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암(larynx cancer)수술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후두암(larynx cancer)수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후두의 해부 및 기능
1. 위치 및 구조
2. 후두의 기능

Ⅱ. 후두암
1. 정의
2. 발생빈도
3. 원인
4. 해부학적 분류
5. 후두암의 전이경로
1) 국소침윤
2) 경부전이
6. 병기
7. 증상
8. 진단
9. 치료
1) 방사선치료
2) 수술적 치료방법
(1) 후두개절제술(epiglottectomy)
(2) 수평후두부분절제술(vertical partial laryngectomy)
(3) 성문상후두절제술(extended supraglotticlaryngectomy)

Ⅲ. 후두전적출술(total laryngectomy)
1. 수술개요
2. OP Procedure
3. 수술 후 합병증
1) 조기 합병증
2) 지연성 합병증
4. 후두전적출술 환자의 음성재활
1) 비폐기법(non-pulmonary air method)
2) 폐기법(pulmonary air method)

Ⅳ. Reference

본문내용

닌 보존적 후두절제술을 시행하는 경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경우에 따라 후두전적출술을 시행하는 경우 수술 후 음성을 잃게 되며 후각과 미각에 장애가 생기고, 정신과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음성의 상실은 환자 본인과 가족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사항이므로 후두전적출술 후 음성재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 비폐기법(non-pulmonary air method)
비폐기법은 식도발성과 같이 폐이외의 공기를 이용하여 발성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식도발성이 대표적인 음성재활 방법이며 그 밖에 협부, 인두, 위의 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1) 식도발성(esophageal speech)
식도발성은 그 동안 후두전적출술 후 음성재활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수술이 필요 없으며 거의 모든 환자에게서 가장 큰 장점은 수술이 필요 없으며 거의 모든 환자에서 가능하다는 것이지만 만족할 만한 음성을 낼수 있는 환자는 50%내외로 알려져 있다. 식도발성에서는 인두식도괄약근이 진동하여 발성이 되는데 이 부위를 가성대pseudoglottis라 한다. 상부 식도의 점막주름보다는 하인두괄약근의일부와 윤상인두근cricopharyngeal muscle으로 이루어지는 괄약부가 성대의 역할을 한다. 윤상인두괄약근이 발성하기에 적당하며, 식도 내의 공기가 인두로 배출되어 가성대를 진동시켜 발성하게 된다
식도를 공기로 채우는 방법은 주입법과 흡입법 두 가지가 있다.
① 주입법
혀나 입술, 협부와 연구개를 움직여서 인두로부터 식도로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식도발성을 잘 하는 사람의 대다수는 이 방법을 사용한다.
② 흡입법
호흡 주기에서 생기는 식도내 압력이 변화를 이용하여 공기를 식도에 흡입하는 방법으로 식도발성 훈련은 수술 후 3~4주가 지난 뒤 시작하나 몇 달 정도 지연하고 시작해도 상관은 없다. 집중적으로 훈련을 받으면 3~6개월째부터 효과적으로 발성을 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좋아진다. 효과적인 식도발성을 하지 못하는 가장 중요한 실패 요인은 윤상인두괄약근의 과도한 긴장이나 경련인데 이때는 식도 안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힘들고 주입된 공기도 인두로 배출되지 않아 발성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는 운상인두괄약근 절제술cricopharyngealmyotomy을 한다.
(2) 협발성(buccal speech)
협발성은 협부와 치조 또는 혀와 치조 사이의 공기를 압박할 때 나는 소리를 이용하여 말을 하는 방법이다. 발성과 구음 동작을 거의 동시에 하기 때문에 충분히 입을 열지 못하므로 모음 발음이 분명하지 않다.
(3) 인두발성(pharyngeal speech)
인두발성은 혀로 경구개, 연구개, 인두벽을 압박할 때 인두에 갇혀 있던 공기가 배출되면서 나는 소리를 이용하여 말을 하는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발성과 동시에 구음동작을 하므로 힘이 들고 어음명료도 또한 좋지 않다.
(4) 위발성(gastric speech)
위발성은 위로 삼킨 공기를 트림을 함으로써 말을 하는 방법으로, 일정하고 지속적인 발성이 곤란하다.
2) 폐기법
폐기법pulmonary air method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인위적으로 만든 기관식도단락shunt을 통하여 인두로 배출함으로써 말을 하는 방법이다.
(1) 기관식도 천자(tracheoesophageal puncture)
기관식도 천자은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인두식도분절의 점막이 진동하는 것이다. 기관식도단락 발성은 폐호흡으로 조절되므로 발성지속시간이나 강도를 내쉬는 숨을 변화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2) 삽입물(prosthesis)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가 적응하기 쉬운 삽입물prosthesis을 개발해 오고 있다. 많은 환자들이 소리가 날 정도로 호기압을 강하게 내기가 어려우므로 직경이 큰(5.3~6.6mm) 저압삽입물이 개발되었다. Blom-Singer, Bivona, Panje, Provox, Nidjam 등 여러 가지 삽입물들이 개발되었지만 이 중 특별히 더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유치삽입물(indwelling prosthesis)은 원위부에 원형의 날개를 부착하여 삽입물이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의사가 제거와 교환을 해야 하고, 진균 감염의 빈도가 높다. 비용이 보통 삽입물에 비해 3배나 된다는 단점도 있다. 기공을 손으로 막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기관구 밸브가 개발되었는데 이 기구는 호기의 양에 민감히 반응하고 판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민감도가 크다. 먼 거리를 걷는 데 지장이 없고, 계단을 오를 때 폐색이 없는 정도가 적당하다.
(3) 전기장치(electronic device)
전기장치를 이용한 발성은 수술 직후 혹은 기관식도 천자 등 다른 방법을 이용한 발성이 잘 되지 않는 응급상황에서 비상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경경부 장치(transcervical device)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기장치이다. 작은 건전지로 작동하는 조음장치로 되어 있는데, 장치의 끝에 달린 진동판을 턱 밑 피부에 대고 혀, 입술, 구개, 치아 등을 이용하여 말한다. 음질이 기계적이고 억양이 단조로우며, 경부절제술이나 방사선치료로 경부 조직에 반흔이나 부종이 있으면 효과가 떨어진다.
경구 장치(transoral device)는 조직을 통하여 소리가 전달되는 단점을 피하고자 만든 것이다. 진동자와 소리를 발생하는 변환기, 입 속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얇은 관으로 구성된다. 타액으로 관이 막히거나 관의 재질이 부서지기 쉽다는 점,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과 눈을 잘 쓸 수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교묘히 의치에 장착한 것과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것이 있으나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Ⅳ. Reference
1. An Atlas of Head & Neck Surgery, BARI M LOGAN, 2008
2.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9, 일조각
3. 수술실환자간호, 윤혜상, 2004, 청구문화사
4. 성인간호학Ⅳ, 서문자 외, 2004, 수문사
5. 인체해부학, 신문균 외, 1998, 현문사
6. 제 4판 성인간호학, 전시자외, 2005, 현문사
  • 가격3,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4.10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