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제재로서의 적절성 검토
- ‘산정무한’의 제재로서의 비판점 -
Ⅲ. 지식설명의 적절성 검토
- ‘알아두기’의 지식설명을 중심으로 -
Ⅳ. ‘학습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전체 학습 활동의 유형별 분류와 비판적 검토
2. 전체 학습 활동의 문제점과 추가해야 할 내용
Ⅴ. 대안으로 활용 가능한 제재 검토
Ⅵ. 나오는 글
Ⅱ. 제재로서의 적절성 검토
- ‘산정무한’의 제재로서의 비판점 -
Ⅲ. 지식설명의 적절성 검토
- ‘알아두기’의 지식설명을 중심으로 -
Ⅳ. ‘학습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전체 학습 활동의 유형별 분류와 비판적 검토
2. 전체 학습 활동의 문제점과 추가해야 할 내용
Ⅴ. 대안으로 활용 가능한 제재 검토
Ⅵ. 나오는 글
본문내용
알맞은 학습활동을 함께 생각해 보았다.
김훈 에세이 자전거 여행 2
유토피아를 그리는 사람들의 오래된 꿈
- 가평 산골마을
가평은 맑은 땅이다. 장마가 개이자 가평의 산들은 푸르고 비린 여름의 힘으로 눈부시다. 여름 산의 힘은 젖어 있고, 젖은 산의 빛이 천지간에 가득하다. 가까운 산이 먼 산의 앞자락을 가리우고, 먼 산은 더 먼 하늘 쪽으로 봉우리들을 거느리고 달려나가 산의 출렁임은 끝이 없는데 골짜기는 들판으로 치달아 내리면서 넓어지고 골마다 물이 흘러내려 가평의 여름 산은 물소리로 흘러내린다.
양평에서 가평군 설악면으로 넘어가는 37번 지방도로는 여름의 축복으로 가득하다. 길은 중미산, 유명산 두 산의 언저리를 이리저리 비껴가는데 농다치고개로 중미산을 지나고 선어치고개로 유명산의 낮은 자락을 넘는다. 고개가 높지 않아 길은 산꼭대기를 밟지 않고, 터널이 없어서 길은 산의 중앙부를 무례하게 관통하지 않는다. 길은 산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고 다만 숲에서 숲으로 이어진다.
선어치고개는 중미산과 유명산의 낮은 자락이 겹치는 골짜기를 따라서 개울물 흐르듯이 이리저리 휘돌며 숲 속을 나아간다. 고개 중턱에 이르러 갑자기 시야가 트이는 곳에서 자전거를 멈추고 서울 쪽을 바라보면, 서쪽 하늘이 다하는 곳에 북한산이 보인다. 북한산 인수봉, 노적봉의 흰 바위들에 여름의 빛이 부딪쳐서 산은 신화 속의 산처럼 멀고 우뚝하고 찬란하다. 시선은 아득한 공간을 건너가는데 시선이 겨우 닿는 북한산까지의 공간 속에서는 마을도 인가도 보이지 않고 첩첩연봉으로 이어진 산들이 동해에서 고래 뛰듯 솟구치고 잠긴다. 산어치고개에서는 내 눈 밖으로 뻗어나가서 북한산 인수봉의 흰 바위에 닿는 시선이 내 몸의 일부라는 사실에 나는 오금이 저렸다. (중략)
《 아마 조종암을 경영했던 지식인들은 문자를 세상으로 내보내는 인간 정신의 힘을 믿는 사람들이었던 모양이다. 글이 정신을 확보하고 있는 한, 글은 그들의 현실이었다. 그들은 그 간절함의 진정성으로 오랑캐에게 조공을 바쳐야 하는 당대의 무기력을 부정할 수 있었다. 그들은 그 정통성 위에 건설되어야 하는 유토피아의 꿈을 몇 개의 문자로 이 깊은 산골마을의 바위에 새겨놓았다. 바위는 흐르는 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 아아 슬프다. 명나라 사직이 폐허가 되고 중국이 피비린내 나는 땅이 되어 우리가 사모할 곳 없더니 이제 여기에서 얻었구나……
라는 구절을 읽으면서 나는 바위 밑으로 펼쳐진 산하를 내려다보았다. 정통성을 상실한 당대의 폐허에서 사모할 땅은, 마침내 이 작은 산골마을의 강과 산과 들이라는 깨달음은 그들의 오래고도 치열한 방황의 세월을 느끼게 한다. 조종암에서 내려다보이는 가평군 하면 대보리의 산하는 둥글다. 날카로운 산들이 멀찍이 물러서 있어 그 먼 날카로움이 휘도는 물의 부드러움을 완성해준다. 발 디디고 선 땅 위에 건설할 수 없다면 유토피아는 어디에도 없는 것이고, 그 유토피아는 인간과 외계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 위에서 가능한 것이라고 산골마을의 오래된 비석은 말하고 있었다.》 (이하 생략)
학습활동 (예시)
1. 다음 아래 표를 참고하여 위 글의 《》 부분을 비평해 보자.
