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봉(高峯) 기대승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
1.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1527-1572)
2. 고봉 기대승의 사상
(1) 사단과 칠정의 의미
(2) 이황과 기대승의 논점
(3) 두 입장의 의미
3. 마무리
[참고 문헌]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
1.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1527-1572)
2. 고봉 기대승의 사상
(1) 사단과 칠정의 의미
(2) 이황과 기대승의 논점
(3) 두 입장의 의미
3. 마무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히 이러한 처지에 도달된 것이다”
율곡의 이러한 평가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논술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사단칠정론에서는 퇴계가 애매모호하고 고봉은 명쾌하였으며, 논증과정에서 고봉이 월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마무리
사단칠정논쟁을 기대승 축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기대승은 비록 입설 자체의 완성도는 떨어진다 하더라도 주자학의 기본 명제인 이기의 불가분리성을 만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단과 칠정의 범주에 대한 분석도 주희의 심성론 체계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자학 전체를 포괄하는 논리적 구조에 좀 더 근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사단과 칠정을 주자학의 심성론 체계 속에서 이해했기 때문에 사단이 칠정 속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독립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본 것이다. 퇴계는 이발을 맹자의 사단의 확충에 중점을 두고 한 말로 설명하는 한편 칠정의 발동에 대해서는 수양하고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로 설명하는데, 그것은 근본부터가 다른 말이다. 윤리적 확충문제가 근본적인 우주론적인 문제와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우주론적인 논리성과 수양론적인 실천성이 둘이 아닌 이상 퇴계가 사단과 칠정을 이기로 나누어 보려한 입장을 수양론적인 데 중점을 둔 것이라고 두둔해서는 안 될 것이다.
[참고 문헌]
- 기대승 이기론의 주기적 특성〈부대사학〉9 : 윤사순, 부산대학교 사학회, 1985
- 사칠논변에 있어서의 퇴계 고봉의 입장〈퇴계학보〉19 : 友枝龍太郞, 퇴계학연구원, 1978
- 사단칠정에 관한 논점-이론적인 표현을 중심으로〈한국사상〉11 : 최동희, 한국사상연구회, 1975
율곡의 이러한 평가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논술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사단칠정론에서는 퇴계가 애매모호하고 고봉은 명쾌하였으며, 논증과정에서 고봉이 월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마무리
사단칠정논쟁을 기대승 축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기대승은 비록 입설 자체의 완성도는 떨어진다 하더라도 주자학의 기본 명제인 이기의 불가분리성을 만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단과 칠정의 범주에 대한 분석도 주희의 심성론 체계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자학 전체를 포괄하는 논리적 구조에 좀 더 근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사단과 칠정을 주자학의 심성론 체계 속에서 이해했기 때문에 사단이 칠정 속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독립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본 것이다. 퇴계는 이발을 맹자의 사단의 확충에 중점을 두고 한 말로 설명하는 한편 칠정의 발동에 대해서는 수양하고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로 설명하는데, 그것은 근본부터가 다른 말이다. 윤리적 확충문제가 근본적인 우주론적인 문제와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우주론적인 논리성과 수양론적인 실천성이 둘이 아닌 이상 퇴계가 사단과 칠정을 이기로 나누어 보려한 입장을 수양론적인 데 중점을 둔 것이라고 두둔해서는 안 될 것이다.
[참고 문헌]
- 기대승 이기론의 주기적 특성〈부대사학〉9 : 윤사순, 부산대학교 사학회, 1985
- 사칠논변에 있어서의 퇴계 고봉의 입장〈퇴계학보〉19 : 友枝龍太郞, 퇴계학연구원, 1978
- 사단칠정에 관한 논점-이론적인 표현을 중심으로〈한국사상〉11 : 최동희, 한국사상연구회, 197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