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ⅰ.A의 도덕성 단계
ⅱ.B의 도덕성 단계
ⅲ.C의 도덕성 단계
Ⅲ.결론
참고문헌
Ⅱ.본론
ⅰ.A의 도덕성 단계
ⅱ.B의 도덕성 단계
ⅲ.C의 도덕성 단계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고 여겼다.
전인습수준이기 때문에 아직 어떤 것이 올바른지,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해 미숙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에는 인지적으로 발달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7세 아동에게 당연하 결과이다.
B도 A와 같이 반대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는 29세 연령으로 A와 다른 이유로 답변하였다. 약사가 큰 액수의 돈을 약값으로 요구한 것은 잘못이나, 법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인즈는 다른 사람의 재산을 훔칠 수 있는 권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법에 의해 보장된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그러지 않을 시에는 사회의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 답변에서 B는 A와 달리 인습수준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인습수준에서는 즉시적이고 눈에 드러난 결과와는 상관없이 가족, 집단, 국가의 기대를 지켜가는 것이 값어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적 기대와 사회질서에의 동조일 뿐만 아니라 그 기대와 질서에의 충성을 적극적으로 지키고 지지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느낀다. 그래서 이를 함께하는 사람들을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C가 있다. 그는 60세로 셋 중에서 가장 고령에 속한다. 그는 앞의 둘과 달리 하인즈의 행동에 찬성하고 동조하였다. 그 이유는 은 다른 사람의 재산을 뺏고 있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하인즈와 같은 상황에서는 고려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법은 인간을 보호하지 못하는, 제 능력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하인즈의 행동은 비난받을 수 없다고 제시한다. 즉, 생명의 가치는 개인 재산의 가치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는 그가 후인습수준임을 드러내는 답변이다. 이 수준에서는 사회와 자아가 위탁해야 할 원칙들과 관련하여 사고한다. 이 원리적 사고는 법과 규칙의 정당화를 위한 관심뿐만 아니라 모든 법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원리를 탐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콜버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도덕성은 입법적 조망으로서의 5단계를 지나 완전한 통합이 이루어지는 6단계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남궁달화,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6, p.330.
콜버그에게서 유일하게 참된 도덕 원리는 6단계이다. 6단계의 도덕성은 선의지 외에 무조건 선한 것은 없다고 한 칸트의 윤리론과 롤즈의 정의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너는 그러한 도덕적 행위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므로 너는 할 수 있다”(Du Kannst, denn Du sollst)라는 칸트의 논리는 “너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인격에 있어서의 인간성을 항상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고, 결코 단순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말라”는 실천이성의 근본법칙에 통하여 있다. 김은영, 위의 논문, p.23.
또 롤즈에 의하면 사회를 위한 합리적 원리는 공정성으로서의 ‘숙고된 판단’ 혹은 ‘반성적 평형’ 관념에 해당된다. L.kohlberg, Moral development and the new Social Studies, (Social Education, May, 1973), p.369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단계6에 해당하는 사람은 극히 적기 때문에 원리적 도덕성을 경험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변창진송명자편저, 인지발달론적 교육심리, 서울: 교육과학사, 1995, pp.275-276.
콜버그는 이러한 각 단계들에서의 도덕 판단을 역할 기대의 과정으로 파악하고, 각 단계는 보다 높은 단계로 갈수록 보다 더 도덕적으로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단계들에는 정의-구조가 있으며, 각 단계들은 그 앞에 오는 단계보다 더 포괄적이고 분화적이고 평형적이라고 규정하였다. 김진, 아펠과 철학의 변형,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8, p.297.
참고문헌
L. Kohlberg, 도덕발달의 철학, 김민남김봉소진미숙역. 서울: 교육과학사, 2000
L.kohlberg, Moral development and the new Social Studies, (Social Education, May, 1973)
김은영, 학위논문(석사)-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2007
김진, 아펠과 철학의 변형,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8
남궁달화,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6
남궁달화,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5
변창진송명자편저, 인지발달론적 교육심리, 서울: 교육과학사, 1995
조성민, 도덕적 추론과 도덕성의 함양, 한국철학회, 1992
전인습수준이기 때문에 아직 어떤 것이 올바른지,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해 미숙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에는 인지적으로 발달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7세 아동에게 당연하 결과이다.