표현 문장
비평 근거
비평
표현 효과
아마 조종암을
~
말하고 있었다.
(1)격조에 어울리는
수식어 사용
(2)바위에 새겨진
글 인용
(간결하고 명료한 표현 / 유창하고 진지한 표현)
.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대상인
(조종암)에 대한 강한 인상을 표현
. 바위에 새겨진 글을 인용하여 글의 품격을 높임
. 생각의 깊이가 잘 드러남.
Ⅵ. 나오는 글
시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리는 시에서 언어를 표현하는 방법들을 통해 시를 감상하면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동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소월의 ‘진달래꽃’의 경우 시 안에서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운율을 통해 리듬감과 생동감을 느낄 수 있고, 정지용의 ‘바다2’
바다2
정지용 바다는 뿔뿔이
달아나려고 했다.
푸른 도마뱀 떼같이
재재발렀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았다.
흰 발톱에 찢긴
산호(珊瑚)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가까스로 몰아다 부치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었다.
이 애쓴 해도(海圖)에
손을 씻고 떼었다.
찰찰 넘치도록
돌돌 구르도록
휘동그란히 받쳐 들었다!
지구(地球)는 연(蓮)잎인 양 오므라들고 …… 펴고 …….
에서는 대상을 표현하는 이미지들을 통해 시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시는 각각의 특징적인 표현을 통해 독자에게 감동을 주기도 하는데, 언어의 표현 방식을 다양하게 사용한다고 해서 보다 많은 감동을 주는 것은 아니다. 시는 각각의 특징적인 표현을 통해 독자들에게 감동을 준다.
산문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산문마다 각기 다른 특징적인 표현 방법을 지니고 있다. 명료성, 유창성과 같은 어느 한 표현 방법의 특징을 잘 살려낸 산문을 통해 우리는 그 표현 방식과 더불어 글쓰기 방식까지 익힐 수 있다. 하나의 좋은 글을 읽음으로써 그 안에서 많은 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산정무한은 금강산 기행에서 느낀 감회를 낭만적, 감상적, 회고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서경과 서정이 잘 조화된 작품으로 기행 수필의 차원을 한 단계 높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고등학교 10학년을 독자로 하는 교과서의 제재글로서는 적절하다고 보기 어렵다. 일단 기본적으로 지문이 읽을 만해야 학생들이 교과서 공부에 정을 붙일 수 있을 것이다. 요즘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이 글은 어렵다. 교과서 제재 선정 기준을 고려한다면 이 글은 학생들에게 외면당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학생들 수준에 맞는, `꼭 읽어야 할 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글`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제재로서의 적절성 검토
- ‘산정무한’의 제재로서의 비판점 -
Ⅲ. 지식설명의 적절성 검토
- ‘알아두기’의 지식설명을 중심으로 -
Ⅳ. ‘학습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전체 학습 활동의 유형별 분류와 비판적 검토
2. 전체 학습 활동의 문제점과 추가해야 할 내용
Ⅴ. 대안으로 활용 가능한 제재 검토
Ⅵ. 나오는 글
김훈 에세이 자전거 여행 2
유토피아를 그리는 사람들의 오래된 꿈
- 가평 산골마을
가평은 맑은 땅이다. 장마가 개이자 가평의 산들은 푸르고 비린 여름의 힘으로 눈부시다. 여름 산의 힘은 젖어 있고, 젖은 산의 빛이 천지간에 가득하다. 가까운 산이 먼 산의 앞자락을 가리우고, 먼 산은 더 먼 하늘 쪽으로 봉우리들을 거느리고 달려나가 산의 출렁임은 끝이 없는데 골짜기는 들판으로 치달아 내리면서 넓어지고 골마다 물이 흘러내려 가평의 여름 산은 물소리로 흘러내린다.
