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금은 고대문명의 발상지이자 수천년의 역사가 장대하게 펼쳐져 온,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중국이라는 사실이 새삼 새롭게 다가온다. 비록 레포트 과제가 아니라면 보지 못했을법한 삼국지를 읽는 재미도 연애소설 못지않게 흥미로웠다. 삼국지는 삼국시대의 사회 정치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들 내부의 갈등과 대립, 투쟁에 중점을 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소설이다. 사실 아직까지 학생신분이라는 핑계로 현 사회나 정치에 대한 체감 정도가 미약하므로 , 실권을 둘러싼 그들의 다툼과 싸움이 나에게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비춰지기도 했다. 예나 지금이나 관료들의 권력의 횡포는 나라와 시대를 막론하고 존재했음이 절실히 느껴졌다. 그렇다고 부패하고 불안한 시기만 있었던 것은 물론 아니다. 이런 현 시대적 모순과 사회적 병폐를 역사로부터 배우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삼국지를 통해 삼국시대 전체를 알지 못하지만 그 당시 시대적 흐름과 사건을 재미있게 정리할 수 있는 책이 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
나관중, 정비석 역, 『 三國志 』, 은행나무, 2004
사마광, 신동준 역, 『자치통감 삼국지』, 살림, 2004
김운회, 『삼국지 바로 읽기』, 삼인, 2004
참고문헌
나관중, 정비석 역, 『 三國志 』, 은행나무, 2004
사마광, 신동준 역, 『자치통감 삼국지』, 살림, 2004
김운회, 『삼국지 바로 읽기』, 삼인,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