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제1장][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제 2장][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 1장, 교육의 신화를 깨자 ◈
한 아이가 엄마에게 말했다. “엄마는 참 겁도 없다, 어떻게 이런 세상에 날 낳을 생각을 했어? ” 여기서 이런 세상은, 입시전쟁 속에 살아가는 학력에 의한 신분사회 즉, 대한민국의 교육의 모습을 지칭한 말이다.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범죄가 두려운 것이 아니다. 학생이라면 누구나 공부를 하고 배우는 것이 마땅한 데, 이를 무서워하고 있다. 해마다 수십 명이 자살하기까지 아이들을 내모는 입시전쟁은 갈수록 치열해져서 그 여파가 유치원에까지 이르고 있는 현실이다. ‘대학입시’라는 정점을 향해 어릴 적부터 엄마들은, 머리 좋은 아이 혹은 똑똑한 아이가 되도록 유도하고 가르친다. 초등학교 때부터 기초를 잡아주어야 한다며 학교가 끝나고 학원에 다니는 습관을 길러주고, 중학교 때부터는 완전히 공부하는 기계로 길러낸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한국의 교육의 문제점을 전통적으로 양반중심사회, 급격히 변한 현대 자본주의와 입시교육의 정치경제학 측면에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대학을 가야만 인간대접을 받는 현 사회구조가 변화하려면, 교육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확실히 하고 인간성을 살릴 수 있는 건강한 교육으로 현재의 교육법을 바꾸며 교육행정을 더욱 개방적이고 민주적으로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이 책이 쓰여진 1997년 당시보다, 8년이 지난 지금은 공교육이 무너지는 현실이 눈에 보이고 있으며, 참교육의 부재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아이들은 더 이상 스스로 공부할 수 없고, 학교에서만 배우는 것으로는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없다. 공부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교육이 열린 교육이나 인본주의 교육으로 흘러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교육심리학 11장에서 인본주의 교육에 대해서 배웠는데,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과 독립성을 증대시키고, 창의력과 호기심을 개발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현 교육체제대로 주입식 교육, 수동식 교육은 정말로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자신의 능력이나 소질과는 상관없이, 점수에 맞추어 사회의 틀에 맞추어 직업을 결정하고 그에 맞는 공부를 하는 것.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지 못하고, 사교육에 의존하는 것. 이런 모든 것들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의식문제가 바뀌어야겠고,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 학부모들, 교사들 역시 제도권을 탓하고 현실에 안주하기 보다는 적극적인 실천의지를 갖고 변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1장, 교육의 신화를 깨자 ◈
한 아이가 엄마에게 말했다. “엄마는 참 겁도 없다, 어떻게 이런 세상에 날 낳을 생각을 했어? ” 여기서 이런 세상은, 입시전쟁 속에 살아가는 학력에 의한 신분사회 즉, 대한민국의 교육의 모습을 지칭한 말이다.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범죄가 두려운 것이 아니다. 학생이라면 누구나 공부를 하고 배우는 것이 마땅한 데, 이를 무서워하고 있다. 해마다 수십 명이 자살하기까지 아이들을 내모는 입시전쟁은 갈수록 치열해져서 그 여파가 유치원에까지 이르고 있는 현실이다. ‘대학입시’라는 정점을 향해 어릴 적부터 엄마들은, 머리 좋은 아이 혹은 똑똑한 아이가 되도록 유도하고 가르친다. 초등학교 때부터 기초를 잡아주어야 한다며 학교가 끝나고 학원에 다니는 습관을 길러주고, 중학교 때부터는 완전히 공부하는 기계로 길러낸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한국의 교육의 문제점을 전통적으로 양반중심사회, 급격히 변한 현대 자본주의와 입시교육의 정치경제학 측면에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대학을 가야만 인간대접을 받는 현 사회구조가 변화하려면, 교육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확실히 하고 인간성을 살릴 수 있는 건강한 교육으로 현재의 교육법을 바꾸며 교육행정을 더욱 개방적이고 민주적으로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이 책이 쓰여진 1997년 당시보다, 8년이 지난 지금은 공교육이 무너지는 현실이 눈에 보이고 있으며, 참교육의 부재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아이들은 더 이상 스스로 공부할 수 없고, 학교에서만 배우는 것으로는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없다. 공부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교육이 열린 교육이나 인본주의 교육으로 흘러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교육심리학 11장에서 인본주의 교육에 대해서 배웠는데,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과 독립성을 증대시키고, 창의력과 호기심을 개발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현 교육체제대로 주입식 교육, 수동식 교육은 정말로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자신의 능력이나 소질과는 상관없이, 점수에 맞추어 사회의 틀에 맞추어 직업을 결정하고 그에 맞는 공부를 하는 것.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지 못하고, 사교육에 의존하는 것. 이런 모든 것들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의식문제가 바뀌어야겠고,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 학부모들, 교사들 역시 제도권을 탓하고 현실에 안주하기 보다는 적극적인 실천의지를 갖고 변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학교사회복지 계획) 학교사회사업 분석과 계획서
학교사회사업 개념, 학교사회사업가 역할, 진로상담(학교카운슬링)과의 차이, 학교사회사업가...
[학교사회사업][학교사회사업가]학교사회사업의 개념, 학교사회사업가의 개념, 학교사회사업...
[학교사회사업][학교사회복지][학교사회사업전문가][학교사회사업가][사회사업]학교사회사업...
[학교사회사업][학교사회복지][학교사회사업가][학교사회사업전문가][학교복지]학교사회사업...
[학교사회사업가]학교사회사업가의 직무, 학교사회사업가의 사업요소,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
국내 학교사회복지의 발전과정, 현황, 문제점 및 학교사회복지의 나아갈 방향 제언 (학교사회...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 도입의 필요성, 개념, 현황, 학교사회보지사 역할, 실천모델, 문...
현행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사의 현실과 대안 - 현재 학교현장의 문제점과 학교사회복지사의 ...
학교폭력으로 인하여 학교에 등교하기가 무섭고, 집밖으로 나오는 것을 무서워하는 학생이 자...
우리학교에는 가난한 애들도 없는데 왜 사회복지사가 들어와서 학교사회복지 사업을 합니까? ...
[학교사회복지]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역할과 직무 수행을 실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