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대표 교육 기관 성균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 대표 교육 기관 성균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 대표 교육 기관 성균관

1. 들어가며
2. 성균관 부속시설
3. 성균관의 직제
4. 성균관의 입학자격
5. 성균관의 정원
6. 성균관 유생의 상소제도
7. 성균관 유생의 특전
8. 성균관 유생의 학교생활
9. 성균관의 교육내용
10. 성균관의 재원

본문내용

을 배우는데, 이것을 다 배우면 성균관에서 예조에 보고하였다. 그러면 예조의 관원이 臺諫 각 1명을 대동하고 성균관에 와서 성균관 관원과 함께 유생을 講問하여 講說이 자세하고 정확하며 대학 전체의 취지를 잘 아는 자는 論語齋에 올리고, 통하지 못한 자는 통할 때까지 대학재에 머물러 있게 했다. 그리고 논어재에서 孟子齋中庸齋禮記齋春秋齋詩齋書齋易齋의 순으로 올라갔다. 모든 유생은 각기 통한 經書가 기록되어 이것이 성균관에 비치되었다.
10. 성균관의 재원
성균관의 재원은 태조 때부터 學田과 노비를 급여하였다. 그 후부터 역대 왕들도 田結을 賜給하였는데, 특히 전라남도 연안에 있는 여러 섬들의 어장과 그 밖에 경기도 여러 섬의 어장도 성균관에 부속시켰다. 따라서 그 수입으로 제사와 養士의 비용에 충당하고, 학생들의 식료공급을 위해서 양현고가 마련되어 있었다.
양현고는 성균관 유생의 식사燈油鋪席 등 잡물과 釋奠祭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하여 고려중기 예종 때 창설된 것이다.
이 양현고의 재원은 토지, 즉 學田과 노비에 있었는데, 이미 고려시대부터 많은 토지와 노비가 배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조선왕조 개국 후 특히 태종이 한양으로 재천도하여 문묘를 재건한 뒤 토지와 노비를 더 주어 토지가 1만여 묘, 노비가 300 口나 되었다는 것이 변 계량의 문묘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또 태종 13년(1413) 당시 양현고의 토지는 1천 結이었고, 세종실록 지리지 文廟條에 의하면 세종13년(1431)에 965결이 加給되었다. 이로 보건대 조선초기의 양현고는 2천 결의 토지와 300구의 노비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5.24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