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급성중이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se study 급성중이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1

Ⅱ. 본 론 ················· 1

1. 정의 및 원인 ··················· 1~3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achanism ··········· 3~4
3. 진단방법 ·························4
4. 증상 ···························4
5. 치료와 간호 ····················· 5~6
6. 예후 ···························· 6

Ⅲ. 간 호 과 정 ················ 6~17
간호력
진단검사
투여약물
간호과정

Ⅴ. 결론 ················· 18

※ 참 고 문 헌 ························· 18

본문내용

일 4회까지, 본제는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흡입 투여
12세 이하 소아 : 2.5mg
금기
본제 과민증자, 비후성 심근병증
9. comy syr-항히스타민제, 비충혈제거제 [PO]
Phenylephrine, combinations
효능효과
감기 또는 알레르기성 및 혈관운동성 비염에 의한 재채기, 콧물, 코막힘, 눈물의 완화, 부비동염에 의한 비충혈의 일시적 완화
용법/용량
만 12세 이상 : 4시간마다 10mL씩 복용
만 6~12세 : 4시간마다 5mL씩 복용
금기
아민계 교감신경항진제, 항히스타민제에 과민증자
소화성 궤양, 천식, 폐기종, 호흡곤란이 있는자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
“몸이 뜨거워요”
“식은땀이 흘러요”(보호자)
객관적 자료
얼굴에 홍조를 띈다.
체온이 38℃이상으로 측정된다.
간호목표
▷ 장기 목표 : 아동이 정상체온 범위를 유지한다.
▷ 단기 목표 : 체온이 37℃이하로 떨어지고 얼굴에 홍조가 사라진다.
간호계획
1) 체온 1시간 마다 측정
2) 병실 문을 되도록 열어준다.
3) 물을 자주 먹일 것을 설명한다.
4) 38℃이상일 경우 선생님께 알려 해열제를 먹이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1) 체온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반응을 세심히 관찰하여 빠른 대처를 하기 위함
2) 병실 안의 환기를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병실 내 환경을 시원하게 만들어 체온을 떨어뜨리는데 일조한다.
3) 열로 인해 식은땀이 흘러 갈증을 느끼므로 물을 자주 먹이도록 한다.
4) 38℃이상일 경우 모든 신진대사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은 체온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부족하므로 선생님께 알려 최대한 빨리 열을 떨어뜨리도록 한다.
간호수행
1) 간호사 선생님께서 5PM부터 10PM까지 1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셨다.
38.2-37.9-37.7-37.5-37.0-36.8
2) 보호자분께 병실 문을 열어놓을 것을 권했다.
3) 보호자분께 환아에게 물을 자주 먹이라고 말씀드렸다.
4) 38℃이상일 경우 선생님께 말씀드리
고 해열제(Brufen)를 먹였다.
간호평가
ㆍ체온이 36.3℃~36.8℃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했다.
ㆍ더 이상 얼굴에 홍조를 띄지 않았다.
간호진단
#2. 기침과 관련된 구강 점막 변화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
“아침에 일어나면 목이 답답하고 목이 말라요”
“밤새 기침을 많이 해요”
“입술이 바짝 말라요”(보호자)
객관적 자료
ㆍ입술이 말라 있다.
ㆍ구강이 건조해 보인다.
ㆍ입안에서 구취가 난다.
간호목표
▷ 장기 목표 : 보호자와 아동이 구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 단기 목표 : 목과 입술이 마르지 않는다.
간호계획
1) 입술이 트지 않도록 바세린을 발라준다.
2) 물을 자주 먹일 것을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3) 구강점막의 건조 여부를 사정하여 선생님께 보고한다.
4) 구강청결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1) 입술이 트면 터져서 상처가 날 수 있으므로 촉촉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바세린 발라줌.
2) 물을 자주 먹어 구강의 건조함을 막는다.
3) 구강변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4) 구강이 건조하면서 악취가 나기 쉬우므로 청결히 유지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1) 입술이 트지 않도록 바세린을 발라줬다.
2) 금기가 아니라면 물을 자주 먹일 것을 보호자에게 설명했다.
3) 구강점막의 건조 여부를 사정하여 선생님께 보고했다.
4) 구강청결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ㆍ입술이 마르지 않고 분홍빛을 띠며 습하다.
ㆍ환아 스스로 구강 관리를 한다.
간호진단
#3. 환경의 변화와 관련된 안위변화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
“집에 가고 싶어요”
“심심해요”
“답답해요”
객관적 자료
ㆍ병실에 자주 없으며 병동을 돌아다닌다.
ㆍ평소에 낮잠을 자는데, 입원 후 낮잠을 자지 않는다.
간호목표
▷ 장기 목표 : 아동이 변화된 환경에 잘 적응한다.
▷ 단기 목표 : 아동과 Rapport를 형성하여 친해지도록 한다.
간호계획
1) 쉬는 시간에 아동과 이야기 하고 놀아준다.
2) 병동 내 또래의 친구들을 소개시켜 준다.
이론적 근거
1) 수용적인 모습을 보이게 한다.
2) 또래 친구를 사귐으로서 환경을 친숙하게 한다.
간호수행
1) 쉬는 시간에 아동과 이야기 하고 놀아 주었다.
2) 병동 내 또래의 친구들을 소개시켜 주었다.
간호평가
ㆍ아동이 또래의 친구들과 잘 어울려 논다.
ㆍ무엇을 물어보면 낯설어 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반응한다.
Ⅴ. 결론
그동안의 실습은 주로 대상자가 성인이었기 때문에 이번 아동 실습은 배울점이 많았고 공부해야 할 점도 많았다. 성인과 아동 간호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점이 있었고, 물론 질환 또한 특수 했다.
아동 실습을 하면서 몸이 지치고 힘들어도 늘 웃었던 것 같다. 어린 아이들을 보면서 몸은 지치고 힘들어도 늘 웃음이 나왔고 다들 너무나 귀엽고 사랑스러워서 실습하는 내내 즐거웠다. 보통 입원한 환아들은 부모님이 맞벌이로 인해 할머님이 간호하고 계시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 아이들은 답답해하고 심심함이 더 심했다. 그래서 우리들이 이야기를 걸면 대답도 너무 잘해주고 잘 따라주었다.
또, 이번 아동 실습을 하면서 노력했던 점은 이름을 외우는 것이었다. 보통 아이들이 병실에 자주 없어서 찾으러 다닐 때가 많았다. 그래서 항상 입원하는 아이들의 얼굴, 이름을 외우느라 정신이 없었던 것 같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간호해주시는 보호자분의 얼굴도 익혀야 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힘들었는데 이제는 익숙해 졌다. 그리고 보통 퇴원을 했던 아동이 다시 입원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간혹 우리들의 얼굴을 알아보고 인사하는 경우도 있었다. 소아과 병동이어서 그런지 환자와 간호사라는 딱딱한 관계보다는 가족적인 분위기여서 실습함에 있어서 편하고 즐거웠다.
※ 참 고 문 헌
1. 최신아동간호학Ⅱ, 홍경자 외, 2009년, 수문사
2. 아동간호학 下, 홍경자 외, 1993년, 수문사
3. 아동간호학, 조윤득 김미영, 2007년, 공동체
4. http://www.sscheil.co.kr/ 삼성 제일 청소년과 의원
5. http://www.google.co.kr/ 구글 Image 참고
6. 킴스온라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5.03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3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