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정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사단과 칠정을 다 같은 정으로 보는 자신의 심성론 구조는 그대로 두고 이황의 입장을 일부분 수용한 것이다. 결국 정의 움직임을 사단과 비사단으로 구분함으로써 사단의 경우는 리가 움직임에 기가 갖추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6.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칠정에 대한 논란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어 냈으며, 조선시대 성리학에 있어서 심리적 인성론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영두,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 소나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① 입지(立志)
② 성(誠)
③ 치인(治人)
(3) 교육원리
① 성실성의 원리
② 내적 동기화의 원리
③ 강화의 원리
(4) 교육내용
■ 이황과 이이 사상의 비교
■ 퇴계와 고봉(기대승)의 논쟁
■ 보고서를 끝마치며
■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정하여 사단의 발은 순리이기 때문에 선하지 않음이 없고, 칠정의 발은 겸하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사단지발순리고무불선 칠정지발겸기고유선악)라고 제시하면서 고봉에게 의견을 묻는 편지를 보냈던 것이 8년에 걸친 퇴계와 고봉 사이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가 사망하던 해까지 무려 13년 동안 끊이지 않고 계속된 편지가 시대를 초월해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읽히는 것은 아마도 그 때문인 듯 하다. 진실된 정을 나누면서도 학문적 치열함을 견지했던 두 사람, 그 따스함은 나를 절로 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