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임!)
<6. 유교의 중용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중도를 취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때와 장소에 따라 상대적인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유교의 중용
행위론적
행위론적, 인성론적, 우주론적
-차이점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은 공자의 중의 개념과는 무관하지만 화의 개념에 가까움.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은 인간의 기질적 특징이 작용할 때 과다하거나 부족하지 않는 상태, 즉 실천적 행위가 덕성을 가지게 하는 조건을 말함.
-유교의 중용은 인성론적, 행위론적 수준만의 개념이 아니라 우주론적 개념이기도 하다. 유가사상은 치우치지 않으며 지나치지 않고 모든 일에 있어서 전체의 한가운데를 찾고자 함.
(유교에서 중용의 원리는 크게 보면 온 우주에 가득 차 있고, 작게 보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어떤 물건 속에서도 그것이 숨겨져 있는 것이다. 중용은 세상의 기본이 되는 한 가지 원리로부터 시작해서 나중엔 세상의 모든 현상을 한 가지 원리로 귀납시키고 있다.
=>따라서 가장 쉬운듯 하면서도 상당한 덕의 수양 없이는 그 근처에도 가기 힘든 어려운 것. =>이것에 따라 움직여지는 게 유가들의 이상사회인 대동사회.)
<6. 유교의 중용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중도를 취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때와 장소에 따라 상대적인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유교의 중용
행위론적
행위론적, 인성론적, 우주론적
-차이점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은 공자의 중의 개념과는 무관하지만 화의 개념에 가까움.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은 인간의 기질적 특징이 작용할 때 과다하거나 부족하지 않는 상태, 즉 실천적 행위가 덕성을 가지게 하는 조건을 말함.
-유교의 중용은 인성론적, 행위론적 수준만의 개념이 아니라 우주론적 개념이기도 하다. 유가사상은 치우치지 않으며 지나치지 않고 모든 일에 있어서 전체의 한가운데를 찾고자 함.
(유교에서 중용의 원리는 크게 보면 온 우주에 가득 차 있고, 작게 보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어떤 물건 속에서도 그것이 숨겨져 있는 것이다. 중용은 세상의 기본이 되는 한 가지 원리로부터 시작해서 나중엔 세상의 모든 현상을 한 가지 원리로 귀납시키고 있다.
=>따라서 가장 쉬운듯 하면서도 상당한 덕의 수양 없이는 그 근처에도 가기 힘든 어려운 것. =>이것에 따라 움직여지는 게 유가들의 이상사회인 대동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