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 시대적 상황, 도행지 생애
Ⅱ.본론 : 교육활동 및 교육사상
Ⅲ.결론 : 종합과 역사적 평가
Ⅱ.본론 : 교육활동 및 교육사상
Ⅲ.결론 : 종합과 역사적 평가
본문내용
그는 “민주교육은 사람들로 하여금 주인이 되도록 가르치는 것으로써 자기의 주인이 되고, 국가의 주인이 되며, 세계의 주인이 되게 하는 교육”이라고 하였다. 도행지는 1946년에 진정한 민주사회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대중들에 대한 민주교육뿐만 아니라 사회 영도계층들도 민주를 위한 재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한 재교육에는 일반 백성과 어린아이들이 좋은 교사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전자의 뜻은 인민을 위해 봉사하기 위하여서는 인민과 같이 호흡하며 그들의 문제와 바라는 바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며, 후자는 어릴 적부터 그들의 창조성을 존중하고 개발하여 사회에 공헌하고 봉사하도록 도와주어야 중국사회가 진정한 민주사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Ⅲ.결론
도행지에 대한 평가는 말할 것도 없이 그의 개인생활이 아닌 국민사회국가와 관련된 공적 생활에 기초한다. 그가 살았던 기간은 2천여년 지속된 전제군주제와 유교적 윤리 중심의 전통사회가 붕괴되고 주권재민(主權在民)과 사회적 평등을 중심가치로 하는 근대적 국가와 사회체제로 이행하는 역사적 전환기였다. 그의 생애 기간은 또한 해묵은 전통요소의 잔존으로 말미암은 정치사회적 격변과 혼란의 연속에다 일부 영토의 침탈에서 전면전으로 몰고 간 일제의 침략까지 겹쳐 일어났던 위중한 국난기였다. 따라서 그의 평생은 같은 시대 애국지사들의 경우처럼 구국을 첫째 사명으로 삼아 당시 시기별 상황변통에 따른 시대적 요청에 능동적으로 대응, 사회와 국가를 위한 공적 삶이 거의 전부였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의 공적 생애는 남경고등사범하교의 유명한 개혁적 대학교수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중학과 대학시절에 이미 민족주의운동과 민주혁명을 옹호하는 우국충정과 강한 독립적 사고의 경향을 보인 그는, 민국 초기 공화정의 파행과 군벌기의 정치사회적 혼란이 지속되자 사회적 명성과 안락한 생활이 보장된 교수직을 초개처럼 버리고, 1920년대 초반부터 평민교육운동과 향촌교육개혁운동에 투신하였다. 그 두 운동은 가난으로 교육받을 기회를 상실한 중국인 대다수의 하층국민(도시빈민과 농민)을 대상으로 중국 실정에 맞는 값싸고 실질적인 기초교육을 실시하여 종래 소수의 전유물이었던 교육의 대중화를 이룩하고, 대다수 민중의 지식 행상, 생활개선, 정치사회적 의식과 역량을 높여 민주정치와 근대사회 건설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구국적 사회운동이었다. 그런가 하면 1930년대 초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 ‘만주사변’에서 중일 전쟁 기간과 항전 승리 뒤 국공내전 직전에 이르는 기간에는 항일민족주의 교육과 진보적 민주주의 교육운동에 헌신하였다.
위의 여러 형태의 교육과 구국활동에 더하여 도행지가 대중교육과 애국활동에서 보인 애민 애국의 순수성과 선교사적 열정, 일관된 신념과 불굴의 의지, 그리고 중국실정에 적합한 창의적 이론의 창안과 실천은 그의 남다른 특별한 면이었다.
