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철근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른 역학적 거동 특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남대 철근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른 역학적 거동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보이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항복강도가 커서 변형에 잘 견디며 미세 균열이 늦게 발생하지만, 균열이 한번 발생하기 시작하면 파괴가 급격히 일어나기도 한다(심한 표현을 빌리자면 균열 사이로 반대편이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탄성변형 영역에서는 실제적인 물질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가해지는 힘이 풀어지면 재료는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하지만 항복점을 지나면 재료가 잡아당기는 힘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물질의 이동이 일어난다. 이 부분을 소성변형 영역이라고 하며, 가하던 힘을 풀더라도 재료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못한다. 가해지는 힘의 일부가 소성변형에 사용되며 여기에 사용된 힘은 탄성변형에 사용되는 힘과 달리 다시 회복되지 않는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취성 재료로서 소성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재료에 가해지는 힘 전체가 그대로 파괴에 사용되므로 항복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순간적으로 파괴가 일어난다.
또한 느린 속도로 재하 되거나 하중이 상당한 기간 지속될 경우는 빠른 속도로 재하될 경우보다 하중의 크기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처음에는 변형에 따른 압축강도가 거의 선형의 모습(실제로는 비선형이지만)을 그리며 증가하다가 저강도 콘크리트에서는 연성의 모습으로,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취성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는 처짐이 적고 높은 강도를 보이지만 취성이 강하기 때문에 급격한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단지 강도가 높다고 좋다는 생각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시 여러 요인과 상황을 고려해서 사용하는게 바람직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