양평에서 가평군 설악면으로 넘어가는 37번 지방도로는 여름의 축복으로 가득하다. 길은 중미산, 유명산 두 산의 언저리를 이리저리 비껴가는데 농다치고개로 중미산을 지나고 선어치고개로 유명산의 낮은 자락을 넘는다. 고개가 높지 않아 길은 산꼭대기를 밟지 않고, 터널이 없어서 길은 산의 중앙부를 무례하게 관통하지 않는다. 길은 산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고 다만 숲에서 숲으로 이어진다.
선어치고개는 중미산과 유명산의 낮은 자락이 겹치는 골짜기를 따라서 개울물 흐르듯이 이리저리 휘돌며 숲 속을 나아간다. 고개 중턱에 이르러 갑자기 시야가 트이는 곳에서 자전거를 멈추고 서울 쪽을 바라보면, 서쪽 하늘이 다하는 곳에 북한산이 보인다. 북한산 인수봉, 노적봉의 흰 바위들에 여름의 빛이 부딪쳐서 산은 신화 속의 산처럼 멀고 우뚝하고 찬란하다. 시선은 아득한 공간을 건너가는데 시선이 겨우 닿는 북한산까지의 공간 속에서는 마을도 인가도 보이지 않고 첩첩연봉으로 이어진 산들이 동해에서 고래 뛰듯 솟구치고 잠긴다. 산어치고개에서는 내 눈 밖으로 뻗어나가서 북한산 인수봉의 흰 바위에 닿는 시선이 내 몸의 일부라는 사실에 나는 오금이 저렸다. (중략)
《 아마 조종암을 경영했던 지식인들은 문자를 세상으로 내보내는 인간 정신의 힘을 믿는 사람들이었던 모양이다. 글이 정신을 확보하고 있는 한, 글은 그들의 현실이었다. 그들은 그 간절함의 진정성으로 오랑캐에게 조공을 바쳐야 하는 당대의 무기력을 부정할 수 있었다. 그들은 그 정통성 위에 건설되어야 하는 유토피아의 꿈을 몇 개의 문자로 이 깊은 산골마을의 바위에 새겨놓았다. 바위는 흐르는 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 아아 슬프다. 명나라 사직이 폐허가 되고 중국이 피비린내 나는 땅이 되어 우리가 사모할 곳 없더니 이제 여기에서 얻었구나……
라는 구절을 읽으면서 나는 바위 밑으로 펼쳐진 산하를 내려다보았다. 정통성을 상실한 당대의 폐허에서 사모할 땅은, 마침내 이 작은 산골마을의 강과 산과 들이라는 깨달음은 그들의 오래고도 치열한 방황의 세월을 느끼게 한다. 조종암에서 내려다보이는 가평군 하면 대보리의 산하는 둥글다. 날카로운 산들이 멀찍이 물러서 있어 그 먼 날카로움이 휘도는 물의 부드러움을 완성해준다. 발 디디고 선 땅 위에 건설할 수 없다면 유토피아는 어디에도 없는 것이고, 그 유토피아는 인간과 외계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 위에서 가능한 것이라고 산골마을의 오래된 비석은 말하고 있었다.》 (이하 생략)
학습활동 (예시)
1. 다음 아래 표를 참고하여 위 글의 《》 부분을 비평해 보자.
표현 문장
비평 근거
비평
표현 효과
아마 조종암을
~
말하고 있었다.
