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 고봉이 이것을 受領한 것은 同年의 11월이 었다(高峯全書 165面, 273面). 퇴계는 고봉의 의견을 받아들여 前書의 표현상의 불충분한 점 7개의 곳을 수정하여 改本을 만들고 또 고봉의 條辯에 대하여 「근본은 같으면서 趨向이 다른 것」 8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칠논변에 있어서의 퇴계 고봉의 입장〈퇴계학보〉19 : 友枝龍太郞, 퇴계학연구원, 1978
- 사단칠정에 관한 논점-이론적인 표현을 중심으로〈한국사상〉11 : 최동희, 한국사상연구회, 1975 고봉(高峯) 기대승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변이며, 둘째는 이퇴계와 기대승의 사칠논변이며, 셋째는 이율곡과 성혼의 논변이라 할 수 있겠다. 이중에서도 성리학의 이론을 더욱 궁구(窮究)한 한국 최대의 성리학자 퇴계와 고봉의 논변은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다음으로 이이와 성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나는 마음의 작용으로서 인식하였다.
고봉 기대승과의 사칠논변이 전개되면서 고봉의 혼륜설(渾淪設)과 퇴계의 분개설(分開設)이 이론적으로 극명하게 대조되고, 이기개념과 사칠·성정의 구조가 정밀하게 분석됨으로써 한국 성리학의 독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변의 최후: 휴전인가? 타협인가?
퇴계는 도덕우선주의의 신념을 결코 양보할 수 없었다. 한편, 고봉은 주자학의 정 이론에 바추어 볼때 퇴계의 사칠 해석은 옳지 않기 때문에 퇴계가 세우려는 사단칠정론의 이기분속설에 동의할 수 없었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