현을 요약 4개지
①근활동에 혈류가 충분하게 되어 근수축의 화학반응이 원활하게 행하도록한다.
②사전에서 나타나는 호흡곤란은 혈액의 산 · 염기평형의 실조와 활동근에서늬 반사 적인 호흡 증강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는데, 이것도 혈류의 원활한 조정에 의해서 원활해진다.
③발한의 촉진에 의해 체열발산도 원활해진다.
④사지근의 리드미컬한 수축에 의해, 환류정맥혈의 증가에 따르는 Bainbridge반사 등에 따라 혈류구출량의 조정이 개선되어진다.
▶M E M O◀
사점이 생기는 이유.
①운동에 의해 내장혈관이 수축하여 혈관의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②축적된 유산 때문에, 혈액이 산성화되어 호흡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3-10 최대산소섭취량의 판정기준
최대산소섭취량의 판정기준으로는 산소섭취량의 levelling off, 혈중유산농도, 심박수, 호 흡상 이 있다.
3-11 유산소적 운동과 무산소적 운동
유산소적 운동 : 운동에 필요한 산소의 대부분을 운동중에 섭취한다는 것은 활동근의 energy가 산소공급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을 의미함.
무산소적 운동 : 산소부채의 비율이 크다는 것은 산소부족의 상태에서 활동근의 energy 가 생산되는 것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운동을 실시할 능력을 각각 유산소적 작업능력, 무산소적 작업능력이라는 용어로 나타내고 있다.
1) 무산소적 운동의 생리적 반응
무산소적 운동은 2가지 반응으로 분류할 수 있다.
ⅰ. 크레아틴인산의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크레아틴인산의 분해를 촉진하 여 인산을 아데노신2인산에 공급하여 아데노신3인산을 재합성시키는 것이다.
ⅱ. 해당작용 : 효소의 활동에 의하여 탄수화물을 젖산으로 분해하는 작용.
①비유산성운동 : 수초간 지속의 전력운동.
·비유산성 운동으로는 50m 전력질주와 같은 단시간의 폭발적인 운동을 말한다.
②유산성운동 : 수 10초간 지속의 전력운동
·유산성의 운동으로는 150m에서 400m의 거리를 전력으로 달릴경우와 같이 수십 초간의 운동의 지속을 말한다.
③산소부채량의 측정
·생리학적으로 최대산소 부채량의 크기가 지표로서 사용된다.
·안정시 산소섭취량은 산소부채량 산출의 기초가 된다.
산출방법.
⒜운동전의 측정치
⒝회복기의 종말의 측정치
⒞이미 나온 성, 연령별 기초대사량의 표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2) 유산소적 운동의 생리적 반응
유산소적 운동은 외호흡계, 혈액순환계, 혈액조성, 조직호흡 등 모든 활동의 조정능력 에 의하여 결정된다.
①산소운반계의 Mechanism
·유산을 분해하는데 O₂가 필요하기 때문에 근수축을 장시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O₂의 공급이 있어야 한다.
·O₂운반계와 소비계의 종합된 기능은 산소섭취능력이며, 그 최고의 섭취능력이 최대산소섭취 능력이다.
·폐가 외기를 들어마시고, 폐포에서 확산에 의해 혈액에 O₂가 섭취되고, 그 혈액 은 심장과 혈관의 활동에 의하여 조직에 운반되고, 조직에서는 확산에 의해 O₂ 의 섭취가 이루어진다.
②단시간 지구성 운동
·환기량과 산소섭취량은 주행초기의 증가와 그 이후에는 외관상으로는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주행 10분 이내의 최대의 지속적인 달리기에서 나타나는 호흡, 순 환계의 일반적인 반응이다.
③장시간의 지구성 운동
·장시간의 지구운동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은 나타나지 않으며 그 이하의 산소 섭취 량으로 운동이 유지된다.
④유산소적 작업능력과 무산소적 작업능력
·호흡기능은 무산소적 작업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기초이며 유산성 반응은 비유산 성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초이다.
·무산소적 작업능력을 육성하고 싶은 선수는 먼저 유산소적 작업능력의 트레이닝에 들어가야한다.
리포트를 마치며…….
정말 긴 대장정이었습니다. 너무 힘들기도 하였고 가끔 지칠 때도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요약을 하기 위해서 한번 다 읽어 보아야만 한다는 생각에 앞이 막막하기도 했습니다. 또 저는 머리가 그다지 똑똑한 편이 아니라 몇 번씩 읽어야 하는 고충도 있었지만 오히려 시험공부와 운동생리학에 대해서 알아 가는데 더욱더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서 마음 한쪽이 후련합니다.
리포트를 써가면서 하나씩 궁금했던 것들이 풀린 것도 있었고 오히려 책을 요약하려고 자세하게 읽다보니 궁금한 점도 많이 생긴 것 같습니다. 요즘들 어서 생리학 쪽에 관심이 많이 가지게 되었는데 이 책을 요약을 하면서 정말 어려운 과목이란 것을 한 번 더 느끼는 계기가 됨과 동시에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과목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추천자료
유산소 운동에 대하여
마라톤경기(42.195km), 축구경기(90분 또는 연장전 경기시 120분), 농구경기(4쿼터), 투포환 ...
중환자실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case study
[과외]중학 체육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9
빈혈과 혈액형 및 혈액의 응고
[자가관리]당뇨환자 운동 관리
에어로빅
아동간호학 case study - Bronchiolitis
운동 중 호흡 조절
체육의 신체적(생리적) 가치
운동과 호흡계의 이해
[체육학] 에어로빅스에 대하여 : 에어로빅스의 정의와 역사, 종류와 운동의 기본 스텝, 운동...
걷기운동의 종류 및 자세와 방법
Angina pectoris 협심증 케이스(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