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n of the inference is called the obverse.
환질은 그것의 여집합에 의해 술어가 교체되고 명제의 질이 변경됨으로써 형성되는 추론이다. 환질은 정언명제의 모든 표준 형식의 정언명제가 타당하다. 환질의 전제 역할을 하는 명제는 원래 명제라고 부른다. 그 추론의 결론은 환질이라고 부른다.
Obvertend
Obverse
원래명제
환질명제
A : All S is P.
E : No S is non-P.
A : 모든 S는 P이다.
E : 어떤 S도 비P가 아니다.
E : No S is P.
A : All S is P.
E : S가 아닌 것은 P이다.
A : 모든 S는 비P이다.
I : Some S is P.
O : Some S is not non-P
I : 어떤 S는 P이다.
O : 어떤 S는 비P가 아니다.
O : Some S is not P.
I : Some S is non-P.
O : 어떤 S는 P가 아니다.
I : 어떤 S는 비P이다.
D. Contraposition
D. 이환
Contraposition is an inference formed by replacing the subject term of a proposition with the complement of its predicate term, and replacing the predicate term by the complement of its subject term. Not all contrapositions are valid.
이환은 주어의 여집합에 의해 술어가 대체되고 그것의 술어의 여집합과 함께 주격명제가 교체됨으로써 형성되는 추론이다. 모든 이환은 타당하지 않다.
Premise
Contrapositive
원래명제
환질명제
A : All S is P.
A : All non-P is non-S.
A : 모든 S는 P이다.
E : 어떤 비P는 비S이다
E : No S is P.
O : Some non-P is not non-S
(by limitation)
E : S가 아닌 것은 P이다.
A : 어떤 비P는 비S가 아니다. (제한이환)
I : Some S is P.
I : 어떤 S는 P이다.
<부당>
O : Some S is not P.
O : Some S is not non-P
O : 어떤 S는 P가 아니다.
O : 어떤 비P는 비S가 아니다.
환질은 그것의 여집합에 의해 술어가 교체되고 명제의 질이 변경됨으로써 형성되는 추론이다. 환질은 정언명제의 모든 표준 형식의 정언명제가 타당하다. 환질의 전제 역할을 하는 명제는 원래 명제라고 부른다. 그 추론의 결론은 환질이라고 부른다.
Obvertend
Obverse
원래명제
환질명제
A : All S is P.
E : No S is non-P.
A : 모든 S는 P이다.
E : 어떤 S도 비P가 아니다.
E : No S is P.
A : All S is P.
E : S가 아닌 것은 P이다.
A : 모든 S는 비P이다.
I : Some S is P.
O : Some S is not non-P
I : 어떤 S는 P이다.
O : 어떤 S는 비P가 아니다.
O : Some S is not P.
I : Some S is non-P.
O : 어떤 S는 P가 아니다.
I : 어떤 S는 비P이다.
D. Contraposition
D. 이환
Contraposition is an inference formed by replacing the subject term of a proposition with the complement of its predicate term, and replacing the predicate term by the complement of its subject term. Not all contrapositions are valid.
이환은 주어의 여집합에 의해 술어가 대체되고 그것의 술어의 여집합과 함께 주격명제가 교체됨으로써 형성되는 추론이다. 모든 이환은 타당하지 않다.
Premise
Contrapositive
원래명제
환질명제
A : All S is P.
A : All non-P is non-S.
A : 모든 S는 P이다.
E : 어떤 비P는 비S이다
E : No S is P.
O : Some non-P is not non-S
(by limitation)
E : S가 아닌 것은 P이다.
A : 어떤 비P는 비S가 아니다. (제한이환)
I : Some S is P.
I : 어떤 S는 P이다.
<부당>
O : Some S is not P.
O : Some S is not non-P
O : 어떤 S는 P가 아니다.
O : 어떤 비P는 비S가 아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러셀과 비트겐슈타인
귀납주의와 반증주의(현대의 과학철학)
잃어버린 과학을 찾아서
세원텔레콤의 중국시장 진출 실패 사례
과학관으로서의 STS와 과학의 윤리적 학습지도의 방법 및 전략
초등학교 수학-도형-부분 단계별(1~6단계)내용정리
초등 사다리꼴 지도
여행 업무와 전산
5학년 수학 세안(평행사변형)+약안(원리탐구)
4)수학-5.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여러가지 도형의 넓이구하기
5)수학-평면도형의 넓이-평행사변형의 넓이
4학년 수학 지도안 - 각도-각의 크기 비교(세안)
아동발달이론 -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론
철학사_분석철학, 현상학, 실존철학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