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통신언어의 실태] 통신언어의 실태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통신언어의 실태] 통신언어의 실태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신언어의 종류
1) 통신언어의 대표적인 특징
2) 통신언어의 어휘상의 특징
2. 통신언어의 해결방안
1) 통신언어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에 나타나지 않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학교의 대처방법으로는 학교 홈페이지에 표준어법의 언어를 사용토록 권장하는 것 이외에 통신 언어와 표준어법을 비교하는 학습지도가 있어야 하겠다. 이와 더불어 표준어와 맞춤법의 교육이 확실히 이루어져한다. 내가 이 레포트를 쓰면서 가장 많이 참고한 책들의 저자인, 대구대의 이정복 교수는 통신언어 사용 결과로 나타나는 어문규범의 파괴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국어문법 교육의 강화, 국어교육 시간에 통신언어 교육, 교사들의 통신언어에 대한 이해 및 지도 등의 교육적 해결 노력과 이용자 실명제 확대, 익명대화방 축소, 언어 폭력자에 대한 제재 등 통신망 내에서의 해결 노력, 그리고 바른 언어 사용을 위한 가정, 사회 등의 각별한 관심과 운동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Ⅲ. 결론
현재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통신 언어를 막기 위해서 ‘인터넷 실명제 실시’ 와 ‘셧 다운 제도’가 실행되고, 바른 언어 사용을 위해 통신 공간에서 우리말 사용하기 분위기를 꾸준히 조성하며 가정, 사회 등에서 교육을 하고 있긴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통신 언어를 자제하고 언어를 순화하자는 자발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시행되고 있는 욕설 차단 프로그램과 같은 기술적 대응과 함께 표준어와 맞춤법의 교육이 확실히 이루어져야 한다.
통신 언어의 문화는 이미 청소년들 사이에서 '바이러스 번지듯' 급속도로 퍼져가고 있는 문화현상이며 이미 우리 문화 속 깊이 자리 잡았다. 이런 현상을 한 번에 뿌리 뽑는 건 어려운 일이다. 좀 더 시간적인 여유를 갖고 인터넷, 휴대폰, 채팅 즉, 통신상의 언어 순화를 실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맞춤법을 무시해 표기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일부터 시작해서, 우리말 사용하기 운동에 이르기까지 통신 공간에 확산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래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측면을 살려 부정적인 문제점을 최소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대안의 모색과 방법 제시, 보급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통신 언어문화도 점차적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이정복(2003),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월인.
이정복(2006), 『인터넷 통신 언어와 청소년 언어문화』한국 문화사.
이정복(2009), 『인터넷 통신 언어의 확산과 한국어 연구의 확대』소통.
박금자(2010), 『언어예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홍윤선(2000), 『클릭 네티켓』중앙M&B.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23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