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봉이 월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마무리
사단칠정논쟁을 기대승 축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기대승은 비록 입설 자체의 완성도는 떨어진다 하더라도 주자학의 기본 명제인 이기의 불가분리성을 만족시켰을 뿐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사단은 도심(道心=理)이고 칠정은 인심(人心=氣)이기 때문에 사단과 칠정은 둘로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기대승은 '이기 일원론'에 기초하여 사단과 칠정은 분리할 수 없고 사단이 칠정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라 하고, 이이의 겸발설을 지지하는 견해를 주기론(主氣論)이라 하여, 우리나라 성리학의 양대 흐름으로 설명하기도 1. 고봉의 생애
2. 주요저서 :《고봉집(高峰集)》 《주자문록(朱子文錄)3권》 《논사록(論思錄)》
3. 주요 유적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대승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입설 자체의 완성도는 떨어진다 하더라도 성리학의 기본 명제인 이기의 不可分離性을 만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단과 칠정의 범주에 대한 분석도 주희의 심성론 체계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리학 전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6.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대승「고봉집- 고봉선생문집속집」제1권
옛날 신라의 풍속에 이 날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목욕하고 계음하는 것을 유두연이라 하는데, 그 내력이 오래되었다.…(후략)…. 이의봉 「고금석림」
6월15일을 유두라 하니, 대개 신라 옛 풍속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