자신의 위치에서 순수하고 희생적인 애민애국의 사상과 활동으로 말미암아 도행지는 살아 있을 때부터 많은 사랑들의 존경과 주목을 받았다. 도행지가 1949년 7월 24일 상해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중국안의 각계 인사와 단체들은 물론 미국캐나다일본 등 세계 각처로부터 고인을 애도추도하는 전보와 글이 2천여 건 이상이나 쏟아져 들어왔다. 요컨대, 도행지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높은 평가는 온 생애를 통해 나타낸 그의 인민과 국가에 대한 순수한 사랑과 교육과 민주, 그리고 애국 운동 면에서 그가 이룬 업적의 결과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중국근대화를 이끈 걸출한 인물들』, 이병주, 지식산업사, 2006
논문: 陶行知(1891∼1946)의 '생활교육사상'과 영향, 김민지, 경북대학교, 1997
Ⅲ.결론
도행지에 대한 평가는 말할 것도 없이 그의 개인생활이 아닌 국민사회국가와 관련된 공적 생활에 기초한다. 그가 살았던 기간은 2천여년 지속된 전제군주제와 유교적 윤리 중심의 전통사회가 붕괴되고 주권재민(主權在民)과 사회적 평등을 중심가치로 하는 근대적 국가와 사회체제로 이행하는 역사적 전환기였다. 그의 생애 기간은 또한 해묵은 전통요소의 잔존으로 말미암은 정치사회적 격변과 혼란의 연속에다 일부 영토의 침탈에서 전면전으로 몰고 간 일제의 침략까지 겹쳐 일어났던 위중한 국난기였다. 따라서 그의 평생은 같은 시대 애국지사들의 경우처럼 구국을 첫째 사명으로 삼아 당시 시기별 상황변통에 따른 시대적 요청에 능동적으로 대응, 사회와 국가를 위한 공적 삶이 거의 전부였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의 공적 생애는 남경고등사범하교의 유명한 개혁적 대학교수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중학과 대학시절에 이미 민족주의운동과 민주혁명을 옹호하는 우국충정과 강한 독립적 사고의 경향을 보인 그는, 민국 초기 공화정의 파행과 군벌기의 정치사회적 혼란이 지속되자 사회적 명성과 안락한 생활이 보장된 교수직을 초개처럼 버리고, 1920년대 초반부터 평민교육운동과 향촌교육개혁운동에 투신하였다. 그 두 운동은 가난으로 교육받을 기회를 상실한 중국인 대다수의 하층국민(도시빈민과 농민)을 대상으로 중국 실정에 맞는 값싸고 실질적인 기초교육을 실시하여 종래 소수의 전유물이었던 교육의 대중화를 이룩하고, 대다수 민중의 지식 행상, 생활개선, 정치사회적 의식과 역량을 높여 민주정치와 근대사회 건설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구국적 사회운동이었다. 그런가 하면 1930년대 초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 ‘만주사변’에서 중일 전쟁 기간과 항전 승리 뒤 국공내전 직전에 이르는 기간에는 항일민족주의 교육과 진보적 민주주의 교육운동에 헌신하였다.
위의 여러 형태의 교육과 구국활동에 더하여 도행지가 대중교육과 애국활동에서 보인 애민 애국의 순수성과 선교사적 열정, 일관된 신념과 불굴의 의지, 그리고 중국실정에 적합한 창의적 이론의 창안과 실천은 그의 남다른 특별한 면이었다.
자신의 위치에서 순수하고 희생적인 애민애국의 사상과 활동으로 말미암아 도행지는 살아 있을 때부터 많은 사랑들의 존경과 주목을 받았다. 도행지가 1949년 7월 24일 상해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중국안의 각계 인사와 단체들은 물론 미국캐나다일본 등 세계 각처로부터 고인을 애도추도하는 전보와 글이 2천여 건 이상이나 쏟아져 들어왔다. 요컨대, 도행지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높은 평가는 온 생애를 통해 나타낸 그의 인민과 국가에 대한 순수한 사랑과 교육과 민주, 그리고 애국 운동 면에서 그가 이룬 업적의 결과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중국근대화를 이끈 걸출한 인물들』, 이병주, 지식산업사, 2006
논문: 陶行知(1891∼1946)의 '생활교육사상'과 영향, 김민지, 경북대학교, 1997
키워드
추천자료
행동 및 유아의 놀이활동 차이 : 유아교육
[유아안전교육]유아발달과 안전교육 고찰 및 유아안전교육의 정의, 유아안전교육의 중요성, ...
[통일체험학습]체험학습(현장체험학습)과 남북통일교육, 남북통일체험학습(현장체험학습)의 ...
[유아미술교육] 미술 감상교육의 중요성, 미술 감상 교육 내용 및 방법, 통합적 미술교육, 통...
개미를 주제로 프로젝트 접근법으로 교육목표, 기본생활습관, 안전 교육 및 영역별 활동 계획...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요리활동과 영양 및 건강 교육과 교사의 역할 (요리활동의 교수 원리,...
[보육과정] 뱅크스트리트 프로그램(Bank Street Program)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목적 및 목표,...
[아동건강교육] 영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내용을 계획(포함되어야 할 주요내용, 목적 및 교육...
A+자료 유아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목...
[다문화사회와 교육] 다문화의 배경과 다문화주의의 이론, 정책과 교육, 활동영역 및 해당 국...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프뢰벨(Friedrich Wilhelm August Frobe...
[동화교육] 통합 교과 활동과 동화교육 방법 - 통합 교과 활동의 필요성 및 통합 교과를 위한...
[보육교사]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의 개념 정리 및 생태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습자의 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