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황과 고봉의 논쟁
'사단'은 맹자가 인간의 본성으로 제시한 인의예지(仁義禮智)이고, '칠정'은 예기에서 제시한 인간의 일곱 가지 감정,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慾)을 말한다. 사단 칠정론의 핵심은 인간의 본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가 사망하던 해까지 무려 13년 동안 끊이지 않고 계속된 편지가 시대를 초월해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읽히는 것은 아마도 그 때문인 듯 하다. 진실된 정을 나누면서도 학문적 치열함을 견지했던 두 사람, 그 따스함은 나를 절로 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데 고봉이 이것을 受領한 것은 同年의 11월이 었다(高峯全書 165面, 273面). 퇴계는 고봉의 의견을 받아들여 前書의 표현상의 불충분한 점 7개의 곳을 수정하여 改本을 만들고 또 고봉의 條辯에 대하여 「근본은 같으면서 趨向이 다른 것」 8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와 비슷하지만 몇 가지 점에서 퇴계의 성리학과 미묘하고도 중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율곡이 화담과 정암의 영향을 일부 받은 결과일 것이다. 아마 율곡은 나름대로 화담퇴계고봉 등의 조선성리학의 성과와 나정암 등 당시 중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4 7논변에 대해서 자세히 다 완벽히 설명 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설명할 수가 있다. 나중에 공부를 더 많이해서 생각하는 사고가 깊어지면 다시 한 번 사단칠정론에 대해서 공부해보고 싶다.
Ⅳ. 참고문헌 및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