B도 A와 같이 반대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는 29세 연령으로 A와 다른 이유로 답변하였다. 약사가 큰 액수의 돈을 약값으로 요구한 것은 잘못이나, 법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인즈는 다른 사람의 재산을 훔칠 수 있는 권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법에 의해 보장된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그러지 않을 시에는 사회의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 답변에서 B는 A와 달리 인습수준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인습수준에서는 즉시적이고 눈에 드러난 결과와는 상관없이 가족, 집단, 국가의 기대를 지켜가는 것이 값어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적 기대와 사회질서에의 동조일 뿐만 아니라 그 기대와 질서에의 충성을 적극적으로 지키고 지지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느낀다. 그래서 이를 함께하는 사람들을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C가 있다. 그는 60세로 셋 중에서 가장 고령에 속한다. 그는 앞의 둘과 달리 하인즈의 행동에 찬성하고 동조하였다. 그 이유는 은 다른 사람의 재산을 뺏고 있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하인즈와 같은 상황에서는 고려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법은 인간을 보호하지 못하는, 제 능력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하인즈의 행동은 비난받을 수 없다고 제시한다. 즉, 생명의 가치는 개인 재산의 가치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는 그가 후인습수준임을 드러내는 답변이다. 이 수준에서는 사회와 자아가 위탁해야 할 원칙들과 관련하여 사고한다. 이 원리적 사고는 법과 규칙의 정당화를 위한 관심뿐만 아니라 모든 법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원리를 탐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콜버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도덕성은 입법적 조망으로서의 5단계를 지나 완전한 통합이 이루어지는 6단계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남궁달화,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6, p.330.
콜버그에게서 유일하게 참된 도덕 원리는 6단계이다. 6단계의 도덕성은 선의지 외에 무조건 선한 것은 없다고 한 칸트의 윤리론과 롤즈의 정의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너는 그러한 도덕적 행위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므로 너는 할 수 있다”(Du Kannst, denn Du sollst)라는 칸트의 논리는 “너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인격에 있어서의 인간성을 항상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고, 결코 단순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말라”는 실천이성의 근본법칙에 통하여 있다. 김은영, 위의 논문, p.23.
또 롤즈에 의하면 사회를 위한 합리적 원리는 공정성으로서의 ‘숙고된 판단’ 혹은 ‘반성적 평형’ 관념에 해당된다. L.kohlberg, Moral development and the new Social Studies, (Social Education, May, 1973), p.369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단계6에 해당하는 사람은 극히 적기 때문에 원리적 도덕성을 경험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변창진송명자편저, 인지발달론적 교육심리, 서울: 교육과학사, 1995, pp.275-276.
콜버그는 이러한 각 단계들에서의 도덕 판단을 역할 기대의 과정으로 파악하고, 각 단계는 보다 높은 단계로 갈수록 보다 더 도덕적으로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단계들에는 정의-구조가 있으며, 각 단계들은 그 앞에 오는 단계보다 더 포괄적이고 분화적이고 평형적이라고 규정하였다. 김진, 아펠과 철학의 변형,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8, p.297.
참고문헌
L. Kohlberg, 도덕발달의 철학, 김민남김봉소진미숙역. 서울: 교육과학사, 2000
L.kohlberg, Moral development and the new Social Studies, (Social Education, May, 1973)
김은영, 학위논문(석사)-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2007
김진, 아펠과 철학의 변형,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8
남궁달화,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6
남궁달화,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5
변창진송명자편저, 인지발달론적 교육심리, 서울: 교육과학사, 1995
조성민, 도덕적 추론과 도덕성의 함양, 한국철학회, 1992
추천자료
유아교육학 개론 - 심리학적 기초와 사회적 기초
임상심리학 입문.린다A.헤이든 외 지음의 연습문제 2장 문제와 서술형 답문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특징, 원리, 단계, 내용, 시사점, 비판점, 교육적 적용) 콜버그 이전...
영유아교사론3A) 영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 및 관심사를 설명, 교사의 발달단계에 ...
Zeigarnik효과와 통찰 학습을 중심으로 하여 형태주의 학습원리를 서술. 피아제의 인지 발달 ...
심리학 용어 설명 (영어) A~W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 콜버그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영유아교사론3A]영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 및 관심사를 설명 & 교사의 발달단...
2016년 2학기 교육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네가지 강화계획)
2017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유아교육의 중요성, 교사의 역할)
[아동발달] 아동기 성장발달(아동발달단계, 아동발달이론, 아동기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
간호이론3A) 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구사...
2018년 2학기 교육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콜버그의 도덕성발달, 에릭슨의 성격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