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공신(功臣)을 개정하였다. 이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으나 특권층에게는 치명적인 타격이었으며, 이로 인하여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고 정암을 비롯한 그의 동료들은 죽거나 추방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정암의 도학정신은 후세에 계승되어 퇴계(退溪) 율곡(栗谷)을 위시한 조선조의 모든 유림(儒林)에게 계승되어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 유학의 기본성격을 형성시켰던 것이다. 서울 육백년사~ 홈피중에서
5. 나가는 말
정암 조광조의 삶을 보면서 시대를 앞서가는 사람, 참으로 백성을 생각하는 삶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아무리 좋은 이상과 사상을 가지고 있다할지라도 그것을 이룰 수 있는 현실적인 힘과 환경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함을 깨닫게 된다. 조광조가 주장하였던 이상정치, 지치주의는 지금 우리시대에도 요구될 뿐 아니라 우리 개인 개인들도 삶의 여러 정황 속에서 실천해 나가야 할 덕목이라 여긴다. 특별히 조광조가 살던 시대적인 모습이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모습과 여러 가지로 동일하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역사를 통해 끊임없이 자각하고 반성하는 지혜가 필요함을 다시금 통감하게 된다.
6. 논의해보고 싶은 질문들
1) 여러 가지 사화를 통해 사림파들이 계속적으로 고통을 받게 되었는데, 사림파들이 정치적으로 희생되지 않으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이상을 펼 수 있는 방법은 없었을까?
2) 조광조가 추진한 개혁정치는 너무 성급하게 시도되어서 좌절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아니면 그러한 시도 자체가 용기있는 행동으로 보아야 하는가?
3) 지치주의의 정신이 민중을 위한 정치와 민중을 위한 제도 그리고 민중을 위한 관료라고 한다면 오늘날 시행되고 있는 민주주의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4) 어떠한 세력이든지 처음에는 개혁적인 성향인데, 권력을 잡으면서 변질되게 되는데, 이것을 막는 제도적 장치나 방법은 무엇일까?
5) 조광조가 목표로 잡은 요순시대의 정치는 그야말로 이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현될 수 없는 이상을 현실에 실천하려는 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인가? 아니면 창조적 행동이라고 보아야 하는가?
7. 참고목록
1)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1999.
2) 서울 육백년사~ 홈피중에서
3) 임선영 외, 한국철학, 화두로 읽는다. 서울; 도서출판 동녘
4) 정옥자 외, 시대가 선비를 부른다. 서울 : 효형출판, 1998
5)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그러나 정암의 도학정신은 후세에 계승되어 퇴계(退溪) 율곡(栗谷)을 위시한 조선조의 모든 유림(儒林)에게 계승되어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 유학의 기본성격을 형성시켰던 것이다. 서울 육백년사~ 홈피중에서
5. 나가는 말
정암 조광조의 삶을 보면서 시대를 앞서가는 사람, 참으로 백성을 생각하는 삶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아무리 좋은 이상과 사상을 가지고 있다할지라도 그것을 이룰 수 있는 현실적인 힘과 환경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함을 깨닫게 된다. 조광조가 주장하였던 이상정치, 지치주의는 지금 우리시대에도 요구될 뿐 아니라 우리 개인 개인들도 삶의 여러 정황 속에서 실천해 나가야 할 덕목이라 여긴다. 특별히 조광조가 살던 시대적인 모습이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모습과 여러 가지로 동일하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역사를 통해 끊임없이 자각하고 반성하는 지혜가 필요함을 다시금 통감하게 된다.
6. 논의해보고 싶은 질문들
1) 여러 가지 사화를 통해 사림파들이 계속적으로 고통을 받게 되었는데, 사림파들이 정치적으로 희생되지 않으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이상을 펼 수 있는 방법은 없었을까?
2) 조광조가 추진한 개혁정치는 너무 성급하게 시도되어서 좌절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아니면 그러한 시도 자체가 용기있는 행동으로 보아야 하는가?
3) 지치주의의 정신이 민중을 위한 정치와 민중을 위한 제도 그리고 민중을 위한 관료라고 한다면 오늘날 시행되고 있는 민주주의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4) 어떠한 세력이든지 처음에는 개혁적인 성향인데, 권력을 잡으면서 변질되게 되는데, 이것을 막는 제도적 장치나 방법은 무엇일까?
5) 조광조가 목표로 잡은 요순시대의 정치는 그야말로 이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현될 수 없는 이상을 현실에 실천하려는 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인가? 아니면 창조적 행동이라고 보아야 하는가?
7. 참고목록
1)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1999.
2) 서울 육백년사~ 홈피중에서
3) 임선영 외, 한국철학, 화두로 읽는다. 서울; 도서출판 동녘
4) 정옥자 외, 시대가 선비를 부른다. 서울 : 효형출판, 1998
5)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