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나는 마음의 작용으로서 인식하였다.
고봉 기대승과의 사칠논변이 전개되면서 고봉의 혼륜설(渾淪設)과 퇴계의 분개설(分開設)이 이론적으로 극명하게 대조되고, 이기개념과 사칠·성정의 구조가 정밀하게 분석됨으로써 한국 성리학의 독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과의 만남
2) 제자 김장생-송시열
3. 주요 사건
1) 시대 상황
2) 일대기
4. 사후 평가
1) 왜란 전,후의『조선왕조실록』의 기록 비교
2)『율곡전서』
3) 시호와 문묘 배향
2. 성리학으로 본 이이의 사상
1. 태극음양론
2. 리기론
3. 사단칠정론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으로 본 이이의 사상
1. 태극음양론
2. 리기론
3. 사단칠정론
4. 심성론
3. 이이의 경세사상
1. 시대적 배경과 이이의 역사인식
2. 이이의 경세론
(1) 이이 경세론의 철학적 기초 - 무실(務實)
(2) 정치 개혁론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9.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과 이이의 학문, 즉 주자 중심의 성리학이 조선 사상계에서 확고한 우위를 점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서경덕, 조식의 사상과 양명학, 노장사상 등이 영향력을 아주 상실한 것은 아니었다. 이런 상황에서 성리학적 의리명분론에 입각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 [退溪 李滉] - 조선성리학의 기초를 세운 선비, 나아감과 물러남의 의미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2002. 12. 10., 현암사)
2) [네이버 지식백과] 퇴계 이황 [退溪 李滉] - 조선성리학의 기초를 세운 선비, 나아감과 물러남의 의미 (우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