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관련 및 충동조절 장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질관련 및 충동조절 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물질 관련 장애
1. 물질사용장애
2. 물질로 유발된 장애
3. 암페타민 관련 장애
4. 대마계 제제 관련 장애
5. 코카인 관련 장애
6. 환각제 관련 장애
7. 흡입제 관련 장애
8. 아편류 관련 장애
9. 펜사인클리딘 관련 장애
10.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관련 장애
11. 복합물질 관련 장애
12. 기타 또는 알려져 있지 않은 물질 관련 장애

Ⅱ. 충동 조절 장애
1. 간헐적인 폭발성 장애
2. 병적 도벽
3. 병적 방화
4. 병적 도박
5. 발모광
6. 달리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 장애

Ⅲ. 대마초
1. 대마초의 사회적 문제
2. 대마초의 개념
3. 대마초의 증상
4. 대마초의 진단기준
5. 대마초의 치료방법
※ 실제 대마초 흡연자와의 인터뷰

Ⅳ. 도박중독
1. 도박중독의 사회적 문제
2. 도박중독의 개념
3. 도박중독의 증상
4. 도박중독의 진단기준
5. 도박중독의 치료방법

Ⅴ. 참고 자료
1. 참고 싸이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제가 생겨 발생하는 일종의 뇌질환이다. 도박은 신체에 치명적 영향은 없을지 모르나 자기가 행동을 스스로 절제할 수 없는 알코올이나 약물 중독, 요즘에 문제가 되고 있는 주식 중독, 사이버 중독, 쇼핑 중독과 유사한 중독 현상인 것이다. 의학용어로는 ‘병적 도박’, 또는 ‘도박광’으로 불리는 충동 조절 장애의 일종이다.
(2) 심리적 요인
① 강박감 : 도박중독은 강박적으로 도박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것은 돈에 대한 강박관념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 심리적인 면에서 시작될 수도 있다.
② 스릴감 : 도박중독자들은 대개 스릴을추구하는 성격이다. 뭔가 끝없이 새롭고 강렬한 자극을 필요로 한다.
<도박중독의 원인 도식화>
3. 도박중독의 증상
① 지속적으로 도박과 관련된 생각과 말을 합니다.
② 자신이 가용할 수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시간과 돈을 도박에 사용합니다.
③ 도박을 통제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거나 비합리적인 신념으로 도박을 합니다.
④ 도박을 하지 않을 때 상실감이나 공허감을 느낍니다.
⑤현재의 재정적인 문제나 상실한 돈을 도박을 통해서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⑥ 도박으로 대박을 맞으면 도박하는 것을 통제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⑦ 도박을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해서 범죄행위 혹은 물건을 팔거나 돈을 빌리는 행동을 합 니다.
⑧ 도박으로 인해서 다른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베팅 금액이 증가하고 빚이 증가합니 다.
⑨ 빈번히 돈을 다 잃을 때까지 도박을 합니다.
⑩ 동일한 흥분을 느끼기 위해서 더 많은 시간과 돈을 도박하는데 사용합니다.
⑪ 도박의 결과로 인해서 매우 극단적인 감정 변화를 경험 합니다.
⑫ 부정적인 감정, 분노, 불안 및 우울의 감정이나 개인적인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도 박을 합니다 .
⑬ 도박을 하는 동안 발생한 일 또는 도박으로 인해서 죄책감이 있습니다 .
⑭ 도박하는 것으로 인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비난을 듣습니다 .
⑮ 돈이나 도박으로 인해서 가족이나 친구와 논쟁을 합니다.
다른 사람과 도박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그것을 덮기 위하여 거짓말 을 합니다.
가족이나 부모에게 과거의 지각으로 인해서 빚과 관련된 부분을 숨깁니다.
도박을 하기 위해서 가족모임이나 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도박 때문에 가족이나 가정의 책임을 거부합니다.
도박 때문에 학교나 직장을 가지 않습니다.
도박으로 인해서 의식주 등의 기초생활과 관련된 부분이 문제가 생깁니다.
