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림벌채,사막화,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림벌채,사막화,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50m 폭의 숲은 소음을 10~16db을 줄여주고, 숲은 천연의 녹색 댐이자 거대한 정수기로서 우리나라 산림이 연간 소양강댐 10개와 맞먹는 180억 톤의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숲의 토사유출 방지능력은 황폐지의 227배에 달하며, 숲에서 산림욕, 레크리에이션을 즐길 수 있고 피톤치드라는 천연 식물향이 있어 우리의 건강을 증진 시켜 준다.
■ 산림 보호(Forest protection)세계 산림은 FAO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산림은 39억5천200만㏊(2005)로서 세계 육지면적의 약 30.3%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중 95%인 35억3천800만㏊는 천연림이고 나머지 5%인 1억3천900만㏊는 인공림이다. 세계산림면적의 2/3가 10개국에 위치하고 있다. 국가별산림면적 분포를 보면, 러시아가 가장 많은 산림면적(8억800만㏊. 20.5%)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브라질(4억7천700만㏊, 12.1%) 캐나다(3억1천만㏊, 7.8%), 미국, 중국 등의 순이다.
우리나라의 세계 산림면적 점유비율은 0.16%이다. 또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간 9천400만㏊가 감소했다. 이는 매년 900만㏊씩 감소한 것으로 주로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에서 감소했다.우리나라도 전체 산림의 면적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임목자원은 점점 증가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것은 정부의 심는 정책에서 가꾸는 정책으로 변화이후 성과가 점점 드러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림에 수종은 침엽수(42.1%)가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 혼효림(26%), 활엽수(29.2) 순이다.
산은 생물종이 매우 다양한 지역으로 이미 많은 부분이 국립공원이나 보호지역으로 설정되었지만 지속적인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생물다양성이 유지가 되었을 때 그 산림은 스스로 생태계의 불균형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닐 수 있다. 산은 특히 기후 변화에 민감하다. 이를 활용하여 기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또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농업, 임업 등을 이용할 수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증가하는 목재 소비량과는 반대로 많은 양의 목재를 외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목재 생산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목재 생산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목재 수요를 충당할 수 있도록 산림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물론 국내 산림자원의 육성이 필요하다. 생활의 질적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깨끗한 물과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자연에 대한 환경 수요가 크게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산림자원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산림자원을 보전해야 한다는 새로운 가치관의 정립이 필요하다.
사막화의 방지 대책(Preventive measure of desertification)
사막화의 방지를 위해서는 먼저 지구 관측 위성을 이용한 사막화의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즉, 넓은 범위의 사막화 과정, 정도, 분포 등을 파악하고 장기적으로 변화를 관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막화를 과정별로 분석하는 일도 필수적이다. 먼저 식생 황폐에 따른 사막화에 대해서는 식생의 변동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기상 위성 노아(NOAA)를 통하여 평면적인 생체량(Biomass)의 분포를 알 수 있다. 장래에는 식물의 생육형, 군락구조 등의 입체적 정보를 알아내는 일이 가능해 질 것이다. 또 토양 황폐에 수반되는 수반되는 사막화에 관해서는 지표면의 염류집적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토양 표층의 이화학적 성질을 모니터링하는 일이 필요하다. 기후 이변에 따른 사막화에 대해서는 지구의 대기가 사막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기후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막화에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파악하고, 그 분포와 시간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관측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현상이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막화의 기초 연구와 함께 사막화에 대한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 요구되는 것은 단순히 첨단 기술의 도입만이 아니라 지역마다의 사막화 과정, 상황 그리고 그 배경이 된 자연적, 사회적 조건을 고려한 적절한 기술의 개발이다. 1992년 6월에 브라질의 리우데자이루에서 '지구정상회의(환경과 개발에 관한 국제 연합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채택된 '의제21(Agenda21)'에는 '사막화 방지 조약'의 체결을 검토하는 일이 포함되어 있다. 조약의 체결이 준비 단계에 들어감으로써 사막화 문제가 국제적으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4.02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