(1)격조에 어울리는
수식어 사용
(2)바위에 새겨진
글 인용
(간결하고 명료한 표현 / 유창하고 진지한 표현)
.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대상인
(조종암)에 대한 강한 인상을 표현
. 바위에 새겨진 글을 인용하여 글의 품격을 높임
. 생각의 깊이가 잘 드러남.
Ⅵ. 나오는 글
시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리는 시에서 언어를 표현하는 방법들을 통해 시를 감상하면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동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소월의 ‘진달래꽃’의 경우 시 안에서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운율을 통해 리듬감과 생동감을 느낄 수 있고, 정지용의 ‘바다2’
바다2
정지용 바다는 뿔뿔이
달아나려고 했다.
푸른 도마뱀 떼같이
재재발렀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았다.
흰 발톱에 찢긴
산호(珊瑚)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가까스로 몰아다 부치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었다.
이 애쓴 해도(海圖)에
손을 씻고 떼었다.
찰찰 넘치도록
돌돌 구르도록
휘동그란히 받쳐 들었다!
지구(地球)는 연(蓮)잎인 양 오므라들고 …… 펴고 …….
에서는 대상을 표현하는 이미지들을 통해 시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시는 각각의 특징적인 표현을 통해 독자에게 감동을 주기도 하는데, 언어의 표현 방식을 다양하게 사용한다고 해서 보다 많은 감동을 주는 것은 아니다. 시는 각각의 특징적인 표현을 통해 독자들에게 감동을 준다.
산문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산문마다 각기 다른 특징적인 표현 방법을 지니고 있다. 명료성, 유창성과 같은 어느 한 표현 방법의 특징을 잘 살려낸 산문을 통해 우리는 그 표현 방식과 더불어 글쓰기 방식까지 익힐 수 있다. 하나의 좋은 글을 읽음으로써 그 안에서 많은 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산정무한은 금강산 기행에서 느낀 감회를 낭만적, 감상적, 회고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서경과 서정이 잘 조화된 작품으로 기행 수필의 차원을 한 단계 높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고등학교 10학년을 독자로 하는 교과서의 제재글로서는 적절하다고 보기 어렵다. 일단 기본적으로 지문이 읽을 만해야 학생들이 교과서 공부에 정을 붙일 수 있을 것이다. 요즘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이 글은 어렵다. 교과서 제재 선정 기준을 고려한다면 이 글은 학생들에게 외면당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학생들 수준에 맞는, `꼭 읽어야 할 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글`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제재로서의 적절성 검토
- ‘산정무한’의 제재로서의 비판점 -
Ⅲ. 지식설명의 적절성 검토
- ‘알아두기’의 지식설명을 중심으로 -
Ⅳ. ‘학습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전체 학습 활동의 유형별 분류와 비판적 검토
2. 전체 학습 활동의 문제점과 추가해야 할 내용
Ⅴ. 대안으로 활용 가능한 제재 검토
Ⅵ. 나오는 글
추천자료
[다중지능]다중지능(다중지능이론)의 기본원리, 다중지능(다중지능이론)의 주요내용, 다중지...
[자기주도적학습]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의 원리, 자기주도적학습의 단계, 자...
[재량활동][제7차교육과정]재량활동의 의의, 재량활동의 성격, 재량활동의 필요성, 재량활동...
또래교수활동(또래지도학습) 정의와 유형, 또래교수활동(또래지도학습) 의의, 또래교수활동(...
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그리기활동, 정신지체아 자기표현력향상 그리기활동, 소...
학습활동 1_2
학습활동 6.1.2
학습활동 11_2
초등2)국어 <국어(듣기말하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 7. 따뜻한 눈길로(읽기 105-109쪽, 2-3...
통합적 언어교육을 위한 학습활동계획 및 운영
연대. 연세대학교. RN-BSN. 정신건강문제와 간호. 학습활동 1. 자아개념 분석
연대. 연세대학교. RN-BSN. 간호와 경영. 학습활동 1.1,1.2,1.3
연대. 연세대학교. RN-BSN. 간호와 경영. 학습활동 9.3, 9.4 인적자원관리
연대. 연세대학교. RN-BSN. 간호와 경영. 학습활동 4.1.1, 4.2.3, 4.3 공유가치를 창조하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