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선 대표 교육 기관 성균관
1. 들어가며
2. 성균관 부속시설
3. 성균관의 직제
4. 성균관의 입학자격
5. 성균관의 정원
6. 성균관 유생의 상소제도
7. 성균관 유생의 특전
8. 성균관 유생의 학교생활
9. 성균관의 교육내용
10. 성균관의 재원
1. 들어가며
2. 성균관 부속시설
3. 성균관의 직제
4. 성균관의 입학자격
5. 성균관의 정원
6. 성균관 유생의 상소제도
7. 성균관 유생의 특전
8. 성균관 유생의 학교생활
9. 성균관의 교육내용
10. 성균관의 재원
본문내용
을 배우는데, 이것을 다 배우면 성균관에서 예조에 보고하였다. 그러면 예조의 관원이 臺諫 각 1명을 대동하고 성균관에 와서 성균관 관원과 함께 유생을 講問하여 講說이 자세하고 정확하며 대학 전체의 취지를 잘 아는 자는 論語齋에 올리고, 통하지 못한 자는 통할 때까지 대학재에 머물러 있게 했다. 그리고 논어재에서 孟子齋中庸齋禮記齋春秋齋詩齋書齋易齋의 순으로 올라갔다. 모든 유생은 각기 통한 經書가 기록되어 이것이 성균관에 비치되었다.
10. 성균관의 재원
성균관의 재원은 태조 때부터 學田과 노비를 급여하였다. 그 후부터 역대 왕들도 田結을 賜給하였는데, 특히 전라남도 연안에 있는 여러 섬들의 어장과 그 밖에 경기도 여러 섬의 어장도 성균관에 부속시켰다. 따라서 그 수입으로 제사와 養士의 비용에 충당하고, 학생들의 식료공급을 위해서 양현고가 마련되어 있었다.
양현고는 성균관 유생의 식사燈油鋪席 등 잡물과 釋奠祭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하여 고려중기 예종 때 창설된 것이다.
이 양현고의 재원은 토지, 즉 學田과 노비에 있었는데, 이미 고려시대부터 많은 토지와 노비가 배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조선왕조 개국 후 특히 태종이 한양으로 재천도하여 문묘를 재건한 뒤 토지와 노비를 더 주어 토지가 1만여 묘, 노비가 300 口나 되었다는 것이 변 계량의 문묘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또 태종 13년(1413) 당시 양현고의 토지는 1천 結이었고, 세종실록 지리지 文廟條에 의하면 세종13년(1431)에 965결이 加給되었다. 이로 보건대 조선초기의 양현고는 2천 결의 토지와 300구의 노비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0. 성균관의 재원
성균관의 재원은 태조 때부터 學田과 노비를 급여하였다. 그 후부터 역대 왕들도 田結을 賜給하였는데, 특히 전라남도 연안에 있는 여러 섬들의 어장과 그 밖에 경기도 여러 섬의 어장도 성균관에 부속시켰다. 따라서 그 수입으로 제사와 養士의 비용에 충당하고, 학생들의 식료공급을 위해서 양현고가 마련되어 있었다.
양현고는 성균관 유생의 식사燈油鋪席 등 잡물과 釋奠祭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하여 고려중기 예종 때 창설된 것이다.
이 양현고의 재원은 토지, 즉 學田과 노비에 있었는데, 이미 고려시대부터 많은 토지와 노비가 배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조선왕조 개국 후 특히 태종이 한양으로 재천도하여 문묘를 재건한 뒤 토지와 노비를 더 주어 토지가 1만여 묘, 노비가 300 口나 되었다는 것이 변 계량의 문묘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또 태종 13년(1413) 당시 양현고의 토지는 1천 結이었고, 세종실록 지리지 文廟條에 의하면 세종13년(1431)에 965결이 加給되었다. 이로 보건대 조선초기의 양현고는 2천 결의 토지와 300구의 노비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서원과 서당, 과거제도의 교육
[유학교육론] 조선의 선비와 의의에 대해서
조선시대 태교와 비교유아교육(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조선 유학자들의 유학 교육 사상-동몽선습 강독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의 의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의 필요성,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 프로그램...
조선대 글로벌리더를위한매너교육
[경당][교육기관][교육][경당의 성격][경당의 교육적 의의][경당의 교육 내용][경당의 입학자...
조선시대 실학자 유형원, 이이(교육철학, 교육사상, 교육론)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A형]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를 설명하시오(국내 국외 유아교육기...
유아의 행복감에 따른 문제행동, 정서지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A형] 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를 설명하시오(국내 국외 유아교육기...
[사회교육과정 및 교재연구] 사회과 수업 과에서 조선 후기 서민문화를 바탕으로 한 ‘서민문...
[유아교육개론-A형]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