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칸트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칸트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


1. 준칙들
2. 보편 법칙
3. 의지
4. 정언 명령
5. 정언명법의 정식

++토론 거리++

본문내용

게 이해할 수 있다.
6. 정언명법의 문제점
칸트의 윤리학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남겨놓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 현상으로부터 인간을 엄격히 분리하여 도덕적 의지의 영역을 따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현상의 세계에 존재하는 동물로서의 인간과 의지의 세계에 존재하는 인격으로서의 인간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다는 점이다.
우선 칸트는 선의지를 최고선으로 규정하고, 이것을 도덕률에 대한 존경으로 말미암아 행위 하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림으로써, 어떤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동기에 있을 뿐이지 그 결과에 있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예를 들어,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든가 약속을 지키는 것은 도덕적 의무를 이행하려는 동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는 것이지, 그 결과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도덕률의 타당성을 논의할 때 거짓 약속이 보편화되면 약속이라는 관례가 깨어지고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여기서 그는 도덕성의 본질이 행위의 결과와 전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셈이며, 이렇게 되면 그의 윤리적 체계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이 윤리학이 순수하게 의무를 위한 의무의 윤리학이라면, 의무의 이행 외에 어떤 이유도 제시하면 안되기 때문이다.
또한, 칸트는 의무의 절대성을 강조하여 무조건적 명령의 형태를 중요시하나, 현실적으로 우리는 두 개의 의무가 상충되는 경우를 많이 경험하게 되는데, 그의 윤리적 체계 안에서는 어떤 것이 더 중요한 것이며 어느 것을 먼저 이행해야 하는지 분별할 방도가 없다. 요컨대 칸트의 도덕률이 현실적으로 적용되려면 순수한 동기주의를 일관성 있게 지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그가 인간의 존엄성을 너무 강조하여 인격을 목적으로 다루어야지 오로지 수단으로만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점이다. 사실 이것을 일상 생활에서 매우 중요하고, 또 어느 정도 지켜질 수도 있는 의무이다. 그러나 때로는 그것이 도저히 지켜질 수 없는 특수한 상황이 있다.
예를 들어, 만원이 된 구명보트에 어떤 사람이 생명을 구걸하며 헤엄쳐 올 때라든지(칼네아데스의 판자-토론거리), 예산이 부족하여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분배할 수 없는 경우, 우리는 다른 사람을 수단으로 취급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우리는 도덕률과 자신의 생명 중에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의 문제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 윤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다루는 이상 자기가 살아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하기 때문에, 도덕률은 우리의 생명까지 요구할 권리를 함축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은 칸트의 윤리학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한계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을 우리는 한 마디로 자아의 분열을 강요하는 이론 체계라고 말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법칙에 복종하려는 의지만이 선이고 의지의 내용으로서의 욕구는 이 법칙과 조회될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욕구와 당위로 갈라진 두 개의 자아는 절대적 의무를 이행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더욱 거리가 멀어져서 결국은 도덕률을 지킨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행위의 결과를 중요시하는 목적론적 윤리학의 등장은 불가피한 일인지도 모른다.
++토론 거리++
①칼네아데스의 판자
BC 2세기경의 그리스 철학자 카르네아데스는, 대양(大洋)에서 배가 난파하였을 때 반드시 1인만이 붙잡을 수 있는 한 조각의 판자를 붙들고 있는 사람을 밀어내고, 판자를 빼앗아 자기 목숨을 구하는 일은 정당한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자신이 살기 위해 다른 사람의 목숨을 뺏는 일이 옳은 것일까?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5.28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