항상 휴일계획은 도박을 할 수 있는 곳으로 계획합니다.
도박을 하지 않으면 불안해합니다.
4. 도박중독 진단기준
도박중독의 진단 기준
1.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비적응적인 도박행동
1) 도박에 집착한다(예; 과거의 도박경험을 되새기고, 다음 모험의 승산을 따져보거나 계획하고, 도박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생각)
2) 바라는 흥분을 얻기 위해 액수를 늘리면서 도박을 하려는 욕구가 있다.
3) 도박을 조정하거나 줄이거나 중지하려는 노력의 반복적으로 실패된다.
4) 도박을 줄이거나 중지시키려고 시도할 때 안절부절못하거나 과민해진다.
5) 문제로부터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또는 불쾌한 기분을 덜기 위한 수단으로 도박을 한다(예; 무기력감, 죄책감, 불안감, 우울)
6) 도박으로 돈을 잃은 후 그것을 만회하기 위해 흔히 다음날 도박판에 다시 간다.
7) 도박에 관여된 정도를 숨기기 우해 가족, 치료자 또는 타인들에 거짓말을 한다.
8) 도박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위조지폐, 사기, 도둑질, 또는 착복 같은 불법행위를 저지른다.
9) 도박으로 인해 중요한 관계가 위태로워지거나 직업적, 또는 교육적 기회나 출세의 기회를 상실한다.
10) 도박으로 야기된 절망적인 경제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돈 조달을 남에게 의존한다.
2. 도박행동이 조증 삽화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5. 도박중독 치료방법
도박중독은 치료가 안된다거나 불치의 병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 동안 도박중독은 정신질환으로서의 대접을 제대로 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의학의 발달로 원인이 속속 밝혀지고 있고 많은 치료법이 개발되어 도박치료에 큰 발전이 있었다. 특히 약물치료 부분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부 항우울제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알코올 중독에 쓰이는 일부 약물이 도박에 대한 욕구와 갈망을 현저히 줄여준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중독자들의 잘못된 믿음과 행동을 교정해 주는 인지행동치료도 큰 도움이 된다. 도박은 일종의 확률인데 도박꾼들은 이 확률에 대해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다. 어제 잃었으니 오늘은 딸 것이라고 확신하고 따고 나면 다음 날은 어제 땄으니 오늘도 딸 것이라고 다른 계산법을 적용시킨다. 이들의 머리 속에는 과거 크게 딴 경험만 들어있는 경우가 많고 그 기분을 잊지 못한다. 중독자들 스스로 자신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하게 하고 도박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나 행동을 바로 잡아주는 인지행동치료가 약물치료와 함께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집단으로 시행할 경우 큰 도움이 되는데 강북삼성병원 도박중독 클리닉에서는 현재 주 1회씩 8주간의 집단치료를 실시하여 효과를 보고 있다.
치료동영상
http://www.hidoc.co.kr/MedicalTV/Player.aspx?srno=1168&Moduleid=318
Ⅴ. 참고 자료
1. 참고 싸이트
▶ 마약류종합정보홈페이지 (http://antidrug.kfda.go.kr)
▶ 한국 마약퇴치 운동본부 (http://drugfree.or.kr)
▶ 네이버 블로그 http://cafe.naver.com/antproperty/3327
▶ 네이버 백과사전>대마초>대마초의 개념
▶ 중독예방치유센터 http://www.high1.com/Hhome/main.high1
▶ 강원랜드중독관리센터
(http://klacc.high1.com/counsellingCases/board-view.high1?bid=48094)
2. 참고 문헌
▶ 유수현 외, 『정신건강론』, 양서원, 2010
▶ 김청송 저, 『정신장애 사례연구-DSM-Ⅳ를 중심으로』, 학지사, 2011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3.04.1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