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모형과 점증모형에 대해 비교 설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에 대해 비교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에 대해 비교 설명하시오
1. 합리모형(Ration Model)
1) 합리모형의 개요
2) 합리모형의 선택논리
3) 합리모형의 특징
4) 합리모형의 시사점
2. 점증모형(Incrementalism)
1) 점증모형의 개요
2) 점증모형의 선택논리
3) 점증모형의 특성
4) 점증모형의 시사점
3. 점증모형과 합리모형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장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점증모형은 제한적, 실제적, 수용가능한 정책결정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3. 점증모형과 합리모형의 비교
이상과 같이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Lindblom은 점증모형을 합리모형과 대비하여 그 성격을 명백히 하고 있는데 이는 다음 표와 같다.
합리모형
점증모형
1. 가치나 목표는 정책대안의 경험적 분석과 구별되며, 그것은 선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가치목표의 선택과 필요한 행위의 실증적 분석은 명백하게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2. 그러므로 정책형성은 목표, 수단분석에 접근한다. 즉 목표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모색된다.
2. 수단과 목표는 구별되지 않으므로 목표, 수단분석은 부적합하거나 제한된다.
3. 좋은 정책의 평가는 바라는 목적에 가장 잘 부합되는 정책이다.
3. 좋은 정책의 평가는 여러 정책 분석가들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진 정책이다.
4.분석은 종합적이며, 모든 관련요소들이 고려된다.
4.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진다.
1)중요한 가능한 결과는 무시된다.
2)중요한 정책대안은 고려에서 무시된다.
3)중대한 가치에 대한 고려도 무시된다.
5. 이론에 강하게 의존한다.
5. 계속적인 비굘르 통해 결정이 이루어져 이론에 의존하는 성향이 약하다.
참고문헌
김형렬(1990), 정책학, 법문사
한국복지행정학회(2008).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정정길(1999).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유병복(2001). 정책학 이해. 웅보출판사
안해균(2002). 정책학원론. 다산출판사.
김병진(2002). 정책학 개론. 박영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5.01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