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집단역학 [집단응집력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 집단역학 [집단응집력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집단의 정의

Ⅱ. 집단이 되는 과정


Ⅲ. 집단의 구조
1. 집단역할
2. 집단규범


Ⅳ. 개인과 집단의 수행력
1. 스타이너(Steiner)이론
2. 링글만 효과
3. 사회적 태만 극복


Ⅴ. 집단의 응집력
1. 응집력의 정의
2. 응집력의 결정요인과 결과
3. 응집력의 차원
4. 스포츠 종목과 응집력
5.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VI. 결론

본문내용

록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집단적 성과
팀의 수행 뿐만 아니라 노력투입이나 결석과 같은 요인이 포함된다. 응집력이 높 으면 집단의 목표달성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하게 된다. 또한 응집력이 높 은 스포츠나 운동 집단에서 결석률과 중도 포기 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성과
팀의 응집력은 팀 구성원 개개인의 심리상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분야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많이 않지만 팀 응집력과 개인의 심리상태와의 관계는 상당히 분명 하다. 즉 팀의 응집력이 높을수록 팀과 시합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3. 응집력의 차원
응집력은 과제응집력과 사회응집력으로 구분된다. 과제 응집력은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협동하는 정도를 말하며, 사회 응집력은 팀 성원들이 서로 좋아하고 같이 어울리려는 정도를 말한다.
예를 들면 과제 응집력은 일이 좋아서 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고 사회응집력은 사람이 좋아서 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응집력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 <참고자료2>를 보면 개인요인, 환경요인, 리더쉽 요인, 팀요인이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응집력을 나타내고 결과적으로 집단적 성과와 개인적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응집력의 개념모형 <참고자료 2>
4. 스포츠 종목과 응집력
스포츠종목은 구성원의 상호작용 EH는 상호의존 정도에 따라 공행종목과 상호작용종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행종목은 팀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이나 협동이 거의 요구되지 않는 볼링, 수영, 골프 등을 말한다. 이들 종목에서 선수들은 다른 선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플레이를 한다. 반면 농구, 축구와 같은 상호작용 종목의 경우 팀이 일치, 단결하고 서로 협력하고 역할을 잘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상호작용 종목의 팀의 경우 상호의존도가 매우 높다. 아래의 <참고자료3>은 종목에 따른 팀 응집력의 상호의존도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농구처럼 시합 중에 선수들 사이에 공격과 수비의 전략을 시시각각 조정해야 하는 종목에서 팀 응집력은 팀 성공의 중요한 요인이다.
팀 응집력과 수행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는 농구, 하키, 배구등과 같은 상호작용 종목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반면에 볼링, 사격과 같은 공행종목에서는 응집력과 수행사이에 아무 관계가 없거나 아니면 부정적인 관계가 발견된다.
<참고자료3>
5.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응집력은 수행뿐만 아니라 여러 심리적 요인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팀의 응집력은 개인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만족도란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평가이다. 반면 응집력은 집단에 관한 평가이다.
둘째, 응집력이 높은 팀은 동조와 응종수준이 높다. 동조란 주위 사람들이 하는 것을 자발적으로 따라하는 행위를 말한다. 응종이란 외부 압력이나 명령에 복종하는 행동을 일컫는다. 응집력이 높은 집단에 소속한 개인은 집단의 규범에 따라야 한다는 압력을 많이 받게 된다. 응집력이 낮으면 이러한 압력도 낮게 된다
셋째, 팀의 안정성이 높을수록 응집력이 강하다. 안정성이란 구성원의 변동 정도로 집단 구성원이 얼마나 오래 함께 지냈는가를 의미한다. 상당기간 동안 팀 구성원의 변동이 없으면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팀의 구성원이 오랫동안 함께 지낼수록 팀의 응집력이 높아지게 되며, 응집력이 높은 팀일수록 팀에서 이탈하려는 경향이 낮아진다.
넷째, 응집력은 역할 수용 및 역할 명료성과 관계가 있다. 역할 수용은 집단에서 개인이 맡은 역할에 대해 스스로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역하라 명료성은 자신의 책임에 대한 이해 정도를 말한다. 응집력이 높으면 팀 구성원들은 자신의 역할을 잘 이해하고 만족한다.
VI. 결론
개인이 집단에 속하고자 하는 모든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집단응집력은 팀 내의 상호작용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 집단에 연결시키는 유대의 강도나 구성원이 집단 자체에 대해 느끼는 매력과 집단의 목표 수행을 위해 서로 협응 한다는 것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집단의 특성과 집단응집력을 이해하고 집단 내의 역할과 구성, 그리고 응집력을 키워 낼 수 있는 코치의 능력 또한 중요하다.
집단과 집단응집력의 중요성을 월드컵 같은 큰 경기에서 우리 프로축구 선수들의 활약을 보면서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다. 집단 응집력이 강할수록 효율적인 수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지만 집단 응집력 외에도 각 상황마다 주어지는 여러 요건들로 인해 반대의 상황도 존재한다. 따라서 긍적적인 결과를 도출 하려면 개인의 역할 수행능력과 집단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것은 물론이고 이 외에 여러 가지 요건들도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운동행동과) 스포츠 심리학 / 이강헌 / 대한미디어 / 2005
스포츠 심리학 = Sport psychology / 최만식 / 무지개사 / 2004
스포츠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 Roberts, Glyn C / 대한미디어 / 2001 미리보기
분관 서울중앙도서관[796.01 R644ㅅ ]국제C 중앙도서관[796.01 R644l K ] 관련정보 :
-스포츠와 집단주의-
http://blog.naver.com/kharde?Redirect=Log&logNo=120025662595
-응집력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18410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1974052
-응집력 다른관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1992565
http://blog.naver.com/1715nij?Redirect=Log&logNo=90102090159
-동영상-
http://blog.naver.com/djdj011?Redirect=Log&logNo=30024999667&jumpingVid=973A8C0CB8F0D5CB2181D0D35E98EA296CC1
무서운삼성의 응집력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4.22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