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덕성 발달이론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1)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세 수준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여섯 단계
3. 나의 도덕성
1) 나의 도덕성
2) 나의 도덕성 성향 사례
사례 1
사례 2
사례 3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도덕성 발달이론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1)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세 수준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여섯 단계
3. 나의 도덕성
1) 나의 도덕성
2) 나의 도덕성 성향 사례
사례 1
사례 2
사례 3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그 사실을 말한다면, 나는 친구들을 속인 사람으로 찍혀서 남은 학교생활이 힘들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나는 자신의 잘못에 대한 누명을 쓰고 비난도 받고 있는 @@를 그냥 둘 수가 없어서 친구들에게 사실을 고백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나의 도덕성에 대하여 서술해 보았다. 도덕적 판단력이란 가능한 행동들 중에서 가장 도덕적인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개인이 선택 사항들을 고려하여 사람들이 그러한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도덕적 판단력은 도덕적 추론 능력으로 대체되어지곤 한다. 도덕적 추론은 한마디로 ‘도덕적 이유 달기’라고 할 수 있는데, 도덕적 추론 능력은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근거 혹은 이유를 제시하는 능력인 것이다. 발달론자의 입장에서 보면, 도덕적 판단력 혹은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은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 단계로의 이행을 전제로 삼고 있다. 또한 도덕적 판단력의 차이를 인정한다면 이러한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도덕적 판단력 측정에 대한 연구의 노력이 지난 40~50년에 걸쳐 이루어져 왔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연구는 거의 없다. 또한 국내에서는 도덕성 발달 측정에 대한 연구 자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외국의 연구물을 번안해 사용해온 실정이다. 도덕적 판단력 검사도구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부족하며, 검사도구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소개된 도덕적 판단력 검사는 Kohlberg의 MJI, Lind의 MJT, Canada Ontario연구소의 OISE, Rest의 DIT 등이 있으나 이 검사도구들의 특징, 검사방법, 장점과 약점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실행되어 오고 있는 도덕적 판단력 검사와 관련되는 선행연구는 주로 석사논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표집이 제한적이다. 공인된 국가 기관 혹은 학회 차원에서 전국 단위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도덕적 판단력 검사가 정기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도덕적 판단력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한국 청소년들의 도덕성 발달 지수에 대한 규준(norm)을 확보하는 일이 요구된다. 2~3년 주기의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한국 청소년들의 도덕적 판단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학교 도덕교육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서술형 검사와 선택형 검사가 가지는 장점들을 결합한 도덕적 판단력 검사도구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기존에 개발된 검사도구의 장점과 약점을 철저히 비교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거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6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9
김용주, 도덕성 발달과 신앙 발달과의 상관관계 연구, 백석대학교, 2010
추병완, 도덕교육의 이해, 도서출판 백의, 1999
이정렬,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한 도덕적 정체성의 역할과 도덕교육적 함의, 서울대학교대학, 2009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나의 도덕성에 대하여 서술해 보았다. 도덕적 판단력이란 가능한 행동들 중에서 가장 도덕적인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개인이 선택 사항들을 고려하여 사람들이 그러한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도덕적 판단력은 도덕적 추론 능력으로 대체되어지곤 한다. 도덕적 추론은 한마디로 ‘도덕적 이유 달기’라고 할 수 있는데, 도덕적 추론 능력은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근거 혹은 이유를 제시하는 능력인 것이다. 발달론자의 입장에서 보면, 도덕적 판단력 혹은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은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 단계로의 이행을 전제로 삼고 있다. 또한 도덕적 판단력의 차이를 인정한다면 이러한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도덕적 판단력 측정에 대한 연구의 노력이 지난 40~50년에 걸쳐 이루어져 왔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연구는 거의 없다. 또한 국내에서는 도덕성 발달 측정에 대한 연구 자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외국의 연구물을 번안해 사용해온 실정이다. 도덕적 판단력 검사도구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부족하며, 검사도구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소개된 도덕적 판단력 검사는 Kohlberg의 MJI, Lind의 MJT, Canada Ontario연구소의 OISE, Rest의 DIT 등이 있으나 이 검사도구들의 특징, 검사방법, 장점과 약점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실행되어 오고 있는 도덕적 판단력 검사와 관련되는 선행연구는 주로 석사논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표집이 제한적이다. 공인된 국가 기관 혹은 학회 차원에서 전국 단위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도덕적 판단력 검사가 정기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도덕적 판단력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한국 청소년들의 도덕성 발달 지수에 대한 규준(norm)을 확보하는 일이 요구된다. 2~3년 주기의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한국 청소년들의 도덕적 판단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학교 도덕교육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서술형 검사와 선택형 검사가 가지는 장점들을 결합한 도덕적 판단력 검사도구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기존에 개발된 검사도구의 장점과 약점을 철저히 비교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거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6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9
김용주, 도덕성 발달과 신앙 발달과의 상관관계 연구, 백석대학교, 2010
추병완, 도덕교육의 이해, 도서출판 백의, 1999
이정렬,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한 도덕적 정체성의 역할과 도덕교육적 함의, 서울대학교대학, 2009
키워드
추천자료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이론과 핵심과 비판 및 그 응답)
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성 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사회학습이론,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의 일반적 특징과는 다른 도덕성 발달이론의 독특한 성격을 제시하고, Kohlberg...
1.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2. 콜버그의 도...
[에릭슨 성격발달이론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에릭슨(Erikson) 성격발달이론과 콜버그(Kohl...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성 발달이론이란,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 이론에 ...
세월호의 선장과 선원들에 대한 비판.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근거한 그들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지행동이론의 이해 -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아동발달 이론 중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언어발달이론을 정리하고, 도덕적인 행동을 촉...
길리건(Gilligan)의 도덕성 발달이론 [교육심리학] {길리건의 이론, 자기이익 지향 단계, 타...
성인발달의 주요 이론,심리성적 발달이론,자아발달이론,발달과업이론,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성 발달이론] 유아기 도덕성 발달(도덕성 발달의 정신분석이론, 인지발달이론, 학습이론)
심리학개론)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